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옛 그림으로 읽는 한중관계사)
저자 : 정은주
출판사 : 사회평론
출판년 : 2012
ISBN : 9788964355350
책소개
한국미술사의 새 장르로서의 사행기록화
조선시대 한중관계사의 빈 부분을 그림으로 채우다
조선시대 사신 행렬에는 언제나 화원(畵員)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들의 임무는 외교절차를 그리는 것뿐만 아니라 가는 길의 풍경과 사적(史跡) 등 사행 전반의 모습까지 자세히 묘사해오는 것이었다. 사신이 사행을 떠날 때부터 마칠 때까지, 양국 간 교류가 이루어지는 곳에는 언제나 화원이 있었다. 사행기록화는 이렇게 탄생한 ‘기록으로서의 미술’이다.
저자는 기존 문헌기록과 관련 그림을 함께 분석하여 당시 사행의 모습을 완벽히 고증해낸다. 또한 조천도, 연행도 등에 나타난 당대의 화법을 분석하고, 강세황, 김정희 등의 작품과 사행의 연관성을 면밀히 밝힌다. 이를 통해 사행기록화는 역사적 사건을 재현한 사료로 인정받는 한편, 기존 한국미술사에 새로운 범주를 제시한다.
목차
I. 들어가며
II. 조선 전기 명나라 사행과 기록화
1. 명과의 관계와 외교절차 30
1) 조선 전기 명과의 관계 30
2) 명나라 사행과 외교절차 32
3) 명 사신을 영접하는 절차 37
2. 명나라 사행을 그린 기록화 41
1) 명나라 사행기록화 41
2) 조선사절단의 계회도 46
3. 명 사신 영접을 그린 기록화 48
1) 명 황제의 조서를 맞는 영조도 49
2) 명나라 경리와 군문 접반도 58
3) 명 사신 반차도 69
4) 관서지역과 한강유람도 76
III. 조선 중기 바닷길로 간 명나라 사행과 기록화
1. 명과의 관계와 해로사행 95
1) 명청교체기 조선과 중국 95
2) 명청교체기 해로사행 노정 98
2. 해로사행기록화 관련 문헌기록 105
1) 해로사행기록화에 대한 기록 105
2) 해로사행기록화의 제작목적 115
3. 해로사행기록화의 내용과 사료적 가치 120
1) 바닷길 노정 : 곽산에서 등주외성 120
2) 육로 노정 : 등주부에서 북경 137
4. 해로사행기록화의 양식적 선후관계 160
IV.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과 기록화
1. 청과의 관계와 사행 173
1) 조선 후기 청과의 관계 173
2)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 175
2.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기록화 186
1) 화원 이필성이 그린 청나라 사행, 《심양관도첩》 189
2) 시화로 엮은 강세황의 청나라 사행, 갑진연행시화첩 228
3) 1784년 이후 청나라 사행, 《연행도》 273
4) 19세기 청나라 사행을 그린 기록화 302
5) 청나라 관련 기타 회화 306
3. 조선시대 중국사행 및 영접에서 화원의 활동 320
1) 조선사절단의 구성과 화원 321
2) 중국사행에 동행한 화원 활동 324
3) 중국사신 영접에서 화원의 활동 329
V. 청에서 제작된 조선 관련 기록화
1. 청 사신 아극돈의 조선사행과 《봉사도》 353
1) 《봉사도》를 그린 청나라 화가, 정여 355
2) 화첩 순서와 제작 연대 360
3) 사행의 노정에 따른 주제와 화풍 364
4) 《봉사도》와 조선의 외교 의례 384
2. 청나라 궁중 회화에 묘사된 조선인 399
1) 황청직공도의 조선인 399
2) 만국래조도의 조선사절416
3. 청인이 그린 조선사신 전별도와 초상화 435
1) 조선사신과의 이별을 그린 전별도 436
2) 교유 문인이 그린 조선사신 초상화 445
3) 직업화가가 그린 조선사신 초상화 453
VI. 나오며 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