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잃어버린 10일 (경영 담론으로 본 한국의 휴가 정치)
잃어버린 10일 (경영 담론으로 본 한국의 휴가 정치)
저자 : 김영선
출판사 : 이학사
출판년 : 2011
ISBN : 9788961471435

책소개


여느 나라와 비교해도 법적으로 보장된 한국의 휴가 총량은 크게 뒤지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프랑스처럼 긴 바캉스를 떠나지 않고, 떠날 수 없다. 기껏해야 3~5일의 여름휴가가 고작이다. 휴가는 그저 노동으로 쌓인 피로를 회복하는 데 소비될 뿐이다. 우리는 왜 2주 연속 휴가를 부자연스럽게 여길까? 우리는 왜 "쉴 수 있는 휴가는 많은데, 쉰 휴가는 별로 없다."고 하소연할 수밖에 없을까?

이 책, 『잃어버린 10일』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이 책은 휴가를 대가로 한 한국의 장시간 노동 질서를 해체하기 위한 탐구이며, 한국 사회에서 박탈당한 잃어버린 10일―2주 연속 휴가를 사용할 권리가 있으나 통상 3~5일의 여름휴가 혹은 하루 이틀의 단절적인 휴가만 사용하기 때문에 통상 10일 정도를 박탈당하고 있다―에 생기를 불어넣기 위한 작업이다. 이 책은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된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노동 현실과 휴가 문화를 들여다보며 지금 우리 주변에서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지는 한국 사회의 일상적 사회현상을 역사적-논리적으로 허문다.

목차


추천글_자유 시간을 향한 여정(김원)

책을 내면서

제1장 장시간 노동 문화 읽기

1절 장시간 노동 문화 해체하기
1. 장시간 노동 문화라는 모순 덩어리
2. 불연속적 최소 휴가의 문제
2절 경영 담론으로 본 휴가
1. 경영 담론의 휴가
2. 담론 분석
3절 분석 틀 및 책의 구성
1. 분석 틀
2. 책의 구성

제2장 휴가를 둘러싼 이론-경험 논의

1절 휴가를 둘러싼 이론적 논의
1. 근대성의 시간 구조와 휴가
2. 소득효과론 및 개인선호론 비판
3. 노동시간과 여가 시간의 증감 논쟁 비판
4. 일과 삶의 균형 논의 비판
2절 시간을 둘러싼 경험적 논의
1. 톰슨의 시간을 둘러싼 투쟁
2. 차크라바티의 전 자본주의적 시간 규율
3. 라이드의 시간 합리화 과정

제3장 통제적 휴가 정치: 1970년대 초~1980년대 말

1절 저임금 장시간 노동 체제와 공장새마을운동
1. 저임금 장시간 노동 체제의 형성
2. 공장새마을운동과 작업 시간의 정치
2절 통제적 휴가 담론
1. 노동시간의 가차 없는 연장
2. 산업역군, 자기 시간의 희생
3. 노동을 위한 '피로 회복' 도구로서의 휴가
3절 소결: 국가 발전을 위한 시간의 통제

제4장 선별·배제적 휴가 정치: 1980년대 말~1990년대 말

1절 유연 노동 체제의 등장과 신경영전략 담론
1. 유연 노동 체제로의 변환
2. 신경영전략 담론과 작업 시간의 정치
2절 선별·배제적 휴가 담론
1. 휴가의 보편적 배열
2. 휴가 희생 담론
3절 소결: 유연화를 위한 낭비 제거

제5장 생산적 휴가 정치: 1990년대 말 이후

1절 유연 노동의 일상화와 경쟁력 담론
1. 유연 노동의 일상화
2. 경제위기와 자유 시간의 사회적 의미
3. 경쟁력 담론과 휴가
2절 생산적 휴가 담론
1. 휴가의 확대와 모순
2. 휴가의 경쟁력 재현
3절 소결: 경쟁력을 위한 휴가의 자기 관리

제6장 시간 정치의 전망

1절 시간연구의 함의와 한계
1. 시간연구의 함의
2. 시간연구의 한계
2절 시간 정치의 전망

책을 마치면서

부록
참고 문헌
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