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아름다움과 인간의 조건 (칸트 미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
아름다움과 인간의 조건 (칸트 미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
저자 : 김수용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16
ISBN : 9788968173165

책소개

칸트 미학은 미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획기적인 전환
철학적 상식을 가진 비전문가도 읽을 수 있는 칸트 미학 연구서

독일의 대표적 철학자 중 한 명인 마르크바르트는 18세기 서구 미학의 생성과 발전을 서양 철학사의 큰 사건으로 규정한다. 왜냐하면 철학적 관심의 초점이 미학으로 전환되는 것은 철학이 그때까지 비이성적인 것으로 치부하고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던 “아름다움”이라는 영역을, 즉 예술, 감정, 환상, 취향, 내적 체험 등등을 감싸는 영역을 주요 논의 대상으로 삼았고, 그 결과 미학이 철학의 기본 분야로서 정립되었기 때문이다. 마르크바르트에 따르면 이러한 혁명적 전환은 칸트 미학에서 비롯된다. 칸트는 “이 전환의 기초를 닦은” 사람이라는 것이다. 저명한 연구자 비르기트 레키 역시 칸트의 [판단력 비판]을 서양 철학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으로 규정한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칸트 미학은 미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획기적인 전환
철학적 상식을 가진 비전문가도 읽을 수 있는 칸트 미학 연구서


독일의 대표적 철학자 중 한 명인 마르크바르트는 18세기 서구 미학의 생성과 발전을 서양 철학사의 큰 사건으로 규정한다. 왜냐하면 철학적 관심의 초점이 미학으로 전환되는 것은 철학이 그때까지 비이성적인 것으로 치부하고 그 가치를 인정하지 않던 “아름다움”이라는 영역을, 즉 예술, 감정, 환상, 취향, 내적 체험 등등을 감싸는 영역을 주요 논의 대상으로 삼았고, 그 결과 미학이 철학의 기본 분야로서 정립되었기 때문이다. 마르크바르트에 따르면 이러한 혁명적 전환은 칸트 미학에서 비롯된다. 칸트는 “이 전환의 기초를 닦은” 사람이라는 것이다. 저명한 연구자 비르기트 레키 역시 칸트의 ?판단력 비판?을 서양 철학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으로 규정한다. “아름다움”, 즉 “미”를 “진”과 “선”에서 철저하게 분리했고, 플라톤 이래 서양 미학사에서 처음으로 “미”를 인간의 감성과 연계했으며, 더 나아가 “미”의 자율성을 주창했다는 이유에서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관점에서 칸트 미학이 미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획기적인 전환으로 이해되는가? 이 책 『아름다움과 인간의 조건: 칸트 미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은 철학적 상식을 가진 일반인도 읽을 수 있는 칸트 미학 연구서를 쓰려 했던 저자의 시도가 맺은 결실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I 왜 칸트의 미학이 미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획기적인 전환으로 이해되는가?



1. “진”과 “선”에서 “미”의 독립

2. 역사적 상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서의 미학의 정립

3. 주관적ㆍ인간학적 미학의 성립



II 취미판단



1. 판단력과 인식판단

2. 판단력과 취미판단

(1) “미적ㆍ감성적” 본성: 판단 주체와 판단 대상의 분리

(2) “자유로운 유희”

1) “자유로운 유희”와 인식능력의 상호관계

2) “자유로운 유희”와 미적 판단

3) “자유로운 유희”와 “본래적 인식”



III 아름다움의 조건



1. “관심 없는 만족”

2. 아름다움과 인간의 본성

3. “목적 없는 합목적성”

(1) “목적 없음”과 “관심 없음”의 의미적 연관성

(2) 주관적, 형식적 합목적성

(3) 대상 형식의 합목적성

(4) 자연의 초월적 실체와 인간의 초월적 실체

(5) 아름다움과 도덕성의 상징



IV 취미판단의 보편성과 당위적 필연성



1. “주관적” 보편성: 동일한 대상에 대한 모든 주체의 동일한 판단

2. 인간 본성의 “보편적 실체”와 인류 공동체의 이상

(1) 미적 판단과 인간의 본성

(2) 보편성과 인류 공동체의 이념

3. 공통감과 취미판단 보편성의 필연성

(1) 공통감: 필연적 보편성의 조건과 원칙

(2) 공통감과 인류 공동체의 이상



V 칸트 미학과 이상주의적 현실비판



1. 유용론적 사유와 정관적 미적 체험

2. 개념적 인식과 ‘본래적 인식’

3. 인류 공동체의 이상



문헌 일람표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