서브메뉴

본문

다다혁명 운동과 문학의 동시주의
다다혁명 운동과 문학의 동시주의
저자 : 정상균
출판사 : 학고방
출판년 : 2012
ISBN : 9788960712706

책소개

서울시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정상균의 『다다혁명 운동과 문학의 동시주의』. 러시아의 도스토예프스키, 아일랜드의 조이스, 오스트라이아의 카프카, 프랑스의 사르트르, 알제리의 카뮈 등의 행적을 1916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일어난 '다다 혁명 운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허균, 홍만종, 염상섭, 조명희, 이상, 그리고 최인훈, 이청준 등의 한국의 작가와 함께 '자유 민주 시민 사회 운영의 기본 요건'인 동시주의 시각으로 연구해나간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동시주의(同時主義, Simultaneism)’는, ‘자유 민주 시민 사회 운영의 기본 요건’이다. 동시주의는 ‘인류 각 주체의 행동 개시에 그 기초가 되는 전제’로서, 행동 개시에 앞서 양극단(兩極端-욕망과 책임) 간의 정보를 동시에 두고 그것을 고려하여 최선을 선택(選擇)을 행하는 ‘그 실존(實存, 육체) 운영의 기본 전제 조건’이다.
이것은 1916년 취리히 다다이스트에 의해 처음 ‘현대 자유 민주 시민 행동 강령’으로 채용되었었고, 이후 문학예술 창작과 비평에도 대거 활용된 현대인의 ‘실존적(實存的) 행동 주체(자유 시민) 정신 운영’의 기본 강령이다.
1946년 J. P. 사르트르에 의해 ‘실존주의(Existentialism)’로 그 명칭이 바뀌어 더욱 일반화 되었지만, 사실은 그 이전에 불교의 ‘만다라(Mandala)’, 동양의 주역(周易)에도 이미 뚜렷이 그 방향이 명시된 것으로, 인간 생활에 떠날 수 없는 그 행동 실천에 마땅한 전제 요건이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편 다다의 선구자들

제1장 동시주의(同時主義, Simultaneism)란 무엇인가?
1. ‘동시주의’ 용어의 등장-아폴리네르
2. 선배 대가들의 논의-칸딘스키, 마리네티, 보초니
3. 다다의 ‘동시주의’
4. 초현실주의의 ‘부조리’
5. C. G. 융의 ‘동시주의(아키타입)’와 러시아 선사(先史) 미술
6. S. 프로이트의 ‘동시주의’
7. S. 달리의 ‘동시주의’
8. 세계 문학예술의 두 가지 운영 방향

제2장 허균-
1. 생애
2. ‘현재(경제) 중심’의 사고
3. ‘군자↔소인, 왕↔도둑’ : 허균의 동시주의
4. ‘다중(多重)의 나’-‘8도(道)의 홍길동’
5. 사회 개혁의 방향-‘빈곤층의 해소’
6. 다다이스트 이전의 다다이스트

제3장 홍만종-_86
1. 생애
2. 넘치는 ‘자유 자주 의식’
3. 도교(道敎)와 다다이즘(초현실주의)
4. ‘전체(왕권)주의↔개인주의’의 동시주의-
5. ‘후궁은 궁궐에서 살아서는 못 나간다(生入死出)’-
6. ‘인류 자유 평등’에 대한 ‘억만년(億萬年)’의 신념 -운영과 김진사의 자살(自殺)
7. 자주(自主, 자유) 혁명가의 ‘꿈’

제4장 도스토예프스키-, ,
1. 생애
2. ‘공공복지’에 대한 이상(理想)과 공상(空想)-
3. ‘욕망↔책임’의 동시주의-
4. ‘태고(太古)의 어머니’: 그루센까 창조-
5. ‘국가 민족주의’라는 약점-
6. ‘욕망과 육체’를 우선한 다다(Dada)의 원조(元祖)

제5장 카프카-, , ,
1. 생애
2. ‘순종↔반항’의 동시주의
3. ‘절대 권력’에 대한 비판
4. ‘프라하의 다다이스트’

제6장 염상섭-
1. 생애
2. ‘텁석부리↔청개구리’
3. ‘김창억(광인)↔염상섭’
4. 다다이스트(광인)를 동경한 최초의 한국인

제2편 다다의 선구자들

제7장 제임스 조이스-
1. 취리히(Z?rich) 다다 정신
2. ‘제국주의’의 영웅-넬슨, 셰익스피어 비판
3. ‘반교회(反 敎會)’-로마 가톨릭 풍자
4. ‘원시주의’-‘몰리 블룸’의 창조
5. ‘세 개의 나(Threeply I)’
6. 다다의 시-‘둘리 씨의 심사원려 (深思遠慮, Dooleysprudence)’
7. 동시주의 박물관-
8. ‘다다이스트’로서 기타 행적
9. 제임스 조이스의 관념주의 잔재-‘책 속으로’
10. 관념주의(작품-만다라)로 회귀한 후배들-E. 파운드, T. S. 엘리엇
11. 다다의 몸통

제8장 조명희-
1. 생애
2. ‘동척(東拓, 東洋拓殖株式會社)’의 문제
3. 로사 룩셈부르크
4. 사회주의 시각의 적용

제9장 이상-, ,
1. 다다이즘(쉬르리얼리즘)의 서론
2. 다다이스트 하루의 시작(‘옷’과 ‘정신’)
3. 다다이스트의 세계관-반대와 공존하는 세상
4. 다다이스트의 인생관 1 -‘모방(교육)’의 파기
5. 다다이스트의 인생관 2 -‘삶=죽음’
6. 다다이스트의 투쟁 1-이상의 사망
7. 다다이스트의 투쟁 2-‘대모(大母)’와 ‘산호편(珊瑚鞭)’
8. ‘동시주의’ 활용의 천재-이상

제3편 다다의 후예들

제10장 사르트르-
1. 생애
2. ‘현실 +상상=쉬르리얼리즘’-
3. ‘자유’ 속에 ‘자신(the Self)의 세계’ 확인
4. 다다의 ‘동시주의’= ‘실존주의’
5. -보수주의로의 회귀
6. ‘자유’와 ‘책임’의 동시주의

제11장 카뮈-
1. 생애
2. ‘은애(恩愛)’에 대한 무관심
3. 아랍인 향한 다섯 발의 총알
4. ‘자살’, ‘부조리’ 논의
5. ‘아방가르드’에서 ‘전통 보수주의’로

제12장 최인훈-
1. 생애
2. 최인훈의 동시주의
3. 여성과 이명준
4. ‘두 사회(광장)에 대한 절망’과 자살
5. ‘전쟁’에 대한 작가의 태도
6. 사회 개혁의 방향

제13장 이청준-
1. 생애
2. ‘이등중사 오관모’-부당한 압제자
3. ‘김 일병’-평범한 민주 시민의 이미지
4. ‘정신(理想)↔육체(現實)’ 동시주의 운영-위생병(나)
5. 민주 시민의 사회 운영 방안 제시

제14장 결 론

◈ 참고문헌
◈ 저자후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