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시의 황혼 (1940년, 누가 시를 보았는가)
저자 : 조영복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20
ISBN : 9788968178665
책소개
“시는 어느 때 보다 아름답고 숭고하고 빛나는
우리말의 성채를 담금질하고 있다.”
어둠 속에 잠겨든 침묵의 문자를 읽는 것은 ‘상징’을 읽는 것이고, 시대의 ‘황혼녘’에서 우리시의 빛나는 목소리를 찾아내는 것이기도 했다. 임화의 일제말기 평론들이 주는 가치를 읽게 되었고, 1930년대 중후반기에 등단한 신진시인들의 언어적 · 문학적 관점이 갖는 힘들이 느껴졌다. ‘시단’만 이동한 것이 아니라 ‘말(언어)’이 이동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기 언급된 시인들은 임화, 김광균, 이용악, 오장환, 서정주, 윤곤강, 백석, 김기림 등이다. 윤동주, 이육사, 정지용, 임학수, 이찬, 조벽암, 김종한 등의 시와 논점이 여기에 한몫하고 있다. 기존의 문학사조적 관점이나 ‘모더니즘/리얼리즘 관점’으로는 포회되지 않는 조합인데, 그들은 한결같이 어둠 속에서 별무리처럼 얽혀있는 언어의 불꽃들을 친구 삼아 시를 썼다.
목차
PROLOGUE
소극적 반동에서 능동적 의지로
― ‘하지 않으면 안 된다’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로
1부 총론
시와 불, 시인과 장미
2부
황혼과 양식
1. ‘최후의 양식(Lateness)’으로서의 상징
(1) 황혼기에 시는 어떻게 오는가
(2) 황혼의 역사철학적 해석-황혼과 비극적 세계관
2. 황혼과 상징
(1) 황혼, 꿈과 외롬 ‘사이’에 있는 것
(2) 상징과 계시, 상징주의 재론
(3) ‘밤’의 언어 ― ‘상징’의 소셜미디어(Social Media)적 가치
(4) 예언의 말, 침묵의 노래- ‘-노라’와 묵시체
(5) 황혼과 세대론-신세대 시인과 상징 코드
3. ‘황혼’의 시적 논리와 해석학적 관점
(1) 시적 언어와 산문적 언어
(2) ‘황혼’의 이론적 · 해석학적 접근
(3) 文章‘保國’: ‘文章’保國-산문과 담론의 논리를 넘어서
(4) 현실: 언어-상실된 것: 영원한 것
4. ‘황혼’의 이념과 그 표상들
(1) 황혼과 숭고
(2) 황혼과 고전
(3) 황혼과 울음
(4) 황혼과 무덤
(5) 황혼과 고원
(6) 황혼과 가을
(7) 황혼과 중간인들
3부
황혼기의 시인들
김광균; ‘황혼’을 움직이는 반가(反歌)의 산책자
이용악; ‘황혼’에 나는 등곱새와 미래의 꽃씨
오장환; 어둠 속 푸른 불을 품은 거북
서정주; 마왕 ‘루시퍼’(Luciper)의 교의(敎義)로부터 ‘브륀힐데’(Brynhildr)의 구원으로
윤곤강; ‘황혼’의 풍경화와 ‘별떼’의 축제
백석; ‘슬픔’의 질문에서 ‘침묵’의 성스러움까지
김기림; ‘어둠’을 빨아들이는 청동 그릇의 향훈(香薰)
EPIOGUE
‘황혼의 시학’과 시의 주권(主權)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