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정조의 군주상 (허상과 실상의 경계)
정조의 군주상 (허상과 실상의 경계)
저자 : 김백철
출판사 : 이학사
출판년 : 2023
ISBN : 9788961474276

책소개


정조의 군주상은 어떻게 변화해왔는가?
허상과 실상을 가르며 정조시대 군주상의 진실을 추적해나가다

정조는 과연 어떤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인물이었을까? 1990년대부터 정조는 융성한 업적을 기반으로 ‘정조대왕’ 혹은 ‘유교적 계몽절대군주’로 칭송되어왔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1980년대까지도 정조에 대한 평가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1980년대까지 역사서나 사극 등에서 정조의 모습은 주로 나약한 임금이자 유약한 왕세손으로 형상화되었고, 정조 연간이 개혁의 시대로 그려지기 시작하여 ‘정조신드롬’으로 명명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재평가된 것은 199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였다. 어째서 동일한 군주와 그 시대가 이토록 전혀 다른 평가를 받게 된 것일까?

전통시대의 재인식이 가능해진 가장 큰 원인은 규장각 도서의 활용 및 연구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소수의 일본인 관학자만 실록이나 규장각 도서 등 1차 사료의 열람이 가능하였기에 오랫동안 규장각 도서에 대한 접근이 현저히 제약되어 있어 일반인은 자료를 활용하기 어려웠고, 18세기사도 후대에 집필된 야사를 바탕으로 논하기 일쑤였다. 1990년대 규장각 시설의 독립으로 자료의 대규모 간행·배포가 이루어짐에 따라 정조시대 연구에도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져 상세한 실증과 정교한 이론적 토대가 구축될 수 있었다. 한편 정조시대가 재조명된 또 다른 중요한 원인으로는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사회의 인식 변화를 꼽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적 관점이 얼마나 역사학에 영향을 끼치는지 가늠해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면서 정조가 물려받은 과거의 유산, 정조 당대의 실제 모습, 후대의 전승 등에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이 책은 역사 인식에 대한 허상과 실상을 점검해보고 우리의 기억 속에서 변화해온 정조시대 군주상의 진실을 추적해나간다.

목차


서문

연구 서설

1장 현재적 시선: 1990년대 ‘정조신드롬’의 등장 배경

1. 18세기사를 평가해온 시선
1) 학계의 연구 동향
2) 일반 대중의 시선
2.‘정조신드롬’의 대두
1) 새로운 모색
2) 대중매체로의 확산
3. 패러다임의 변화와 추세
1) 재조명되는 정조시대
2) 18세기사의 역사적 가치
3) 20세기 패러다임의 전환
4) 21세기 해외 연구의 흐름
4. 현대인이 선망한 탕평군주

2장 선왕의 유산: 17-18세기 대동·균역의 위상

1. 경제구조의 전환 배경
1) 전세의 간편화
2) 신역의 화폐가치 환산
3) 공물의 간접 금납화
2. 대동의 파급력
1) 전세의 원용
2) 재원의 확보
3) 화폐의 연동
3. 균역의 추진 배경
1) 군역 개혁의 필요성
2) 재정추계의 현실화
3) 국가정책의 순문
4. 세제 개혁의 여파

제1부 탕평의 계승자

3장 정조 초반 왕권의 실상과 ‘청의淸議’의 공인

1. 『명의록』의 서술방식
1) 「존현각일기」의 핍박받는 왕세손
2) 『명의록』의 척신 토역
3) 『속명의록』의 범궐 계획 분쇄
2. 현실 속 정국 주도 과정
1) 공론의 주도
2) 척신의 일소
3) 청류의 규합
3. 의리명변서의 상징성

4장 정조 전반 시파의 등장과 ‘황극 皇極’의 회복

1. 두 편의 정조 윤음
1) 판본 현황
2) 구성 방식
2. 송덕상 사건: 노론 청류의 부침
1) 산림의 화려한 출사(정조 2-3, 1778-1779)
2) 홍국영과 동반 몰락(정조 3-4, 1779-1780)
3. 사건의 파장: 시파·벽파의 분기
1) 생전 반발 여론
2) 사후 정국 변동
4. 윤음 반포 후 변화상

제2부 국법의 수호자

5장 법치주의하 통치 체제의 재정비

1.『대전통편』의 편찬 사업
1) 법제의 통합
2) 증보의 특징
2. 국법 체계의 재구축
1) 법제 일원화
2) 상시 관리 체계
3. 법제 정비의 지향

6장 국왕 중심의 군제 개편

1. 융정의 이해 방향
2.「병전」의 탄생
1) 구성 방식
2) 관무재와 시사
3. 군제 개혁의 성격
1) 무신 선발의 특징
2) 균형 선발 정책
3) 국왕의 신변 강화

제3부 탕평시대의 기억 전쟁

7장 영남 ‘반역향’ 담론의 재검토

1. 차별 담론의 검토
1) 다양한 차별론
2) 영남 ‘반역향’의 등장
2. 영남 출사자의 실상
1) 영남인의 등과 현황
2) 영조-정조 연간 등용책
3. 가문 중심주의 문제점
1) 집단 구조화의 맹점
2) 당파성론 출현 배경
4. 차별 담론의 허상

8장 ‘실학’ 담론의 파급효과

1.『경세유표』의 등장 배경
1) 정약용의 편찬 의도
2) ‘실학’ 담론하의 재조명
2. 제도 개혁의 청사진: 서주에서 북학까지
1) 중앙·지방의 관제 개편
2) 관료제 운영의 변화
3) 재정 개혁과 신물물 수용
3. 개혁안의 지향

결론

1. 관점의 환기
2. 정조시대의 사회경제적 배경
3. 정조의 군주상: 탕평의 계승자와 국법의 수호자
4. 후대의 기억 전쟁

부표
참고문헌
수록 원고 출전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