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 컷 한국사 (사진으로 시대를 읽는다)
한 컷 한국사 (사진으로 시대를 읽는다)
저자 : 조한경^김남수^김민수^김종민^박범희
출판사 : 해냄에듀
출판년 : 20220530
ISBN : 9788964462010

책소개


역사 교사들이 한 컷의 사진으로 풀어낸 살아있는 한국사 이야기
‘세계 고고학 지도를 바꾼 전곡리 주먹도끼’부터
‘한국 영화 100년, 문화의 힘을 보여 주다’까지
145개의 주제를 사진과 함께 이야기한다.


『한 컷 한국사』를 집필한 열 명의 역사 교사들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공동 집필한 경험이 있다. 집필진은 한 컷의 역사 사진에 담겨 있는 시대상을 역사 교사의 시선으로 풀어쓴 책이 있으면 좋겠다는 데 의견을 모은 뒤, 145컷의 한국사 사진을 선정하고 2년의 공부와 집필을 거쳐 『한 컷 한국사』를 완성했다.

역사 교사들이 치열한 논쟁 끝에 사진을 선정한 기준을 따라가 보자. 필자들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역사적 소재(마천루 속 석촌동 고분, 퇴색하지 않은 백제의 랜드마크 / 시대를 뛰어넘어 만난 두 체공녀, 강주룡과 김진숙), 역사적 사건을 생생하게 보여 주는 사진이지만 숨어 있는 의도성(담뱃대를 든 조선인이 맥주병을 안은 사연은? / 누가 야만인가? 광성보 전투)에 관심을 가졌다.
또한 역사의 수레바퀴에 눌려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사라져 간 사람들의 이야기(‘손가락 총’에 죽어 나간 사람들, 여수?순천 10?19 사건 / ‘골’로 간 사람들), 같은 사건일지라도 이전과는 다른 시각으로 살펴보기(밥이 하늘이다, 동학 농민군이 꿈꾼 세상), 기존에 접하지 못했거나 접했어도 잊힌 사건을 재조명한 소재(벌거벗은 임금님, 태조 왕건 청동상의 사연 / 파묻고 싶었던 굴욕, 삼전도비 / 한국 정치에 돌풍을 일으키다, 40대 기수론)가 선정의 기준이 되었다.

진흙에 반쯤 잠긴 백제 금동 대향로 사진에서 발굴 당시의 상황을, 서대문 형무소에서 카메라를 응시하는 김재봉의 눈빛에서는 독립운동가들의 의지를 읽어낼 수 있다. 사진을 단서로 필자들의 해설을 따라 읽다 보면 독자들은 추리 소설처럼 재미있는 역사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PART 1 전근대
001 세계 고고학 지도를 바꾼 전곡리 주먹도끼
002 빗살무늬 토기의 비밀을 찾아서
003 ‘고인’ 돌이 없는 고인돌?
004 고물에서 보물이 된 농경문 청동기
005 ‘선사인 왔다 감’, ‘신라 사람 다녀감’, 울주 천전리 각석
006 네가 왜 경주에서 나와? ‘광개토 대왕’명 호우
007 12시간 행방불명의 미스터리,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008 한·일 고대사의 연결 고리, 장고형 고분
009 마천루 속 석촌동 고분, 퇴색하지 않은 백제의 랜드마크
010 나무꾼이 알려 준 백제의 미소, 서산 용현리 마애 여래 삼존상
011 1,300년 간 진흙 속에 묻혀 있던 국보, 백제 금동 대향로
012 무령왕릉, 백제의 보물 창고가 열리다
013 일제의 시멘트를 걷어내라! 익산 미륵사지 석탑
014 남자는 금동관? 여자는 금관? 황남대총
015 산천에 알린 진흥왕의 꿈,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016 가야인은 왜 머리를 눌렀을까?
017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품은 불국사 3층 석탑의 수난기
018 정효 공주 묘, 발해 문화의 다양성과 독창성을 보여 주다
019 벌거벗은 임금님, 태조 왕건 청동상의 사연
020 고려 특수 부대, 여진을 몰아내고 9성을 쌓다
021 모나리자와 맞먹는다고? 수월관음도
022 금속 활자, 왜 만들었을까?
023 승려가 보물인 사찰, 송광사
024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왜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을까?
025 원 간섭기, 고려 왕실의 사랑과 전쟁
026 후크 선장도 놀랄 신안 보물선
027 풍수지리와 성리학이 어우러진 조선의 도성, 한양
028 살아있는 역사 박물관, 순천 낙안 읍성
029 허리 숙인 남자와 두 손 모은 여자, 노상알현도
030 옛사람들의 스카이 맵, 천상열차분야지도
031 효자·충신·열녀 만들기 대작전, 삼강행실도
032 거북선, 조선 수군의 돌격 대장
033 조선 시대 한류, 통신사
034 파묻고 싶었던 굴욕, 삼전도비
035 세상에 이렇게 나라가 많다고? 이게 조선이라고? 곤여만국전도
036 효종은 왜 공주에게 한글 편지를 보냈을까?
037 골라요 골라! 이름만 쓰면 당신도 양반! 공명
038 ‘이제 노비 아님’, 속량문기
039 승자는 누구일까? 씨름도에 담긴 조선 후기 사회
040 대동여지도, 펼치면 아파트 3층 높이, 접으면 내 손안에

PART 2 개항기
041 담뱃대를 든 조선인이 맥주병을 안은 사연은?
042 잊힌 조선의 비밀 병기, 수뢰포
043 누가 야만인가? 광성보 전투
044 아버지가 세우고 아들이 뽑은 척화비
045 전투 없는 전쟁, 강화도 조약
046 개화 지식인들의 필독서, 해국도지
047 조선을 지킬 신식 무기를 만들어라! 번사창
048 보빙사가 미국에서 큰 절을 한 까닭은?
049 김옥균, 혁명가인가? 반역자인가?
050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포트해밀턴?
051 청·일 전쟁, 조선을 낚다
052 우리 모두가 주모자다, ‘사발통문’
053 전봉준이 꿈꾼 녹두꽃 필 무렵
054 밥이 하늘이다, 동학 농민군이 꿈꾼 세상
055 갑오년에 군국기무처를 설치하다!
056 명성 황후, 그 엇갈리는 평가
057 깎는 자, 깎이는 자, 깎은 자
058 독립신문 광고, 시대를 말하다
059 독립문에서 ‘독립’이란?
060 대한 제국의 꿈과 현실, 군함 양무호
061 러·일 고래 싸움에 한국 등 터지다
062 협약(協約)이 아닌 협약(脅約), 을사조약
063 네 번째 묘, 안중근을 기다리다
064 나랏빚, 우리가 갚자! 국채 보상 운동
065 “일본 귀신은 철차 타고 온다”
066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합니다”
067 최초의 근대 병원, 제중원
068 사진 신부, 그들은 조국을 잊지 않았다
069 “I plead for Freedom and Justice”
070 ‘짜지앙미엔’ 아닙니다, 한국 음식 짜장면

PART 3 일제 강점기
071 덕수궁(경운궁) 중명전에 지는 대한 제국의 석양
072 일제는 왜 경복궁에 조선 총독부 청사를 세웠을까?
073 경찰인가? 군인인가? 헌병 경찰 통치
074 조선에 일본인을 이주시켜 토지를 개척하게 하라!
075 경복궁에서 열린 일제의 정치 이벤트
076 그날 거기, 유관순만 있었을까? 3·1 운동과 여성
077 30분 만에 완성된 대한민국 임시 헌장
078 의열단원 김지섭, 일제의 심장부에 폭탄을 던지다
079 일본인이 되고 싶었던 청년, 김구를 만나다
080 뭉치면 이긴다, 암태도 소작 쟁의
081 천차만별의 차별을 없애자, 조선 형평사
082 어린이날 제정 100년, 어린이들은 행복한가?
083 누구를 위한 치안인가? 치안 유지법
084 “조선 독립을 목적하고 공산주의를 희망함”, 김재봉
085 ‘이 해 박는 집’ 사진과 6·10 만세 운동
086 우리는 왜 그를 모를까?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주역 장재성
087 시대를 뛰어넘어 만난 두 체공녀, 강주룡과 김진숙
088 국보 1호 아닙니다, 숭례문
089 근대 소비 문화의 정점, 백화점
090 백화점에서 쇼핑하는 사람, 토막집에 사는 사람
091 석주명, 우리 나비에 우리말 이름을 지어 주다
092 1921년, 휘문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의 경주 수학여행
093 지옥섬 군함도, 끝나지 않은 전쟁
094 아물지 않은 상처, 근로 정신대
095 대한민국이 존경하는 양세봉, 북한이 존경하는 량세봉
096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 권기옥
097 ‘적절한 절차’를 통한 한국의 독립? 카이로 회담
098 해방 후 서울에 온 광복군이 28시간 만에 되돌아간 사연은?
099 살아남은 천황, 전범으로 죽은 청년 조문상
100 버려진 섬, 버려진 사람들, 소록도 한센인

PART 4 현대
101 일장기가 내려오고 태극기가 아닌 성조기가 올라가다
102 돌아온 사람들, 남은 사람들
103 38도선, 땅도 사람도 나누다
104 김일성, 북한 주민들 앞에 처음 서다
105 한반도의 운명을 바꾼, 신탁 통치 오보 사건
106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대구 10월 항쟁
107 통일 정부를 위해 맞잡은 손, 좌우 합작 위원회
108 동지와 라이벌의 사이에서, 김구와 이승만
109 제주도에 불어닥친 비극, 제주 4·3 사건
110 “작대기 하나 김OO올시다!”, 5·10 총선거
111 1948년 8월 15일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일’인 이유
112 ‘손가락 총’에 죽어 나간 사람들, 여수·순천 10·19 사건
113 토지 개혁과 농지 개혁
114 ‘골’로 간 사람들
115 또 하나의 전쟁터, 거제도 포로수용소
116 이승만의 “정전 반대”를 학생들이 지지한 이유는?
117 비둘기 숲 마을의 평화 되찾기
118 한국의 로빈슨 크루소, 조병기
119 우상화 작업의 극치, 이승만 동상 철거되다
120 평화 통일이 위험해? 조봉암과 진보당 사건
121 만주국의 인연, 박정희와 기시 노부스케
122 1만 명의 간호사가 독일에 간 까닭은?
123 ‘빨리빨리’의 비극, 와우 아파트 붕괴
124 눈과 귀가 호강하다, TV와 라디오
125 “덮어놓고 낳다 보면……” 산아 제한 정책
126 쥐와 전쟁을 벌이다, 쥐잡기 운동
127 “한 번 보고 두 번 보고 자꾸만 보고 싶네” (feat. 금지곡 시대)
128 자기 삶의 주인이 된 쎈 언니, 동일 방직 여성 노동자
129 한국 정치에 돌풍을 일으키다, 40대 기수론
130 “사형을 내려주셔서 영광입니다”, 민청학련 사건
131 마산 수출 자유 지역 어느 노동자의 죽음
132 유신의 심장을 쏜 사람‘들’
133 5월 그날이 다시 오면, ‘5월 투쟁’
134 민주 인권 기념관으로 재탄생한 남영동 대공분실
135 운동화 한 짝, 이한열과 1987
136 “다 같은 인간이다”, 이태영의 투쟁
137 “유전 무죄, 무전 유죄!”를 외치다, 지강헌 일당 탈주 사건
138 아동 연쇄 실종! 범인은 국가였다, 형제복지원 사건
139 대학생 임수경, 북한 주민을 놀라게 하다
140 “나는 일본 군대 ‘위안부’로 강제로 끌려갔던 김학순입니다”
141 1,001마리 소의 의미, 남북 경제 협력
142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묻다, 세월호 사건
143 누가 파렴치한인가? 전두환 사자 명예훼손 재판
144 촛불로 지킨 민주 공화국
145 한국 영화 100년, 문화의 힘을 보여 주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