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음운론의 계량적 방법론 (음운론에서 나타나는 비범주적인 현상)
음운론의 계량적 방법론 (음운론에서 나타나는 비범주적인 현상)
저자 : 홍성훈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4
ISBN : 9788968171345

책소개

이 장에서는 최근 계량적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기제가 되고 있는 변이현상(variation)에 대해 알아보고, 음운론에서 나타나는 변이현상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변이현상이란 동일 환경에서 의미의 차이 없이 두 개 이상의 표면형이 나타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변이현상은 한 음소(phoneme)의 이음(allophone) 사이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다른 음소 사이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 이음 단위에서 나타나는 변이현상의 예로는 어말의 /t/가 비개방(unreleased)되거나 개방되어 무기음화(unaspirated)되어 발음되기도 하고 성문음화(glottalized)되어 발음되기도 하는 현상을 들 수 있다(예를 들어, mat가 [mæt ?], [mæt], [mæt?]로 발음되는 것). 반면, 음소 단위에서 나타나는 예로는 economics에서 첫 모음이 [?] 혹은 [?]로 발음되는 현상을 들 수 있겠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음운론에서 나타나는 비범주적인 현상을 다룬다. 음운현상에서 비범주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분석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1장에서는 변이현상에 대해서 살펴본다. 변이현상이란 음운현상이 수의적(optional)으로 나타나서 하나의 기저형에 대해 여러 개의 표면형이 존재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 장에서는 변이현상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를 언어내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며, 변이형의 출현비율을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최적성이론에서 제안된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2장에서는 어휘사용빈도가 음운현상에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빈도효과를 어떻게 이론적으로 모형화(modeling)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빈도를 사례빈도(token frequency)와 유형빈도(type frequency)로 나누어 살펴본 후, 사례빈도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진 영어의 어말 /t, d/ 탈락, 약화모음(schwa) 탈락, 모음약화, 어기(base)의 상대적 탁립도(relative prominence) 보존, 탄설음화(flapping), 리듬규칙(rhythm rule) 등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고, 이러한 빈도효과를 어떻게 모형화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3장에서는 공기제약을 중심으로 음소배열제약의 비범주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규명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본다. 공기제약이란 두 음소의 동시 출현을 제한하는 제약으로, 동일한 요소가 연속해서 올 수 없다는 필수굴곡원리(Obligatory Contour Principle), 형
태소 내에서 특정 유형의 모음의 출현을 불허하는 모음 공기제약 등으로 실현된다. 이 장에서는 관측빈도(observed frequency) 대(對) 기대빈도(expected frequency)의 비율을 통해 공기제약의 비범주성을 보이고, 이러한 비범주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유사성척도(similarity metric; Pierrehumbert 1993, Frisch et al. 2004)와 상대적 수용도(relative acceptability; Coetzee and Pater 2008, Coetzee 2010)등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4장에서는 유표성과 적형성을 계량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자연성(naturalness), 빈도(frequency), 분포(distribution), 발음의 수월성, 언어습득 등을 중심으로 한 유표성 판별기준은 끊임없이 문제점이 제시되어 왔는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 Shannon 1948)의 계량적인 방법으로 유표성과 적형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제안에 대해 살펴본다. 유표성과 적형성은 정보의 양에 비례하고 정보의 양은 확률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 장에서는 정보의 양을 구하는 여러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렇게 구해진 정보의 양이 음운현상의 설명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본다.

[저자 서문]
최근까지 언어학은 인간의 언어지식을 이루는 핵심인 언어능력(linguistic competence)이 범주적(categorical)이고 이산적(discrete)이라는 전제 하에 연구되어 왔다. 수나 양적인 개념은 언어능력 규명에 중요하지 않고, 수나 양에 관계된 현상은 오직 언어수행(linguistic performance)의 일부로 간주되어 왔다. 실제 언어현상은 여러 면에서 연속적(continuous)이고 점진적인(gradient)이며 비(非)범주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이것은 언어수행의 일부일 뿐이고 이런 언어수행의 기저에 있는 언어능력은 범주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음운론도 예외가 아니어서 대부분의 음운이론은 음운지식이 범주적이라는 전제하에 이루어져왔다. 전통 생성음운론에서의 규칙 기반 분석, 최근 최적성이론에서의 제약 기반 분석 등은 모두 음운지식이 범주적이라는 전제하에 음운현상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언어능력이 범주적이라는 주장에 반증이 되는 예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문장의 적형성(well-formedness)에 대한 판단이 비범주적이라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으며(Culy 1998, Keller 2000), 형태적 생산성(morphological productivity) 또한 비범주적이라는 것 또한 잘 알려진 사실이다(Baayen 1989, Hay 2001, Hay and Plag 2004). 비범주적인 특성은 또한 음운현상 전반에 걸쳐 많이 발견되는데, 특히 변이현상(variation), 어휘 사용빈도(lexical usage frequency), 공기제약(cooccurrence restriction), 단어 적형성 및 분절음 유표성(markedness) 등을 중심으로 많이 나타난다.

이 책은 음운론에서 나타나는 비범주적인 현상을 다룬다. 음운현상에서 비범주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분석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1장에서는 변이현상에 대해서 살펴본다. 변이현상이란 음운현상이 수의적(optional)으로 나타나서 하나의 기저형에 대해 여러 개의 표면형이 존재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 장에서는 변이현상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를 언어내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며, 변이형의 출현비율을 어떻게 다룰 수 있는지 최적성이론에서 제안된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2장에서는 어휘사용빈도가 음운현상에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빈도효과를 어떻게 이론적으로 모형화(modeling)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빈도를 사례빈도(token frequency)와 유형빈도(type frequency)로 나누어 살펴본 후, 사례빈도의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진 영어의 어말 /t, d/ 탈락, 약화모음(schwa) 탈락, 모음약화, 어기(base)의 상대적 탁립도(relative prominence) 보존, 탄설음화(flapping), 리듬규칙(rhythm rule) 등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고, 이러한 빈도효과를 어떻게 모형화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3장에서는 공기제약을 중심으로 음소배열제약의 비범주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규명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들에 대해 알아본다. 공기제약이란 두 음소의 동시 출현을 제한하는 제약으로, 동일한 요소가 연속해서 올 수 없다는 필수굴곡원리(Obligatory Contour Principle), 형태소 내에서 특정 유형의 모음의 출현을 불허하는 모음 공기제약 등으로 실현된다. 이 장에서는 관측빈도(observed frequency) 대(對) 기대빈도(expected frequency)의 비율을 통해 공기제약의 비범주성을 보이고, 이러한 비범주성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유사성척도(similarity metric; Pierrehumbert 1993, Frisch et al. 2004)와 상대적 수용도(relative acceptability; Coetzee and Pater 2008, Coetzee 2010)등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4장에서는 유표성과 적형성을 계량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자연성(naturalness), 빈도(frequency), 분포(distribution), 발음의 수월성, 언어습득 등을 중심으로 한 유표성 판별기준은 끊임없이 문제점이 제시되어 왔는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정보이론(Information Theory, Shannon 1948)의 계량적인 방법으로 유표성과 적형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제안에 대해 살펴본다. 유표성과 적형성은 정보의 양에 비례하고 정보의 양은 확률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 장에서는 정보의 양을 구하는 여러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이렇게 구해진 정보의 양이 음운현상의 설명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본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을 완성하기 위해 여러 경로로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았다. 1장 변이현상, 2장 어휘사용빈도, 3장 공기제약은 2012년과 2013년 1학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음운론세미나 강의를 하면서 상당 부분 완성할 수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의 도움을 물심양면으로 많이 받았다. 4장의 주요 내용을 이루는 정보이론의 기본 개념은 2012년 6월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학술발표회 특강을 준비하면서, 그리고 박선우, 변군혁 선생과 정보이론 스터디를 하면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책을 집필하는데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준 가족들의 고마움도 잊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수익성 없을 원고의 출간을 흔쾌히 허락해준 한국문화사 김진수 사장님께 감사드리며, 오랜 기간 동안 준비하고 집필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적지 않게 남아 있을 미흡한 부분은 추후 적절한 기회에 수정 보완할 계획임을 밝힌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 변이현상

1.1 서론

1.2 규칙기반문법에서의 변이현상

1.3 순위제약문법에서의 변이현상

1.3.1 동점위배와 변이현상

1.3.2 후보형 조화서열 순위화 모델과 변이현상

1.3.3 제약순위 부분결정 모델과 변이현상

1.3.4 영어 약화모음 탈락현상의 제약순위 부분결정 모델 분석

1.3.4.1 영어 약화모음 탈락현상

1.3.4.2 영어 약화모음 탈락현상과 제약순위 부분결정모델 분석

1.4 수치제약문법에서의 변이현상

1.4.1 확률론적 최적성이론과 변이현상

1.4.2 노이즈첨가 조화문법과 변이현상

1.4.2.1 조화문법

1.4.2.2 노이즈첨가 조화문법

1.4.3 최대 엔트로피 문법과 변이현상

1.5 Praat를 이용한 변이현상 분석

1.6 요약 및 결론



2 어휘사용빈도

2.1 서론

2.2 사례빈도와 유형빈도

2.3 사례빈도에 관련된 음운현상

2.3.1 영어 어말 /t, d/ 탈락현상

2.3.2 영어 어중 약화모음 탈락현상

2.3.3 영어의 모음약화

2.3.4 어기의 상대적 탁립도 보존

2.3.5 영어 탄설음화

2.3.6 영어의 리듬규칙

2.3.7 요약

2.4 빈도효과의 모형화

2.4.1 어휘색인제약

2.4.2 충실성제약의 가중치 조정

2.5 요약 및 결론



3 공기제약

3.1 서론

3.2 비범주적 공기제약

3.2.1 OCP와 O/E

3.2.2 형태소 내 모음조화

3.2.2.1 만주어 모음조화

3.2.2.2 한국어 모음조화

3.3 비범주적 공기제약의 모형화

3.3.1 유사성척도

3.3.2 조화문법과 상대적 수용도

3.4 요약 및 결론



4 유표성과 적형성

4.1 서론

4.2 음운론에서의 유표성

4.3 정보이론

4.3.1 확률

4.3.2 확률과 정보이론

4.3.2.1 plog와 엔트로피

4.3.2.2 상호정보량

4.4 정보이론과 언어현상

4.4.1 plog와 유표성

4.4.2 복잡성과 적형성

4.4.3 엔트로피와 자질의 변별성, 음운분포

4.4.3.1 엔트로피와 자질의 변별성

4.4.3.2 엔트로피와 음운분포

4.5 요약 및 결론



부록 1 Faetar어의 제약 순위와 출력형

부록 2 부유제약의 순위에 따른 10개 문법에서 선택되는 후보형

부록 3 Hammond (1999:335)의 리듬규칙 분석 대상 명사구 리스트

부록 4 H/t, d/ 탈락현상 설명을 위해 제약값을 구하는 Praat 입력화일

부록 5 우리말 3 음절 의성?의태어에 나타난 모음조화 유형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한용어대조표



[그림차례]

그림 1 제약의 영역이 겹치지 않는 경우

그림 2 C1 ≫ C2 (C1, C2의 선택점이 각각 1a, 2b인 경우)

그림 3 C2 ≫ C1 (C1, C2의 선택점이 각각 1c, 2d인 경우)

그림 4 Praat의 문법 화일

그림 5 Praat Objects 창

그림 6 Praat Picture 창(후보형 출현비율)

그림 7 Praat에서의 분포정보

그림 8 분포정보 학습 창

그림 9 학습된 문법이 예측하는 후보형 출현비율

그림 10 노이즈첨가 조화문법에서의 제약의 가중치와 제약표

그림 11 탈락환경에 따른 /t, d/의 탈락률

그림 12 빈도에 따른 어휘부류 확률분포

그림 13 확률과 plog의 상관관계 (Goldsmith 2011)

그림 14 확률 P(x)와 엔트로피 기여도 Hc(x)의 상관관계

그림 15 문맥 독립 유니폰 확률로 구한 plog와 상호정보량

그림 16 조건부확률로 구한 plog (바이그램 모델)

그림 17 소리의 분포에 대한 전통적 분석 방법(cf. Hall 2009:14)

그림 18 정보이론의 관점에서 본 소리의 분포(cf. Hall 2009:122)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