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이오덕의 글쓰기 (글쓰기의 시작)
이오덕의 글쓰기 (글쓰기의 시작)
저자 : 이오덕
출판사 : 양철북
출판년 : 2017
ISBN : 9788963722337

책소개

글쓰기의 시작, 이오덕에게 배운다!

글쓰기란 무엇인가? 이오덕이 교단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비로소 깨닫게 된 글쓰기의 진실은 숨을 쉬는 것처럼 누구나 쓸 수 있는 것이다.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자기 말로 자기 이야기를, 곧 삶을 쓰는 것이 이오덕일 말하는 글쓰기이다.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은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로 자신의 길을 찾아가기를 바라며 그동안 흩어져 있던 이오덕의 글쓰기 책을 정리한 것이다.

『이오덕의 글쓰기』는 우리의 글쓰기를 돌아보게 하고, 우리가 글쓰기에 대해 잘못 알고 있던 것들을 바로잡도록 해 준다. 왜 글쓰기인가, 어떤 글을 써야 하는가 하는 물음부터, 좋은 글, 나쁜 글이란 어떤 글인지 글을 보는 관점을 새롭게 세울 수 있도록 해 준다. 글쓰기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얽혀 버린 글쓰기의 실타래를 어디서부터 풀어 가야 하는지, 그 답을 얻을 수 있다. 누구나 글쓰기의 바른길을 알고 나면 글쓰기를 즐기게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책소개]
글쓰기, 어떻게 할까?
나는 이오덕의 글쓰기로 시작한다!


우리는 왜 글쓰기를 두려워하고 어려워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우리가 말과 글이 다르다고 알고 있기 때문이고, ‘글=문학’이라 알고 있기 때문이고, 글이란 책에 나온 것같이 그럴듯하게, 아름답고 멋진 문장으로 써야 한다고 배워 왔기 때문이다. 과연 글이란 그런 것인가?
이 책은 아니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글이란 특별한 사람만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숨을 쉬는 것처럼 누구나 쓸 수 있는 것이다.《이오덕의 글쓰기》는 이오덕이 교단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나서야 비로소 깨닫게 된 글쓰기의 진실이자, 이오덕 글쓰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책이다. 왜 글쓰기인가, 어떤 글을 써야 하는가 하는 물음부터, 좋은 글, 나쁜 글이란 어떤 글인지 글을 보는 관점을 새롭게 세울 수 있도록 해 준다. 교사와 학부모뿐만 아니라, 누구나 글쓰기의 바른길을 알고 나면 글쓰기를 즐기게 될 것이다.

[추천사]
이오덕 선생의 글쓰기 책은 늘 내 마음에 있다.
?글쟁이로 살다 보니 무엇을 쓸 것인지, 어떻게 쓸 것인지 고민하는 일은 항상 나를 따라다녔다.
?그 ‘무엇(내용)’과 ‘어떻게(형식)’ 때문에 쩔쩔매는 아이들을 위해 이오덕 선생은 말씀하셨다.
괜히 어깨와 펜 끝에 힘주지 말고 자연스럽게 쓰라고.
?글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묻는 사람들에게 나도 이렇게 말해 준다.
?일상생활에서 소재를 찾고, 예쁘게 꾸미려는 마음을 없애야 좋은 글이 나온다고.
이 책은 시대를 뛰어넘는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들뿐만 아니라
글쓰기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길잡이가 되리라 믿는다. -안도현


[출판사 리뷰]
왜 글쓰기인가?
글이란 특별한 사람만 쓸 수 있는가?


이 질문을 먼저 생각해 보자. 우리는 왜 글쓰기를 두려워하고 어려워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우리가 말과 글이 다르다고 알고 있기 때문이고, ‘글=문학’이라 알고 있기 때문이고, 글이란 자기 이야기를 정직하게 쓰는 것이라 배우지 못하고 책에 나온 것같이 그럴듯하게, 아름답고 멋진 문장으로 써야 한다고 배워 왔기 때문이다. 글쓰기를 할 때면 우리를 작아지게 만들었던 많은 이유들. 과연 글이란 그런 것인가? 글이란 특별한 사람만 쓸 수 있는가?
이오덕은 아니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이오덕이 교단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면서 비로소 깨닫게 된 글쓰기의 진실.
글이란 특별한 ‘문학적’ 재능을 가진 사람만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글이란 우리가 숨을 쉬는 것처럼 누구나 쓸 수 있고, 또 써야 한다. 모든 문화가 비인간화되어 가는 지금과 같은 시대에는 더욱 그러하다. “작공도 청소부도 가겟집 아주머니도 누구나 써야 한다.”
“노래고 그림이고 글이고 누구나 그것을 취미로 삶의 일부로 즐기”는 사회, 그것이 정상인 사회다.
직업과 지위와 나이와 성별, 그 밖의 모든 것에 상관없이 저마다 자기를 드러내는 사회, 이것은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어느 한 구석, 그 누구라도 표현이 막혀 버린다면 어떻게 될까? 그러나 생각하면 우리는 이제껏 “작공도 청소부도 가겟집 아주머니도 누구나” 글로 자유롭게 자기를 드러내는 사회를 가져 보지 못했던 것 같다. 누구나 글을 쓰고, 써야 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우리는 과연 마음에 아무런 붙잡힘 없이 저마다 하고 싶은 말을 마음껏 글로 표현하고 있을까? 그랬더라면, 우리가 글쓰기라는 말 앞에 주저할 이유는 없었을 것이다.

《이오덕의 글쓰기》는 우리의 글쓰기를 돌아보게 하고, 우리가 글쓰기에 대해 잘못 알고 있던 것들을 바로잡도록 해 준다. 왜 글쓰기인가, 어떤 글을 써야 하는가 하는 물음부터, 좋은 글, 나쁜 글이란 어떤 글인지 글을 보는 관점을 새롭게 세울 수 있도록 해 준다. 글쓰기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얽혀 버린 글쓰기의 실타래를 어디서부터 풀어 가야 하는지, 그 답을 얻을 수 있다. 누구나 글쓰기의 바른길을 알고 나면 글쓰기를 즐기게 될 것이다.

글 쓰는 사람이 되어
스스로의 길을 찾아간다는 것


여기 한 사람의 고백이 있다.
“선생님이 쓴 글에서 선생님은 저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일하는 사람이 글을 써야 살아 있는 참글이 된다. 민주 사회란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같은 이야기입니다. 그 가운데서도 ‘내가 쓰는 말 그대로를 옮겨 적으면 좋은 글이 된다’ 이 한 문장이 제 삶을 변화시켰습니다. 누구보다 열심히 살았지만 가난한 삶이 부끄러웠고, 배우지 못한 내 자신이 형편없이 초라해 보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순간에 살아온 이야기를 누군가에게 말로 들려주는 것처럼 글로 옮겨 적으면 된다는 선생님 가르침을 실천했더니 삶이 변했습니다. 글을 쓰는 순간부터 부끄럽게 여겼던 내 삶을 누군가가 위로하고 격려해 주는 것 같았습니다. 이렇게 시작한 내 글쓰기도 벌써 20년이 넘었습니다. 제가 살아 낸 삶의 가치를 인정하게 되고, 배우지 못했음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게 되었습니다.” (추송례, 장애인 도우미)

이오덕은 “글이란 말을 하듯이 쉽게 쓰면 된다”고 했다. 글은 말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우리는 어떠한가? 사실과 삶 속에서 살아가던 옛사람들과 달리 우리는 책과 글과 글 속에서 나온 말 속에서 관념과 사상으로 살아간다. 머릿속에 책에서 읽은 글이 꽉 차 있어서 글을 쓰게 되면 입으로 하는 말이 아니라 책에서 읽은 글이 다시 글로 되어 나온다. 그래서 죽은 글이 써진다. 그런데도 그것이 훌륭한 글이라 여기며 쉽게 읽히는 글을 오히려 부끄럽게 여긴다. 정직하게 자기 이야기와 생활을 써 놓은 글은 글로서 가치가 떨어지고, 유식해 보이는 말과 관념으로 써진 글을 훌륭한 글이라 생각한다. 그런 글이 정말 우리의 마음을 움직이는가? 감동을 주는가? 그런 글쓰기가 내 삶에 어떤 변화를 주는가?
“글은 말에서 나왔고, 말은 생각에서 나왔다. 생각은 삶에서 나왔고, 삶은 바로 살아 있는 목숨이다. 말도 삶에서 배워야 살아 있는 말이 되고, 글쓰기도 물론 그렇다.”

쉬운 말로, 자기 말로, 쓰고 싶은 것을 쓰자.
말하듯이, 우리 말로, 잘 전해지도록 쓰자.
그리고 삶을 쓰자.

쉬운 말, 자기의 말로 쓰고 싶은 것을 쓰는 것, 곧 삶을 쓰는 것. 이것이 이오덕의 글쓰기다.
“삶이 무엇이냐구요? 밥 먹고, 일하고, 이야기하는 것이지요.”
슬퍼하고 기뻐하고 괴로워하고 걱정하는 모든 삶의 이야기가 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어떤 글도 삶을 떠날 때는 거짓이 된다. 삶이 글이 되고, 글을 쓰면서 나를 되돌아보고 내 삶이 귀한 것을 느끼며, 그 힘으로 다시 일상을 살아간다. 그래서 이오덕에게 “글은 곧 길(진리)”이었다. 말과 글과 삶의 관계가 이러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글쓰기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 그것은 그동안 우리가 작고 보잘것없다고 등 돌리고 외면해 버린 우리들 저마다의 삶인 것이다.

글을 쓰는 사람은 길을 찾아가는 사람이다.
글을 가르치는 사람은 길을 찾도록 도와주는 사람, 길을 보여 주는 사람이다.
온전한 ‘나’로 서 있기 어려운 이 망망대해에서 스스로를 찾고, 자기 삶을 온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길, 그것이 바로 글쓰기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초판 머리말

1장 아이들을 살리는 글쓰기
아이들은 본래 글쓰기를 싫어하는가|아이들을 바보로 만드는 ‘글짓기’ 지도|
아이들을 살리는 표현 교육|아이들에게 표현의 자유를 주자|
아이들 글쓰기와 어린이문학은 다르다|정직한 글, 가치 있는 글을 쓰게 하자

2장 아이들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글쓰기 지도 방법 열두 가지|삶이 있는 글을 쓰게 한다|
사실을 올바르게 나타내는 말로 쓰게 한다|실제로 행동한 것을 쓰게 한다|
부끄러운 일도 쓰게 한다|거짓글을 왜 쓰게 될까|모방하는 글쓰기, 창조하는 글쓰기|
문학작품을 흉내 내서는 안 된다|어른 흉내를 내지 않게 한다|
어른들의 글이 왜 이럴까|시는 어떻게 쓰게 할까

3장 아이들 글을 어떻게 볼까
아이들 글을 어떻게 볼까|아이들 글에 대한 오해|아이들 글에 나타난 어머니 모습|
억지로 쓰는 글, 쓰고 싶어 쓰는 글|글짓기 대회 당선 작품을 어떻게 볼까|
아이들 글에 나타난 동물|삶을 빼앗긴 아이들의 글|어린이신문에 실린 글|
어깨에 힘주는 말과 글

4장 아이들에게 배우는 글쓰기
아이들에게 배우자|제 것을 업신여기는 이 못난 버릇|어른을 깨우치는 아이의 글|
일하는 아이들의 글|아이들이 쓰는 시|아이들 글에 나타난 농촌의 어제와 오늘|
자기를 잃지 않은 아이

5장 잘못된 ‘글짓기 지도’ 바로잡기
꾸며 써야 좋은 글이 되는가|책에 나온 글을 모방하면 좋은 글이 되는가|
왜 느낀 대로 쓰면 안 되는가|어떤 글이 정말 아이다운 글인가|왜 솔직하게 못 쓰게 하나|
아이들 글은 책으로 낼 가치가 없는가|왜 정직한 글쓰기를 가로막는가|
병든 어른은 아이들의 말을 모른다|병든 어른들의 말이 아이들에게 번져 간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