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고려시대 한시와 국어시가의 상관성
저자 : 정소연
출판사 : 한국문화사
출판년 : 2020
ISBN : 9788968179013
책소개
-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 2021 교육부장관상 수상
고려시대에는 국문이라는 문자도 없고, 한문과 향찰의 문자생활을 하면서 국어를 구어로 하는 이중언어 속에 있었다. 이러한 고려시대에는 조선시대에 비해 한시와 국어시가를 대등하게 인식한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고려시대 시인들은 국어시가를 개인 서정시로 짓는 경우가 조선시대에 비하면 극히 적지만, 한시를 통해 국어시가를 여러 방식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시와 노래를 대등하게 인식하고, 국어시가의 다양한 한시화 양상이 고려시대에 지속되고 있는 것을 본서를 통해 살펴보았다.
목차
· 머리말
1. 서론
|I.10세기
2. 향가 「普賢十願歌」와 한역시의 구조 비교
2.1. 서론
2.2. 국어시가의 한역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2.3. 「普賢十願歌·頌」의 내용구조 비교
2.4. 한 행의 한역 양상 비교
2.4.1. 일대일 대응 관계
2.4.2. 새로운 내용의 추가와 구체화
2.4.3. 삭제 관계
2.5. 한시의 首·?·頸·尾聯과 향가의 제1·2·3句 비교
2.6. 결론
3. 「보현십원가」에 나타난 탄사의 기능 변화와 시적 특성 강화
3.1. 서론
3.2. 신라 향가와 고려 향가의 탄사 비교
3.3. 신라 향가와 고려 향가의 거리: 노래인 향가에서 가시(歌詩)로서의 향가로
|II.11~12세기
4. 11~12세기 한시와 국어시가의 상관성
4.1. 개관
4.2. 11세기 초 전후 향가와 장연우의 한역시 「寒松亭」
4.3. 예종의 한시와 국어시가 비교
4.4. 정서의 국어시가 「정과정」과 한시
4.5. 12~13세기 이규보의 한시와 국어시가의 상관성
4.5.1. 이규보의 구비서사시와 서사 한시 「東明王篇」
4.5.2. 이규보를 통해 본 13세기 전반기 한시 속의 국어시가
|III.13세기
5. 13세기 사대부의 한시와 국어시가의 밀착, 경기체가 「한림별곡」
6. 13세기 승려의 한시와 국어시가의 상관성
6.1. 혜심의 한시 속에 나타난 국어시가의 특성
6.2. 충지의 한시 속에 나타난 국어시가의 특성
7. 『삼국유사』에 나타난 한시와 국어시가의 상관성
7.1. 『삼국유사』의 구성 방식과 시가(詩歌)에 대한 13세기의 적극적 관심
7.2. 『삼국유사』에 병기(倂記)된 한시와 국어시가 비교
7.3. 일연의 한시와 국어시가에 대한 인식
|IV.14세기
8. ‘소악부(小樂府)’를 통해 본 한시와 국어시가의 상관성
8.1. 서론
8.2. 소악부 창작 배경에 나타난 한시와 국어시가의 관계
8.3. 이제현과 민사평의 소악부의 구성과 시가사적 의의
9. 14세기 사대부의 한시와 국어시가 비교
9.1. 안축의 경기체가와 한시 비교
9.2. 사대부 이중언어시인의 시조와 한시 비교
9.2.1. 서론
9.2.2. 우탁의 시조와 한시 비교
9.2.3. 이조년의 시조와 한시 비교
9.2.4. 이색의 시조와 한시 비교
9.2.5. 원천석의 시조와 한시 비교
9.2.6. 정몽주의 시조와 한시 비교
9.2.7. 길재의 시조와 한시 비교
9.2.8. 이존오의 시조와 한시 비교
9.2.9. 정도전의 시조와 한시 비교
10. 14세기 승려 혜근의 한시와 가사 비교
10.1. 서론
10.2. 발화 대상 비교
10.3. 제재 및 내용 비교
10.4. 한시와 가사의 형식과 언어 매체의 상관성 비교
10.5. 결론
|V.고려시대 전체
11. 고려 한시를 통해 본 국어시가
11.1. 서론
11.2. 고려 한시에 나타난 시가관
11.2.1. 시와 노래를 다르게 구분하는 관점
11.2.2. 시가일도관
11.3. 한시에 나타난 이별의 노래
11.4. 한시에 나타난 민요 개관 및 어부 노래
11.4.1. 개관
11.4.2. 한시에 나타난 민요 뱃노래
11.4.3. 사대부의 어부가, 창랑가와 탁영가
11.5. 한시에 나타난 잘 알려진 국어시가
11.5.1. 신라의 기녀 천관의 노래와 고려가요 「가시리」
11.5.2. 망부석 설화와 「정읍사」
11.5.3. 「정과정」과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수용사
11.5.4. 신라와 고려의 「처용가」
11.5.5. 「벌곡조」, 「포곡가」, 「유구곡」의 관련 양상
12. 결론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