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재외한인문학
트랜스내셔널리즘과 재외한인문학
저자 : 송명희
출판사 : 지식과교양
출판년 : 2017
ISBN : 9788967640743

책소개


제1부 미주지역 한인문학의 의의와 전망 1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학총서
제2부 재미한인문학
01. 미 서부지역의 재미작가 연구
02. 재미한인문학과 민족 정체성-미 동부지역 워싱턴 문단을 중심으로
03. 주류사회에서 아웃사이더의 정체성 찾기-이창래의 『제스처라이프』를 중심으로
04. 이창래의 『생존자』에 재현된 전쟁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그 치유
제3부 중국조선족문학
05. 암흑기 재만문학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아이덴티티-안수길의 「벼」를 중심으로
06. 한·중 수교 이후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황금만능주의와 국제결혼-장춘식의 「진짜,
가짜; 가짜, 진짜」를 중심으로
07. 중국조선족 시인의 장거리 민족주의와 통일에의 염원-시인 홍용암의 경우를 중심으로
제4부 재일한인문학
08. 재일한인 소설의 정신분석-김학영과 이양지의 소설을 중심으로
09. 「그늘의 집」의 장소와 산책자 그리고 치유
제5부 중앙아시아 고려인문학
10. 고려인 시에 재현된 ‘시월 모티프’ 연구-『시월의 해빛』을 중심으로
11. 고려인 시와 캐나다한인 시에 반영된 문화변용의 비교연구-형성기 작품을 중심으로
12. 고려인 소설에 재현된 ‘러시아 이미지’ 연구-김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목차


재외한인들의 문학을 연구하면서 잘 알지 못했던 재외 한인들의 디
아스포라의 비극적 역사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그들의 새로운 땅에
서의 정착을 위한 고난에 찬 삶의 역정에 대한 이해도 깊어졌다. 아시
아지역의 한인들이 일제 강점의 불행한 역사 속에서 반강제적으로 이
주가 이루어진 데 비해 미주지역의 한인들은 1965년 개정이민법이
제정됨으로써 자발적으로 이주한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지역마다 이
주의 역사적 배경도 아주 다르다.
재외한인문학 연구를 위해 재외한인문단이 형성된 여러 나라를 찾
아 한인문인들을 만났던 경험은 그들의 문학을 단지 활자화된 텍스트
로 읽기보다는 그들의 진솔한 삶의 텍스트로 읽게 만들어 주었다. 그
들의 삶과 문학은 모국으로부터의 이주와 거주국에의 적응 사이에 작
동하는 정치적 관계, 문화적 차이,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들을 껴안고
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