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특수체육론 (2018)
특수체육론 (2018)
저자 : 최승권
출판사 : 레인보우북스
출판년 : 2018
ISBN : 9788962064131

책소개

본서는 특수체육학의 이론적 배경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과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경쟁 스포츠 활동의 지도에 초점을 두고 집필하였다. 본서는 총 12개의 장으로서 구성하였으며 전반부 6개의 장은 특수체육의 이론적 배경, 후반부는 장애 유형의 스포츠 지도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론편에서는 우리나라 특수체육의 역사를 새롭게 살펴보았고, 스포츠지도편에서는 우리나라 장애인스포츠의 전개 과정을 포함하여 기술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서 문



오늘날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처우는 ’88 서울패럴림픽이 개최되던 시기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발전하여 개인차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사회 적응을 위한 제도 및 법률 지원 체계가 다양하게 확립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우리 사회의 발전과 함께 해온 특수체육이라는 학문 분야는 1988년부터 소개되기 시작하여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신체활동의 중요성 강조와 더불어 학자들의 부단한 노력으로 체육학자들 사이에서는 학문성과 전문성을 갖춘 영역으로 인정되고 있다.

학문은 살아 있는 생물과 같아서 언제나 새로운 방향으로 움직이고 새로운 이론을 근거로 탈피하며 변모하게 마련이지만 우리의 특수체육학은 유독 ‘장애’ 개념의 발전적 변화를 추구하는 세계적인 추세와 발맞추는데 있어 더딘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특수체육이라는 학문은 당연히 ‘장애’의 의미 변화와 더불어 신체활동의 가치를 새롭게 해석하고 이해하여 변화하며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장애 개념의 발전이나 장애 있는 사람들의 신체활동 중요성보다는 고정되고 한쪽으로 치우친 사고를 가지면서 학문의 발전과는 거리가 먼 방향으로 그릇된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수십 년 전 특수체육이 이론적으로 자리를 잡던 시기에 전상자의 사회 복귀를 위한 목적이었던 재활체육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고 특정 국가 문화 속에서의 용어를 자의적으로 해석하며 체육과는 다른 새로운 처치 방법인 것처럼 분야를 만들려고 하는 현실은 각고의 노력으로 정립해온 특수체육학의 정체성을 도외시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서는 특수체육학의 이론적 배경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과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경쟁 스포츠 활동의 지도에 초점을 두고 집필하였다. 본서는 총 12개의 장으로서 구성하였으며 전반부 6개의 장은 특수체육의 이론적 배경, 후반부는 장애 유형의 스포츠 지도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론편에서는 우리나라 특수체육의 역사를 새롭게 살펴보았고, 스포츠지도편에서는 우리나라 장애인스포츠의 전개 과정을 포함하여 기술하였다.

집필을 마치고 수차례 교정하는 가운데 보면 볼수록 많은 부분에서 부족한 점이 눈에 띄어 다시 생각하는 시간이 많았다. 본서의 내용 중에서 오류나 미흡한 점은 후학들께서 주시는 따끔한 충고를 철저히 반영하여 보완하고자 한다. 본서는 한국연구재단의 재정 지원으로 저술하였으며, 출간하기까지 윤문을 도와준 숙명여대 박혜경 양을 비롯하여 새로운 양식의 서적 편집에 노고를 마다하지 않은 레인보우북스 편집팀, 그리고 전체 칼라판 인쇄를 허락한 민선홍 사장님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8년 1월 연구실에서 최 승 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CHAPTER1 특수체육의 정의

01 특수체육이란? 2

02 특수체육과 함께 쓰이는 용어 3

03 특수체육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람은? 8

04 ‘체육’의 의미 13

05 특수체육의 정의 18

06 특수체육의 가치 21

07 특수체육 지도자란? 23



CHAPTER2 특수체육의 역사

01 세계 특수체육의 시작과 변화 32

02 장애인 스포츠의 발전 44

03 우리나라 특수체육의 시작과 발전 과정 53



CHAPTER3 운동발달과 장애

01 운동발달이란? 68

02 지각-운동 발달 79

03 운동발달의 단계 86

04 운동 제어 99



CHAPTER4 특수체육 측정 평가

01 측정 평가란 무엇일까? 106

02 측정 평가의 목적 109

03 측정 평가의 단계 112

04 측정 평가 방법의 분류 114

05 측정 평가의 방법 116

06 특수체육의 측정 평가 도구 127



CHAPTER5 특수체육의 지도

01 특수체육 지도자의 품성 144

02 특수체육 지도를 위한 설계 146

03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153

04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운영 163

05 특수체육의 교수 유형 174

06 행동 관리 177



CHAPTER6 특수체육의 미래

01 통합체육의 배경 192

02 통합체육 198

03 특수체육 서비스 연구의 기초 지식 203

04 특수체육 전공자의 책무 207



CHAPTER7 척수 손상

01 척수 손상의 정의 214

02 척수 손상의 원인과 분류 215

03 척수 손상의 특성 221

04 체육.스포츠 지도 224

05 척수 손상 스포츠 235



CHAPTER8 절단 및 기타장애

01 절단 및 기타장애의 정의 246

02 절단 및 기타장애의 종류 247

03 절단장애의 특성 249

04 체육.스포츠 지도 252

05 절단 및 기타장애 스포츠 261



CHAPTER9 지적장애

01 지적장애의 정의 272

02 지적장애의 원인과 분류 274

03 지적장애의 특성 277

04 체육.스포츠 지도 282

05 지적장애 스포츠 291



CHAPTER10 뇌병변장애

01 뇌병변장애의 정의 302

02 뇌병변 장애의 유형 303

03 뇌병변장애의 특성 308

04 체육.스포츠 지도 311

05 뇌병변장애 스포츠 315



CHAPTER11 시각장애

01 시각장애의 정의 326

02 시각장애의 원인과 시력 손실 327

03 시각장애의 특성 332

04 체육.스포츠 지도 334

05 시각장애 스포츠 346



CHAPTER12 청각장애

01 청각장애의 정의 356

02 청각장애의 원인과 청력 손실 357

03 청각장애의 특성 361

04 체육.스포츠 지도 364

05 청각장애 스포츠 373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