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비틀리는 사회혁신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
비틀리는 사회혁신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
저자 : 장훈교
출판사 : 진인진
출판년 : 2021
ISBN : 9788963474618

책소개


사회혁신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학술서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이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 위기와 전환 총서 6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저자 장훈교는 2014년 안토니오 그람시의 조절사회 개념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래,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혁신센터 사회혁신리서치랩에서 한국사회혁신을 대상으로 한 연구작업을 수행했고, 제주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사회혁신의 이론적 맥락과 배경에 대한 내용을 보강하여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 저술을 완성하였습니다.

현대사회 위기극복의 이론적/정책적 대안으로 1990년대 제안된 이래 전지구적으로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는 사회혁신 담론은 2010년을 전후해서 ‘Social innovation’의 번역담론이자 정책전문가 집단의 전문담론으로 한국에 소개되어 빠른속도로 부상한 ‘정책산업’입니다.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에서는 사회혁신을 ‘협업을 통해 질서와 변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특정한 방식으로 ‘사회’를 동원하고 가공하여 결과를 산출하는 프로젝트’로 가정하고, 사회혁신이 신자유주의 통치의 정당화/정규화를 의미하는 담론으로 설정하여 논의를 전개합니다. 현대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사회혁신 담론이 신자유주의 통치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비틀림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에서 급진 민주적 실험주의를 통해 대안헤게모니적 개입을 시도하자는 것이 『비틀리는 사회혁신 - 대항헤게모니적 개입을 위한 비판』의 주된 내용입니다.

목차


책을 펴내며 7

들어가며: 사회혁신 비판의 재구성 9
1. 연구배경: 비판의 필요 10
2. 비판의 현재 구조: 신자유주의 통치의 정상화 16
3. 비판의 재구성 24
4. 연구의 시각: 수동혁명 프로젝트로서의 사회혁신 35

제1장 ‘사회혁신’: 혁신 패러다임의 확장과 사회적인 것과의 접합 43
1. 사회혁신: 특정한 역사적 조건에서 구성된 혁신 담론 45
2. 혁신 패러다임의 진화: 슘페터의 시대 61
3. 혁신과 ‘사회적인 것’의 접합: 사회 공동-경영의 기술로서 사회혁신 66

제2장 한국 사회혁신의 부상 75
1. 사회혁신 시민사회의 등장 77
2. 국가혁신체계와 네트워크 거버넌스: 정부와 시민사회의 융합 제도화 81
3. 한국 사회혁신의 확산과 그 구조적 특징 87

제3장 사회혁신: 기본원리 101
1. 민주적 실험주의 102
2. 투입원리로서의 ‘사회성’ 107
3. 실험 기반 문제 해결 과정 110
4. 실천을 통한 학습과 원형제작화 112
5. 제도적 빈틈의 조성과 실험공간 117
6. 배아 모형을 이용한 사회변화의 관리 123
7. 사회구성의 원리로서 ‘사회적 가치’ 128

제4장 사회혁신의 방법들 135
1. 사회혁신의 단계와 발상의 도출 137
2. 새로운 조합(new combination) 혹은 연결의 방법 142
3. 사회혁신랩 146
4. 협업리더십과 유기적 리더 159
5. 모방과 변이 그리고 맥락 168
6. 게임: 대안실험과 주체화의 다른 방법 176
7. 사회혁신 교육과 인큐베이팅 그리고 청년 186
8. 빠른 정책: ‘해커톤’의 예 196

제5장 사회혁신의 현실 배치: 전략적 유연성과 모순적 종합 201
1. 경제: 접근 방식의 변화 202
2. 문제 해결의 범주: 교환, 재분배, 호혜 210
3. 다원적 행위자들: 공공, 시민사회, 기업 217
4. 다른 경제와 접합 235

제6장 사회혁신의 현장: 은평물품공유센터 241
1. 형성 과정 242
2. 혁신 모형의 유형 246
3. 센터의 운영 모형 251
4. 중심문제: 경영, 자립 그리고 동형화 257
5. 결론: 공유라는 질문 261

제7장 사회혁신과 체계변화 269
1. 규모화(Scaling): 전환적 규모로의 도약 문제 272
2. 지속가능성 이행(Sustainability Transition) 이론의 기본 구조 278
3. 전환적 사회혁신과 제도변화: TRANSIT 프로젝트 285
4. 체제 내부의 제도 선택 293
5. 이행 시나리오(Transition Scenario) 294

제8장 사회혁신 거버넌스의 모순: 사회혁신을 배반하는 사회혁신 309
1. 사회혁신의 신자유주의화 313
2. 사회혁신의 ‘협업화’(collaboration): 통치 참여와 권한 부여 322
3. 사회혁신 거버넌스의 모순: 신자유주의화와 협업화 334

제9장 사회혁신과 시민참여: 공동-경영 시민노동의 부상 341
1. 암묵적 지식과 보편적 시민 능력으로서의 혁신 342
2. 시민참여의 방법과 그 문제들 347
3. 공동-경영 주체화 354
4. 시민참여의 위상 변화: 자율활동에서 시민노동으로 365

나가며: 사회혁신 비판에서 급진 민주적 실험주의로 373

참고문헌 387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