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재외한인문학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재외한인문학
저자 : 송명희
출판사 : 지식과교양
출판년 : 2017
ISBN : 9788967640743

책소개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학 총서 제1권『트랜스내셔널리즘과 재외한인문학』. 재외한인문학 연구를 위해 재외한인문단이 형성된 여러 나라를 찾아 한인문인들을 만났던 경험은 그들의 문학을 단지 활자화된 텍스트로 읽기보다는 그들의 진솔한 삶의 텍스트로 읽게 만들어 주었다. 그들의 삶과 문학은 모국으로부터의 이주와 거주국에의 적응 사이에 작동하는 정치적 관계, 문화적 차이,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들을 껴안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재외한인들의 문학을 연구하면서 잘 알지 못했던 재외 한인들의 디아스포라의 비극적 역사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그들의 새로운 땅에서의 정착을 위한 고난에 찬 삶의 역정에 대한 이해도 깊어졌다. 아시아지역의 한인들이 일제 강점의 불행한 역사 속에서 반강제적으로 이주가 이루어진 데 비해 미주지역의 한인들은 1965년 개정이민법이 제정됨으로써 자발적으로 이주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지역마다 이주의 역사적 배경도 아주 다르다. 재외한인문학 연구를 위해 재외한인문단이 형성된 여러 나라를 찾아 한인문인들을 만났던 경험은 그들의 문학을 단지 활자화된 텍스트로 읽기보다는 그들의 진솔한 삶의 텍스트로 읽게 만들어 주었다. 그들의 삶과 문학은 모국으로부터의 이주와 거주국에의 적응 사이에 작동하는 정치적 관계, 문화적 차이,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들을 껴안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미주지역 한인문학의 의의와 전망

제2부 재미한인문학
01. 미 서부지역의 재미작가 연구
02. 재미한인문학과 민족 정체성-미 동부지역 워싱턴 문단을 중심으로
03.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이창래의 『제스처라이프』를 중심으로
04. 이창래의 『생존자』에 재현된 전쟁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그 치유

제3부 중국조선족문학
05. 암흑기 재만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아이덴티티-안수길의 「벼」를 중심으로
06. 한·중 수교 이후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황금만능주의와 국제결혼-장춘식의 「진짜,
가짜; 가짜, 진짜」를 중심으로
07. 중국조선족 시인의 장거리 민족주의와 통일에의 염원-시인 홍용암의 경우를 중심으로

제4부 재일한인문학
08. 재일한인 소설의 정신분석-김학영과 이양지의 소설을 중심으로
09. 「그늘의 집」의 장소와 산책자 그리고 치유

제5부 중앙아시아 고려인문학
10. 고려인 시에 재현된 ‘시월 모티프’ 연구-『시월의 해빛』을 중심으로
11. 고려인 시와 캐나다한인 시에 반영된 문화변용의 비교연구-형성기 작품을 중심으로
12. 고려인 소설에 재현된 ‘러시아 이미지’ 연구-김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