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동서양 그림에서 사랑의 비밀을 읽다 (전남대학교박물관 문화전문도서 2)
동서양 그림에서 사랑의 비밀을 읽다 (전남대학교박물관 문화전문도서 2)
저자 : 이태호|손철주|박계리|고연희|강명관|오병희|최해영|노성두|정금희|김홍섭|유경희
출판사 : 심미안
출판년 : 2016
ISBN : 9788963811727

책소개

[동서양 그림에서 사랑의 비밀을 읽다]는 동서양 그림에 나타난 사랑의 다양한 변주에서 사랑이란 무엇인지, 사랑의 비밀은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책은 멀리 그리스신화를 다룬 그림에서부터 한국의 오지호, 김환기, 천경자의 그림까지를 아우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사랑은 창조적 영감의 원천,
동서양 그림에 담긴 그 시대와 사랑이야기


누구나 사랑을 원한다. 당신은 사랑하고 있는가. 사랑받고 있는가. 하지만 누구도 이 말에 선뜻 그렇다고 대답하지 못한다. 사랑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 대상이 사람이라고 할 때 사랑은 더욱 불완전한 것이 된다. 미워하고, 질투하고, 변덕스럽고, 감정적이고, 신뢰할 수 없는 것이 사랑 아닌가. 사랑이야말로 가장 불완전한 것이고, 완전한 사랑이란 처음부터 불가능한 것이 아닌가.
이 책은 동서양 그림에 나타난 사랑의 다양한 변주에서 사랑이란 무엇인지, 사랑의 비밀은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멀리 그리스신화를 다룬 그림에서부터 한국의 오지호, 김환기, 천경자의 그림까지를 아우른다. 조선후기 춘화(春畵)와 빛의 예술로 불리는 인상주의 그림들도 사랑의 본질을 찾아가는 매개가 된다. 모두 11명의 저자가 안내하는 각기 다른 시대의 그림과 사랑 이야기이다.
조선 후기의 춘화에서 유교이념의 벽에 대응하려는 당대 사람들의 몸부림을 읽는 [조선 후기 풍속화와 춘화](이태호), 시와 그림을 통해 범속하고 비루한 일상에서 장엄하고 주목할 만한 가치를 찾는 [시가 된 그림, 그림이 된 시](손철주), 명성황후의 장례 그림에서 고종의 사랑과 죽음과 복수의 의미를 묻는 [명성황후와 고종의 사랑과 죽음과 복수](박계리), 꽃과 새를 그린 화조화에서 사랑의 주제를 탐색하는 [자연을 그리다, 사랑을 담다](고연희), 조선시대 남녀 관계와 애정의 양상을 다룬 [조선시대의 남과 여, 그리고 애정](강명관), 오지호ㆍ김환기ㆍ천경자의 삶과 예술에서 자연의 원천과 사랑의 심성을 엿보는 [세상에 대한 사랑을 빚어낸 예술가](오병희), 그리스로마신화를 다룬 그림에서 무수한 사랑의 양태를 파헤친 [그리스 신화 속 연인들이 그림과 만났을 때](최혜영), 역시 서양 고대 미술에서 사랑하고 질투하고 분노하는 사랑의 양상을 더듬는 [고대 미술에 나타난 사랑이야기](노성두), 마네ㆍ모네ㆍ르누아르ㆍ모리조 등 인상파 그림에서 구현된 사랑의 주제를 찾는 [인상주의, 빛을 열망한 화가들](정금희), 세기말 오스트리아 빈과 클림트의 작품에서 사랑의 의미를 읽는 [세기말 에로티시즘](김홍섭), 예술가의 사랑의 근원에 담긴 비밀과 진실을 찾는 [예술가의 사랑법 : 사랑도 창조하면 그뿐!](유경희).
우리는 특정한 대상을 사랑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자기 안의 어떤 가치와 이상을 사랑하는 것은 아닐까? 진정한 사랑이란 사랑하는 대상을 창조하는 행위가 아닐까? 예술가들은 특히 그렇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예술가들은 스스로 사랑의 대상을 창조한 자들이고, 사랑의 주체가 되려고 노력했던 자들이라는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조선 후기 풍속화와 춘화 이태호ㆍ11
1. 시작하며 : 단원과 혜원을 계승한 우리 춘화의 매력
2. 조선 후기 춘화의 등장배경, 풍속화 그 이후
3. 19세기 전반의 《운우도첩》
4. 1844년경의 《건곤일회첩》
5. 마치며 : 자연과 더불어 몸을 사랑한 그림

시가 된 그림, 그림이 된 시 손철주ㆍ45

명성황후와 고종의 사랑과 죽음과 복수 박계리ㆍ63
- 그 긴박했던 순간들의 기록 [명성황후 발인반차도]
1. 명성황후의 사랑과 죽음
2. 그 긴박했던 순간들의 기록 [명성황후 발인반차도]
3. 맺음말

자연을 그리다, 사랑을 담다 고연희ㆍ83
1. 산수화와 화조화 그리고 ‘사랑’의 주제
2. 남는 말

조선시대의 남과 여, 그리고 애정 강명관ㆍ97
1. 머리말
2. 조선 전기의 남성과 여성
3. 변화의 시작, 남?여 관계의 재조정
4. 맺음

세상에 대한 사랑을 빚어낸 예술가 오병희ㆍ119
- 오지호, 김환기, 천경자
1. 민족의 빛과 생명을 사랑한 오지호
2. 한국의 정서와 고향을 사랑한 화가 김환기
3. 삶의 여정을 예술로 사랑한 천경자

그리스 신화 속 연인들이 그림과 만났을 때 최혜영ㆍ141
1. 죽음을 무릅 쓴 사랑의 찬가 :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2. 그림 속의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3. 배신당한 사랑 : 메디아 & 이아손
4. 짝사랑과 삼각관계의 사랑 : 아리아드네 & 테세우스와 디오니소스
5. 금지된 사랑 : 페드라 & 히폴리토스
6. 영혼과 육체의 온전한 사랑 : 프시케 & 에로스

고대 미술에 나타난 사랑이야기 노성두ㆍ177

인상주의, 빛을 열망한 화가들 정금희ㆍ207
1. 인상주의 탄생과 사회 분위기
2. 화면에 빛을 반영하다
3. 여가생활을 그리다
4. 일상의 삶을 그리다

세기말 에로티시즘 김홍섭ㆍ231
- 클림트와 여성
1. 새로운 예술의 봄
2. 클림트의 예술적 변화
3. 클림트의 여성관
4. 팜므 파탈
5. 여성성에 대한 탐구
6. 초상화 속의 에로티시즘
7. 영원히 여성적인 것

예술가의 사랑법 : 사랑도 창조하면 그뿐! 유경희ㆍ251
- 예술가의 사랑의 근원에 담겨진 비밀과 진실
1. 피에르 보나르, 시든 여자를 사랑한 남자
2. 프리다 칼로, 히스테리자의 사랑
3. 조지아 오키프 : 예술을 위해 선택한 사랑
4. 사랑을 위한 예술, 예술을 위한 사랑, 사랑을 창조하라!!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