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증강 현실의 모든 것 (스마트폰과 웹의 혁명)
증강 현실의 모든 것 (스마트폰과 웹의 혁명)
저자 : 니케이 커뮤니케이션
출판사 : 멘토르
출판년 : 2010
ISBN : 9788963050645

책소개

증강현실(AR) 기술의 선두에 있는 13인이 들려주는 증강 현실의 현재와 미래

증강현실(AR)이란 현실세계에 디지털 정보를 덧씌워 사용자의 활동을 지원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고성능 모바일 디바이스와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 등을 조합하여 AR을 실현하게 되면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현실 공간에 덧씌울 수 있게 된다. 실제 물건이나 장소, 혹은 사람에 대해 컴퓨터의 힘을 빌어 특별한 의미나 정보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AR의 적용 범위는 매우 넓어 정보 서비스나 게임, 관광, 엔터테인먼트로부터 제조, 건축업의 현장 지원, 의료, 재해 대책 등 다양한 곳에 미칠 것이다. 이 책은 니케이 커뮤니케이션과 ITPro가 2009년 2월, 세계 최초로 개최한 '증강현실(AR)과 비즈니스' 컨퍼런스의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 추가집필한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감수자 머리말
추천사

들어가기 전에. 현실과 가상의 융합, 증강현실
TV 프로그램과 UCC 사이트에서 화제
가능성이 무한한 모바일 AR
실용 수준의 애플리케이션 데모 등장
위치 정보는 GPS의 정확도가 관건
마커를 실시간으로 인식
내베게이션이나 게임기도 AR 단말로!
도코모와 KDDI의 연구도 진행 중
AR 비즈니스의 미래

1부. 가까운 미래에 찾아올 인터넷 혁명

제1장. AR의 가능성과 미래

VR과 동시에 연구가 시작된 AR
20년 전 깨달은 상황인식
AR의 본격적인 아이디어는 1990년대에 등장
확장성 확보가 과제
마커형 AR ‘CyberCode’ 개발
AR과 궁합이 잘 맞는 가시광통신
실내에서의 위치 측정은 무선 LAN으로
풍경을 마커로 사용하는 연구의 진행
새로운 발상의 애플리케이션

2부. AR의 실천 전략(1)-휴대전화편

제2장. 휴대전화에서의 AR활용 ‘실공간 투시 휴대전화’

고기능화가 추진되고 있는 휴대전화
속속 탑재되고 있는 센서
휴대전화를 ‘부처님 손바닥’ 위에
실공간의 사물과 사람 파악이 용이
3축의 지자기 센서와 3축의 가속도 센서의 조합
지자기 보정은 필수
손 떨림에 대한 대책이 시급
센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상태를 추정
가속도 센서의 진동 패턴으로 이용 수단을 파악
인간에게 능력과 편의성, 안정감을 제공
수십 년 후에는 사회의 핵심으로 진화
사용법을 사용자, 개발자가 공동으로 개발

제3장. 포인팅 액세스 기술과 증강현실
검색의 의미 변화
지오벡터와 제휴해 3차원 공간 검색 실현
휴대 마우스 개발을 목표로!
실제 영상과 3차원 CG의 개발
AR 서비스 OneShotSearch의 개발
버추얼 광고를 간단히 표현할 수 있는 3차원 CG 방식
적외선 통신과 조합
안드로이드에서의 AR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말이 먼저냐,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먼저냐

제4장. 장면 인식 엔진을 사용한 모바일 AR 애플리케이션
아이폰에 SREngine을 구현
정보에 대한 액세스 방법의 변화
광고 형태의 변화
노트북 베이스의 독립형
아이폰과 서버를 이요한 네트워크 접속 버전 개발
오픈 소스로 구성된 서버
다른 시스템과의 제휴를 통한 발전
향후 SREngine 이외에 필요한 엔진

* Interview. 클릭할 수 있는 세상 만들기 : AR은 웹에 견줄 만한 플랫폼

3부. AR의 실천 전략(2)-응용 편

제5장. AR 기술에 의한 유적 복원 프로젝트

AR의 열쇠를 쥐고 있는 음영과 그림자
부자연스럽게 중첩되는 오클루전의 방지
공개 실험에서도 음영의 중요성을 확인
유적 복원 기술을 새로운 산업에 활용
가상의 건물과 현실을 합성하는 ‘Augmented Earth’
광고나 인터넷 쇼핑 등에도 널리 활용

제6장. AR 기술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전개
AR은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집약체
버추얼 워치 피팅 시스템 등을 개발
Windows Mobile 단말에서 AR 관람 코스 가이드 개발
독일 AR 전문기업 메타이오와의 제휴
AR을 커뮤니케이션에 활용

제7장. 재해 대책 시스템, 긴급 시의 AR 활용
수도 직하형 지진의 예상 피해액
AR을 사용한 시뮬레이션 훈련
GPS 탑재 휴대전화로 피해 정보 수집
재해 현장의 정보 고유에 AR 활용
촬영할 장소와 방향을 AR로 지시
게릴라성 호우 등으로 인한 수해의 증가
일본의 경우 지하 침수가 심각한 문제
‘몇 분 이내에 대피’라는 메시지를 AR로 표시
판데믹으로 진찰 받은 환자 수
의료기기의 조작 방법을 AR로 지원
현장의 작업 효율과 의욕 향상을 위한 시스템

제8장. 현장의 분위기를 가시화하는 소셜 AR의 가능성
기술 개발 과정 자체가 성능이라는 인식
Mixi와 같은 ‘소셜 AR’의 등장이 초래할 미래
정보 기술은 인간관계 조정 툴로서 보급
‘AR 과열’의 위험성, 부정적 측면

* Interview. ARToolKit : 원조 개발자가 말하는 증강현실의 ‘현실’

4부. AR을 지탱하는 기술

제9장. AR의 구조에 대한 이해

해답을 가져다 줄 센싱 기술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위치 정합
센서와 카메라의 사용
마커와 마커리스
돌파구가 된 PTAM
기술적으로는 성숙된 마커형
팸플릿 등에 마커를 인쇄하여 배포
카메라 특성의 설정
사실상의 표준이 된 ARToolKit
서브컬처가 자극한 AR
‘체험하다’ 그리고 ‘알다’가 키워드
실용적 애플리케이션
AR이 만드는 문화

제10장. 증강현실을 지탱하는 인프라 ‘G공간’ 서비스의 태동
AR 서비스를 뒷받침하는 지도 정보
이미 시작된 최신 기술을 이용한 실체 구현
실생활에 더욱 익숙해질 3차원?파노라마 지도
빌딩의 벽면이나 가로수까지 선명하게 표현
이동 상태를 추정해 방향을 파악
6축 센서로 ‘사용자의 방향’까지 파악
IMES나 무선 LAN을 사용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는 무선 LAN이 유력
오차 범위를 1m로 줄여줄 준천정위성
다양해지고 있는 위치 연동 서비스
위키피디아 등의 정보 제공
드래곤볼과 같은 레이더를 이용한 검색
걷고 있는 장소에 따라 바뀌는 음악
비슷한 행동 패턴을 가진 사람들을 매칭

특집. AR을 활용한 국내 개발 사례 : 스캔서치의 모든 것
스캔서치의 탄생
프로토타이핑, 프로토타이핑, 그리고 프로토타이핑
정식 팀의 출범, 그리고 아이디어의 발산
영상 인식 엔진 개발의 뒷이야기
스캔서치는 검색부터
안드로이드 버전과 아이폰 버전
드디어 정식 버전 출시!
애플리케이션과 서버 개발
올라웍스의 문화와 사용자 리서치
출시 이후의 설레임
앞으로 나아갈 길
스캔서치의 미래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