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스포츠와 체육의 역사 철학 2 (미국 스포츠와 올림픽 게임)
스포츠와 체육의 역사 철학 2 (미국 스포츠와 올림픽 게임)
저자 : Robert A. Mechikoff
출판사 : 레인보우북스
출판년 : 2013
ISBN : 9788962062632

책소개

교육의 비평적 시점을 가지고 다른 주요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스포츠와 체육의 역사적, 철학적 발전을 살펴본다. 이전 1편과 같이 본문은 철학적, 신학적으로 접근해 중요한 주제로 삼고 있으며 시대를 초월한 논점들을 담았다. 책을통해 학생들은 인간 신체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고, 인간 신체는 선인가? 아니면 악인가? 우리는 신체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정신교육에 배타적으로 집중하여 신체교육 무시하여야만 하는가? 등과 같이, 운동경기와 운동 역사에 대한 철학과 신학의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논점들을 떠올릴 것이다. 신체에 대한 평가가 기록된 역사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그리고 신체에 대한 평가가 미래의 체육과 경기에 어떻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것인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서문]



이 5판은 이전의 1-4판과 같이 교육의 비평적 사고와 다른 주요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스포츠와 체육의 역사적 그리고 철학적 발전을 살펴본다. 이전의 1-4판과 같이 본문으로의 철학적, 그리고 적절한 때는, 신학적 접근방식은 가장 중요한 주제로 남아있다.

책의 연속적 내용과 접근방식은 같은 것으로 남아있다. 시대를 초월한 논점들은 심사숙고될 것이다. 학생들은 인간 신체의 가치에 대해 숙고할 것이다: 인간 신체는 선인가? 아니면 악인가? 우리는 신체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인가? 아니면 정신교육에 배타적으로 집중하여 신체교육 무시하여야만 하는가? 이 책은 운동경기와 운동 역사에 대한 철학과 신학의 영향을 조사하면서 이러한 논점들을 제시한다. 신체에 대한 평가가 기록된 역사를 통틀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그리고 신체에 대한 평가가 미래의 체육과 경기에 어떻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것인지를 학생들은 이해할 것이다.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증진하기위해 이 5판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추가했다는 사실을 여러분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고고학과 역사에서 발췌한 다른 운동경기와 관련된 추가 정보와 함께 호머의 “일리아드” 이야기와 “트로이”에서 발생한 운동경기

· 콘스탄티노플에서의 1인승 이륜전차 경주와 고대 경마장으로 모여든 팬들과 파벌에 관한 설명

· 1920년대와 1930년대 유행한 철인경기와 장기간의 댄스 경연을 포함한 인내력 스포츠 범주

·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와 같은 르네상스 미술가들의 업적에 관한 논의

· 인종차별과 많은 사회적 경멸을 극복하고 첫 사이클 슈퍼스타가 되었던 아프리카계 미국인 청년인 Marchall W. "Major" Taylor에 관한 이야기

· 현대 올림픽경기의 확장된 시대 경계

· 각각의 하계와 동계 경기, 2006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새로운 정보, 그리고 북경 2008년 하계올림픽 경기의 논의와 관련된 단편적 설명들

· 콘스탄티노플의 고대 경마장, 고대 로마 원형경기장에서 싸웠던 아프리카 복싱선수들을 묘사한 미술, 트로이 밖에 놓여있었던 트로이 목마, 다양한 운동에 종사한 로마 여성들을 포함한 새로운 사진들 (하략)



[옮긴이 서문]



스포츠는 현대 사회의 대표적 문화로서 우리 생활 저변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습니다. 오늘날 그 위상을 자랑하는 스포츠는 갑작스레 나타난 문화 현상이 아닌, 인류와 그 시작을 함께 해 온 역사와 철학적 전통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것은 개인의 만족이나 향유의 역할 뿐 아닌 사회적, 공동체적 결속을 담당한 고대 사회에서부터 이어져 온 우리 인류의 고유 문화이자 유산인 것입니다.

현대에 접어들면서 스포츠는 상업화와 세계화에 힘입어 거대한 산업으로 육성되어 왔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스포츠 경영학이나 스포츠 과학 등의 분야에 대한 관심은 매우 고조되었으나, 스포츠 역사와 철학 같은 인문과학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이 현실입니다. 그러나, 모든 학문이 그러하듯, 그 역사와 철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없이는 완전한 학문적 성숙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스포츠 인문과학이 정체되어 있는 이 시점에서 깊이 있는 역사 . 철학 저서는 오늘날 스포츠의 현 주소와 미래를 관망하는 밑거름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대표적인 스포츠 역사 . 철학 저서가 흔치 않은 상황에서 본 역자가 이 책을 만난 것은 참으로 가슴 벅찬 일이었습니다. 스포츠와 체육을 연구하는 많은 분들과 함께 이 기쁨을 나누고자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고대에도 철학적 논쟁의 주제가 되었던 인간 육체의 형이상학적, 인식론으로부터 그 출발을 삼고 있습니다. 아울러 놀이의 형태로 시작된 스포츠가 현대의 가장 대표적 문화 축제인 올림픽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와 그 기반이 된 철학 사상을 소개합니다. 저자가 밝히듯이 해석적(interpretive) 역사에 기반을 둔 이 책은 스포츠와 체육에서 쟁점이 되었던 과거의 사건들이 어떻게 현재를 결정 지우고 있는지, 현재의 사건들은 장래의 사건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이해하는 데 계도적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 합니다. 현재 다섯 번째 개정판에 이른 이 책은 그간의 몇 차례 수정을 거치면서 그 완성도를 더해왔습니다. 현재에 이르러는 가히 체육 역사와 철학에 관한 한 가장 방대한 자료를 총망라하고 집대성한 대표적 저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쪼록 이 책이 스포츠와 체육을 공부하는 학생들, 스포츠 역사가들, 그리고 스포츠 문화와 철학도들이 유익한 정보를 얻고, 많은 이들의 지식적 길잡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면 참으로 기쁠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하여 스포츠와 체육의 역사 속에 담긴 일련의 교훈으로부터 미래를 제시하는 철학적 인식이 경험 되기를 감히 기원해 봅니다. 나아가 이러한 인식들이 스포츠 인문과학의 발전에 증폭제가 되기를 또한 바랍니다. (하략)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권 : 고대문명에서 근대까지



서문 ⅹ

옮긴이 서문 ⅹⅲ



고대문명

1 스포츠와 체육의 역사와 철학 2

정의(Definitions) 4

역사를 "하는 것"("Doing" History) 8

해석적 역사와 기술적 역사 10

근대화(Modernization) 11

도시화와 산업화(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12

형이상학(Metaphysics) 14

철학적 과정(Philosophical Processes) 15

기초 철학적 용어(Basic Philosophical Terms) 17

형이상학과 존재론(Metaphysics and Ontology) 18

형이상학적 이원론(Metaphysical Dualism) 19

인식론(Epistemology) 20

서구사회에서 이원론에서 일원론으로의 전환 (From Dualism to Monisam in the Western World) 20

정신과 신체의 관계(The Mind-Body Relationship) 20

현대 사회의 철학들(Philosophies of the Modern World) 22

요약(Summary) 30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31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31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33

주석(Notes) 34



2 수메르, 이집트, 중국, 그리고 메소아메리카 37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37

서론(Introduction) 38

수메르(SUMER) 41

이집트(Egypt) 45

중국(China) 51

메소아메리카(MESOAMERICA) 53

요약(Summary) 57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58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58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60

주석(Notes) 61



3 그리스 63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63

서론(Introduction) 65

유대인들과 페니키아인들이 그리스 문화에 끼친 영향 (The Influence of the Jews and the Phoenicians upon Greek Culture) 66

신체에 관한 철학적 관점(Philosophical Positions of the Body) 68

이원론(Dualism) 69

고전적 휴머니즘(Classical Humanism) 69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신체에 대한 관점 (Socrates' and Plato's View of the Body) 70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체육에 관한 관점 (Socrates' and Plato's View of Physical Education) 72

신체를 통한 교육과 신체의 교육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Versus Education of the Physical) 77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78

스포츠와 체육교육의 역사적 기초 (Historical Foundations of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80

아레테와 아곤(Arete and Agon) 80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 트로이 이야기 (The Iliad and The Odyssey ? The Story of Troy) 82

장례식 경기(Funeral Games) 85

크레테의 영향(Influence of Crete) 86

그리스 스포츠 발전에 관한 몇몇 역사적 견해 (Some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Development of Greek Sport) 87

아테네와 스파르타: 두 도시에 관한 이야기 (Athens and Sparta: A Tale of Two Cities) 89

체육에 대한 두 관점(Two Views on Physical Education) 90

아테네의 체육교육(Athenian Physical Education) 92

그리스 여성의 운동경기 참가(Athletic Participation of Greek Women) 93

고대 올림픽 경기(The Ancient Olympic Games) 96

요약(Summary) 104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105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106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107

주석(Notes) 109



4 로마 112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112

서론(Introduction) 114

에트루리아인(The Etruscans) 115

네로(Nero) 119

그리스와 로마 문화의 비교 분석 (Cross-Cultural Analysis of the Greeks and Romans) 120

철학적 인식(Philosophical Orientation) 122

스토아 학파(The Stoics) 123

에피쿠로스 학파(The Epicureans) 124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 124

안티오쿠스(Antiochus) 125

스포츠와 체육(Sport and Physical Education) 125

군사훈련(Military Training) 126

클라디우스 갈레노스(Claudius Galen) 127

그리스 운동경기(Greek Athletics) 129

여성과 스포츠(Women and Sport) 129

경기와 구경거리(Games and Spectacles) 131

스포츠와 기독교(Sport and Christianity) 140

로마 스포츠의 도입에 대한 그리스인의 반응 (Greek Reaction to the Introduction of Roman Sport) 141

콘스탄티노플의 히포드롬(THE HIPPODROME OF CONSTANTINOPLE) 141

요약(Summary) 143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144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145

더 읽을거리(Suggestion for Further Reading) 146

주석(Notes) 147



영적 세계로부터 세속의 세계로

- 신체에 대한 변화된 개념 -

5 중세의 철학, 스포츠, 그리고 체육: 서기 900-1400년 152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152

서론(Intorduction) 153

기독교의 영향(The Impact of Christianity) 154

기독교와 그리스 철학(Christianity and Greek Philosophy) 157

신체에 관한 중세의 철학적 견해 (Philosophical Position of the Body in the Middle Ages) 158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한 육체와 육체 건강상태 (The Body an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St. Thomas Aquinas) 161

모세(Moses Maimonides)와 성 보나벤투라(St. Bonaventure) 162

정신과 세속적 스포츠와의 결합(Linking the Spiritual with Secular Sport) 163

휴일과 구기(Holidays and Ball Games) 164

험한 구기, 마장마술경기, 그리고 잉글랜드 풋볼 (Rugged Ball Games, Equestrian Events, and English Football) 165

중세 사회 구조: 기사, 귀족, 그리고 가치 추구 (Medieval Social Structure: Knight, Nobles, and Worthy Pursuits) 167

귀족들의 스포츠(Sport of the Aristocracy) 168

중세 토너먼트(Medieval Tournaments) 168

매 사냥, 사냥, 그 외 오락들(Hawking, Hunting, and Other Pastimes) 169

건강과 위생학에 관한 중세 개념: 갈렌(Galen)에 대한 재고 (Medieval Concepts of Health and Hygiene: Galen Revisited) 170

요약(Summary) 171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172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173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174

주석(Notes) 176



6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178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178

서론(Introduction) 179

르네상스의 문화적 변화(Cultural Changes of the Renaissance) 180

종교개혁(The Reformation) 183

르네상스 시대의 철학자와 교육자 (The Philosopers and Educators of the Renaissance) 185

페트루스 펄루스 베르게리우스(Petrus Paulus Vergerius) 187

비토리노 다 펠트레(Vittorino da Feltre) 188

아에니아스 실비오 피콜로미니(Aeneas Silvio Piccolomini) 189

발다싸레 카스티글리오네(Baldassare Castiglione) 190

종교 개혁 시대의 철학자와 교육자 (The Philosophers and Educators of the Reformation) 191

오컴의 윌리엄(William of Ockham) 194

데스데리우스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195

마틴 루터(Martin Luther) 196

죤 칼빈(John Calvin) 198

토마스 엘리어트(Thomas Elyot) 200

로저 아쉬앰(Roger Ascham) 202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Leonardo da Vinci and Michelangelo) 202

요약(Summary) 203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204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205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206

주석(Notes) 207



7 과학의 시대와 계몽기 209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209

서론: 천상에서 인간으로 - 과학의 시대와 계몽기 (Introduction: From Heaven to Humanity-The Age of Science and the Enlightenment) 210

과학의 시대: 1560년-1688년(The Age of Science: 1560-1688) 211

계몽기: 1688-1789(The Enlightenment: 1688-1789) 214

과학의 철학자들(Philosophers of Science) 215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216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217

아이작 뉴튼(Isaac Newton) 218

철학자들(The Philosophers) 218

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220

르네 데카르트(Rene Decartes) 221

조지 버클리(George Berkely) 223

교육자(The Educators) 224

프랑코 라벨라이(Francois Rabelais) 225

리차드 물캐스터(Richard Mulcaster) 226

미셸 드 몽테뉴(Michel de Montaigne) 226

존 코메니우스(John Comenius) 228

존 밀톤(John Milton) 228

존 로크(John Locke) 229

계몽 철학과 체육교육자(Philosophes and Physical Educators) 230

장 자크 루소(Jean Jacques Rousseau) 232

조안 번하드 바세도우(Johann Bernhard Basedow) 236

요한 프리드릭 구츠무츠(Johann Friedrich GutsMuths) 238

요약(Summary) 239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240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240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241

주석(Notes) 242



8 신체에 관한 철학적 견해와 체육교육의 발달: 19세기 유럽에서의 독일, 스웨덴, 그리고 덴마크의 공헌 245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245

서론(Introduction) 246

이상주의(Idealism) 247

자신(The Self) 248

지식에 관해(On Knowledge) 249

독일 이상주의자(German Idealists): 칸트(Kant), 피히테(Fichte), 그리고 헤겔(Hegel) 250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251

니콜로 마키아벨리 (Niccolo Machiavelli) 255

요한 피히테(Johann Fichte) 255

게오르그 헤겔(Georg Hegel) 256

이상주의의 체육 교육에로 적용 (The Application of Idealism to Physical Education) 257

학생(Student) 258

가치(Values) 258

목적(Objectives) 259

교육 과정(Curriculum) 259

평가(Evaluation) 260

교육자(The Educators) 260

요한 하인리치 페스탈로찌(Johann Heinrich Pestalozzi) 260

프리드리히 빌헬름 아우구스트 프로벨(Friedrich Wilhelm August Froebel) 263

프리드리히 루드비히 얀(Friedrich Ludwig Jahn) 265

찰스 폴른(Charles Follen) 271

찰스 벡(Charles Beck) 271

프란시스 리이버(Francis Lieber) 272

프란즈 나흐테갈(Franz Nachtegall) 272

퍼 핸릭 링(Per Henrik Ling) 275

요약(Summary) 278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278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279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280

주석(Notes) 281





2권 : 미국 스포츠와 올림픽 게임



서문

옮긴이 서문 ⅹⅴ



미국 체육 교육의 이론적, 전문적 발달

9 과학의 영향과 이론적, 전문적인 체육교육에서의 건강의 개념: 1885-1930 286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286

서론(Introduction) 288

19세기 미국의 사회적 그리고 제도적 변화 (Social and Institutional Change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289

미국 체육 교육의 이론적 기초 (The Theoretical Basis of American Physical Education) 291

세 분기점(Three Distinct Periods) 293

생물학적 그리고 철학적 문제들(Biolog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295

진화(Evolution) 297

질병 - 신경 쇠약증: 치료 - 운동(The Disease-Neurasthenia: The Cure-Exercise) 298

운동은 뇌의 힘을 길러준다(Exercise Builds Brain Power) 298

여성: 인류의 어머니(Women: Mothers of the Race) 299

여성, 고등 교육, 그리고 체육 교육 (Women, Higher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301

신체 측정학의 황금기: 1885-1900 (The Golden Age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1885-1900) 301

분야의 범위에 대한 정의(Defining the scope of the discipline) 304

교사 양성에서 독일 체조, 디오 루이스 그리고 스웨덴 체계의 공헌 (The Contributions of German Gymanastics, Dio Lewis, and the Swedish System to Teacher Training) 305

미국식의 체육 교육(Physical Education The American Way) 307

건강 개념의 변화(Changing Concepts of Health) 308

변화하는 전문성(A Changing Profession) 308

교사들의 전문적 양성(The Professional Preparation of Teachers) 309

요약(Summary) 314

토론 과제(Disscusion Questions) 316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316

주석(Notes) 317



10 체육교육 개혁을 향하여: 1900-1939 322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322

서론(introduction) 324

체육 교육의 변혁과 스포츠 프로그램의 채택 (The Transform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Adoption of Sports Programs) 324

놀이 이론 발달: 1900-1915(The Development of Play Theory: 1900-1915) 328

허버트 스펜서(Herbert Spencer) 329

칼 그루스(Karl Groos) 329

스텐리 홀(G. Stanley Hall) 329

루터 핼시 굴릭(Luther Halsey Gulick) 330

존 듀이(John Dewey) 331

옹호자와 반대자: 놀이의 발전 (Advocates and Adversaries: The Promotion of Play) 332

놀이와 대중 문화(Play and Popular Culture) 332

놀이와 체조의 대립(Play versus Gymnastics) 333

체육교육에서의 놀이: 1900-1915(Play in Physical Education: 1900-1915) 334

새로운 체육교육의 전형적인 기초: 1916-1930 (The Paradigmatic Basis of the New Physical Education: 1916-1930) 335

새로운 체육교육의 설계자: 클락 헤더링톤(Clark Hetherington), 토마스 우드(Thomas D. Wood), 그리고 로살린드 캐시디(Rosalind Cassidy) 335

체육교육의 구성요소와 목표(Components and Goals of Physical Education) 335

체육교육의 발달(Promotion of Physical Education) 337

초기 20세기 동안의 체육교육에 관한 문헌 (Physical Education Literatur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338

과학과 체육교육의 수량화 (Science and the Quantif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338

테스트와 측정(Tests and Measurements) 338

체력과 정신능력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bility and Mental Ability) 339

신체 건강상태 측정(Physical Fitness Assessment) 341

요약(Summary) 342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343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344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345

주석(Notes) 346



미국 스포츠의 역사와 철학적 발달

11 식민지 시기의 스포츠 350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350

서론(introduction) 351

식민지 시기의 스포츠(Sport in the Colonial Period) 351

잉글랜드에서의 스포츠: 두 문화에 관한 이야기 (Sport in England: A Tale of Two Cultures) 352

뉴잉글랜드에서의 스포츠: 청교도(Sport in New England: The Puritans) 355

뉴잉글랜드에서의 유희(Amusements in New England) 357

중부 대서양지역에서의 스포츠(Sport in the Mid-Atlantic Region) 358

남부에서의 스포츠(Sport in the South) 359

미국인디언들의 공헌(Contributions of Native Americans) 361

요약(Summary) 362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364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364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365

주석(Notes) 366



12 신체에 관한 개념의 변화: 19세기 미국의 스포츠와 놀이 367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367

서론(introduction) 368

변화하는 미국(A Changing America) 368

초기 기술 혁명의 스포츠에 대한 영향 (Early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heir Impact on Sport) 370

19세기 미국 철학: 선험론과 실용주의(Nineteenth-Century American Philosophy: Transcendentalism and Pragmatism) 371

랄프 왈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 372

헨리 데이비드 소로(Henry David Thoreau) 372

실용주의(Pragmatism) 373

찰스 다윈의 영향(The Influence of Charles Darwin) 373

실용주의자(The Pragmatists) 375

찰스 샌더즈 피어스(Charles Sanders Peirce) 375

윌리암 제임스(William James) 376

19세기 스포츠(Sport in the Nineteenth Century) 377

19세기 스포츠의 정당화(Justifying Sport in the Nineteenth Century) 377

스포츠를 옹호한 종교(Religion as an Argument for Sport) 378

스포츠 참여를 정당화한 다른 주장들 (Other Arguments That Justified Sport Participation) 380

19세기에 스포츠가 발달하다(Development of sport in the Nineteenth Century) 380

19세기 미국에서의 스포츠와 놀이 (Sport and Play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383

말과 마구 경주(Horse and Harness Racing) 383

사이클링 : Marshall W. "Major" Taylor의 이야기 387

구기 경기: 크리켓, 야구, 그리고 풋볼 (Ball Games: Cricket, Baseball, and Football) 389

아마추어 스포츠(Amateur Sports) 396

요약(Summary) 399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400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400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402

주석(Notes) 403



13 20세기 스포츠 406

주요 사건들(General Events) 406

서론(Introduction) 408

지구력을 요하는 스포츠(Endurance Sports) 409

대학 미식축구(College Football) 411

직업 미식축구(Professional Football) 416

야구(Baseball) 418

농구(Basketball) 419

권투(Boxing) 421

배구(Volleyball) 423

여성과 스포츠(Women and Sport) 424

요약(Summary) 430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431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432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434

주석(Notes) 435



현대 올림픽게임의 사회 정치적 역사

14 개척자들과 진보, 1896-1936 438

서론(Introduction) 440

현대 올림픽의 설계자: 윌리암 페니 브룩스 박사(Dr. William Penny Brooks)와 피에르 드 프레디 드 쿠베르텡 남작(Baron Pierre De Fredy de Coubertin) 442

제 1회 올림픽 경기: 아테네(Athens), 1896 447

제 2회 올림픽 경기: 파리(Paris), 1900 450

제 3회 올림픽: 세인트 루이스(St. Louis), 1904 452

제 4회 올림픽 경기: 런던(London), 1908 456

제 5회 올림픽 경기: 스톡홀름(Stockholm), 1912 458

제 7회 올림픽: 앤투어프(Antwerp), 1920 461

제 8회 올림픽: 파리(Paris), 1924 464

제 1회 동계 올림픽: 챠모닉스(Chamonix), 1924 466

제 9회 올림픽: 암스테르담(Amsterdam), 1928 467

제 2회 동계 올림픽: 세인트 모리츠(St. Moritz), 1928 469

아마추어에 관한 문제(The Issue of Amateurism) 469

제 10회 올림픽: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1932 470

제 3회 동계 올림픽: 레이크 플레시드(Lake Placid), 1932 472

올림픽 게임의 정치적 성격(Political Nature of the Olympic Games) 472

제 11회 올림픽: 베를린(Berlin), 1936 473

나치 독일에서의 스포츠와 체육 교육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in Nazi Germany) 474

제 4회 동계 올림픽: 가미쉬-파텐커첸(Garmisch-Partenkirchen), 1936 480

요약(Summary) 482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482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483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484

주석(Notes) 486



15 냉전 올림픽; 1948-1988 489

서론(Introduction) 492

제 16회 올림픽: 런던(London), 1948 493

정치적 분위기(Political Atmosphere) 494

제 5회 동계 올림픽: 세인트 모리츠(St. Moritz), 1948년 499

제 15회 올림픽: 헬싱키(Helsinki), 1952 500

정치적 분위기(Political Atmosphere) 500

스포츠 냉전(Cold War of Sports) 502

선전전(Propaganda War) 504

제 6회 동계 올림픽: 오슬로(Oslo), 1952 506

16회 올림픽: 멜버른(Melbourne), 1956 507

정치적 분위기(Political Atmosphere) 507

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The Aussie Olympics) 509

올림픽 참가 거부(Olympic Boycott) 510

제 7회 동계 올림픽: 코티나(Cortina), 1956 513

제 17회 올림픽: 로마(Rome), 1960년 514

정치적 분위기(Political Atmosphere) 514

로마의 휴일(Roman Holiday) 515

동구와 서구의 대결(East versus West) 516

제 8회 동계 올림픽: 스쿼우 벨리(Squaw Valley), 1960 519

제 18회 올림픽: 도쿄(Tokyo), 1964년 520

완벽한 올림픽(The Perfect Olympiad) 521

올림픽 정치(Olympic Politics) 522

망명(Defections) 524

저명 인물들(Notables) 525

제 9회 동계 올림픽: 인스부륵(Innsbruck), 1964 525

제 19회 올림픽: 멕시코시티(Mexico City), 1968년 526

학생 집회(Student Demonstrations) 528

올림픽 정치(Olympic Politics) 528

제 10회 동계 올림픽: 그레노블(Grenoble), 1968년 532

제20회 올림픽: 뮌헨(Munich), 1972 533

국제 정세(World View) 533

올림픽 정치(Olympic Politics) 534

뮌헨의 대참사(The Munich Massacre) 536

저명 인물들(Notables) 539

제 11회 동계 올림픽: 삿포로(Sapporo), 1972 539

제 21회 올림픽: 몬트리올(Montreal), 1976 540

타이완 문제(The Taiwan Issue) 541

참가 거부(The Boycott) 543

안전 보장(Security Concerns) 545

정치적 망명과 선전(Political Defections and Propaganda) 546

저명 인물들(Notables) 547

제 12회 동계 올림픽: 인스브르크(Innsbruck), 1976 548

제 22회 올림픽: 모스크바(Moscow), 1980 549

무엇이 미국의 참가 거부를 끌어냈나?: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What Led to the U.S. Boycott?: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549

정치적 볼모로서의 운동선수들(Athletes as Political Pawns) 552

대통령의 압력과 약속(Presidential Pressure and Promises) 554

에필로그(Epilogue) 555

저명 인물들(Notables) 556

제 13회 동계 올림픽: 레이크 플레시드(Lake Placid), 1980 557

제 23회 올림픽: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1984 558

정치적 분위기(Political Atmosphere) 560

가고 오는 것: 소련의 23회 올림픽 참가 거부 (What Goes Around, Comes Around: The Soviet Boycott of the XXIIIrd Olympiad) 560

안전 보장(Security Concerns) 561

저명 인물들(Notables) 561

제 14회 동계 올림픽: 사라예보(Sarajevo), 1984 562

제 24회 올림픽: 서울(Seoul), 1988 563

안전보장과 올림픽 정치(Security Concerns and Olympic Politics) 564

국가주의(Nationalism) 565

NBC와 한국(NBC versus South Korea) 565

올림픽 경기에서의 약물 금지(Banning Performance Enhancing Drugs and Other Illicit Drugs at the Olympics) 566

최고의 인센티브(The Ultimate Incenitve) 566

저명 인물들(Noables) 566

프롤로그(Prologue) 567

제 15회 동계 올림픽: 캘거리(Calgary), 1988 568

경제(Economics) 568

올림픽 분위기(Atmosphere) 569

저명 인물들(Notables) 570

요약(Summary) 571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572

인터넷 자료(Internet Resources) 573

주석(Notes) 574



16 냉전이후; 1992-2008 579

서론(Introduction) 581

제 25회 올림픽: 바르셀로나(Barcelona), 1992 582

제 16회 동계 올림픽: 알베르빌/사보이(Albertville/Savoie), 1992 585

경제(Economics) 585

올림픽 분위기(Atmosphere) 586

저명 인물들(Notables) 586

제 17회 동계 올림픽: 릴레함메르(Lillehammer), 1994 587

올림픽 분위기(Atmosphere) 588

저명 인물들(Notables) 588

100주년 기념 올림픽: 애틀란타(Atlanta), 1996 589

성화 봉송(Torch Relay) 590

개막식(Opening Ceremonies) 591

상업화(Commercialization) 591

약물(Drugs) 592

폐막식(Closing Ceremonies) 594

저명 인물들(Notables) 594

제 18회 동계 올림픽: 나가노(Nagano), 1998 597

이정표(Milestones) 598

대회목표와 성과들(Goals and Outcomes) 598

저명 인물들(Notables) 599

스캔들과 부정 수뢰 사건(Scandals and ILL-Gotten Gains) 600

제 27회 올림픽: 시드니(Sydney), 2000 602

사회단체들의 항의시위(Social Protests) 604

테러의 위협(Terrorist Threats) 605

정치(Politics) 606

녹화 중계된 올림픽 - NBC 방송국, 감사합니다!! (The Tape-Delayed Olympics - Thank You, NBC!) 607

경제적 사회적 이슈(Economics and Attendant Social Issues) 607

기술의 발달(Technology) 612

약물검사(Doping) 613

저명 인물들(Notables) 613

제19회 동계올림픽 : 솔트레이크시티(Salt Lake City), 2002 617

정치적 분위기(The Political Atmosphere) 617

보안(Security Concerns) 619

약물 (Drugs) 619

철학적 문제와 법적 해석 (Philosophical Concerns and Legal Interpretations) 620

윤리적 결정과 생각의 감퇴 : 비판적 사고의 연습 (Ethical Decisions and the Decline of an Idea : Exercise in Critical Thinking) 622

주목할 만한 사건들 (Notables) 623

제28회 올림픽 : 아테네(Athens), 2004 625

정치적 분위기(Political Atmosphere) 625

전략(The Game Plan) 627

윤리적 문제(Ethical Dilemmas) 628

수송과 보안(Logistics and Security Concerns) 628

도핑(Doping) 630

주목할 만한 사건들(Notables) 631

제 20회 동계올림픽 : 토리노(Torino), 2006 635

정치적 분위기(The Political Atmosphere) 635

주목할 만한 사건들(Notables) 638

제24회 올림픽 : 북경(Beijing), 2008 639

인권 및 사회정의(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 Concerns) 640

정치와 전쟁(Politics and War) 642

티베트 침략(The Invasion of Tibet) 643

올림픽 정치(Olympic Politics) 643

냉전의 복귀(The Cold War Returns) 646

4백10억 달러 올림픽(The 41-Billon-Dollar Olympics) 647

주목할 만한 사건들(Notables) 647

NBC 보도(NBC Coverage) 650

에필로그(Epilogue) 651

요약(Summary) 651

토론 과제(Discussion Questions) 653

인터넷 자료 654

더 읽을거리(Suggestions for Further Reading) 655

주석(Notes) 656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