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러닝 리액트 (리액트와 리덕스로 구축하는 효율적인 웹 UI)
러닝 리액트 (리액트와 리덕스로 구축하는 효율적인 웹 UI)
저자 : 알렉스 뱅크스|이브 포셀로
출판사 : 한빛미디어
출판년 : 2018
ISBN : 9788968487576

책소개

10가지 프로젝트 청사진으로 정복하는 최신 웹 개발

노드(Node.js)는 서버 사이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사실상 표준 프레임워크다. 이 책은 최신 LTS 버전인 6.x을 기준으로 각종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모던 웹 앱 개발 과정을 훑어본다. 간단한 SNS, 상점 찾기, 실시간 채팅 등 10가지 예제를 통해 MVC 디자인 패턴, DB, Restful API, 지속적 배포 같은 주제를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다. 격변하는 웹 개발 환경 속에서 스킬을 빠르게 향상하고 적합한 도구를 선택할 안목도 기를 수 있는 책.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최신 기법과 도구를 활용한 예제 프로젝트로
빠르게 배우는 모던 웹 앱 개발

오늘날 웹 개발은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도구와의 싸움이다. 실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며 검증된 도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 책은 최신 LTS 버전인 노드(Node.js) 6.x로 10가지 웹 프로젝트의 청사진을 만들어나간다.
입문자를 위해 자바스크립트나 노드를 기초부터 가르치는 책은 아니다. 개발 경험이 있는 개발자가 예제를 중심으로 실무에 노드를 활용하는 법을 효율적으로 익힐 수 있게 구성되었다.
먼저 익스프레스로 트위터 형태의 앱을 만들어보며 MVC 디자인 패턴을 배운다. 이어서 몽고DB와 MySQL을 이용해 음반, 스트리밍, 사진, 상점 찾기 앱을 만든다. 나아가 루프백, Socket.IO, 리액트, 앵귤러JS 등을 이용해 고객 리뷰, 실시간 채팅, 갤러리, 블로그 앱을 만들어본다. 끝으로 프런트엔드 빌드 프로세스, 도커, 지속적 배포 같은 주제도 탐색한다.
각종 기법과 도구를 활용한 최신식 개발 과정을 조망함으로써 노드 웹 개발에 공통되는 핵심을 익힐 수 있다. 책을 완독하면 오늘날 웹 개발 환경을 숙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확장성 높은 앱 개발에 필요한 최선의 도구와 프레임워크를 선택할 안목도 생길 것이다.

주요 내용

●Node.js 개발의 MVC 디자인 패턴 학습
●테스트 주도 개발로 견고한 아키텍처 구축
●RESTful API, 몽고DB, ORM을 활용한 SPA 개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온전한 익스프레스 앱 개발
●Socket.IO를 이용한 실시간 채팅 앱 개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CHAPTER 1 MVC 디자인 패턴을 이용한 트위터 스타일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1.1 Node.js 설치하기
1.2 익스프레스 제너레이터 설치하기
1.3 기초를 구축하기
1.4 애플리케이션의 구조 변경하기
1.5 부분 파일을 이용해 views 폴더의 구조 재편하기
1.6 로그인, 가입, 프로필 템플릿 추가하기
1.7 추가적인 미들웨어 설치하기
1.8 새로운 미들웨어로 app.js 파일 리팩터링하기
1.9 config와 passport 파일 추가하기
1.10 models 폴더 만들기와 user 스키마 추가하기
1.11 라우트 보호하기
1.12 controllers 폴더 만들기
1.13 애플리케이션 실행하기와 코멘트 추가하기
1.14 마치며

CHAPTER 2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기본 웹사이트 만들기
2.1 무엇을 만들게 될까?
2.2 기초 애플리케이션 생성하기
2.3 스위그 템플릿 엔진 설치하기
2.4 views 폴더 리팩터링하기
2.5 controllers 폴더 만들기
2.6 헤드와 푸터용 부분 파일 추가하기
2.7 sequelize-cli 설치 및 설정하기
2.8 config.json 파일의 DB 접속 정보 수정하기
2.9 User 스키마 생성하기
2.10 Band 스키마 생성하기
2.11 Band 모델과 User 모델의 관계 생성하기
2.12 MySQL에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
2.13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확인하기
2.14 애플리케이션 컨트롤러 만들기
2.15 애플리케이션 템플릿/뷰 만들기
2.16 애플리케이션에 스타일 추가하기
2.17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트와 컨트롤러 추가하기
2.18 데이터베이스 콘텐츠 추가하기
2.19 Band 폼 만들기
2.20 새 Band 데이터 삽입하기
2.21 ODM(몽구스)과 ORM(시퀄라이즈)의 주요한 차이점
2.22 마치며

CHAPTER 3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구축하기
3.1 무엇을 만들게 될까?
3.2 package.json으로 시작하기
3.3 기본 설정 파일 추가하기
3.4 서버 폴더 추가하기
3.5 app.js 파일 구성하기
3.6 config.js 파일 만들기
3.7 컨트롤러 파일 만들기
3.8 모델 파일 만들기
3.9 뷰 파일 만들기
3.10 public 폴더의 콘텐츠 만들기
3.11 업로드 폼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이미지 삽입하기
3.12 업로드 폼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비디오 파일 삽입하기
3.13 이미지와 비디오 업로드에 대한 주의 사항
3.14 마치며

CHAPTER 4 찍지 말고, 만들자: 사진가를 위한 앱
4.1 무엇을 만들게 될까?
4.2 기초 애플리케이션 생성하기
4.3 book 컨트롤러 만들기
4.4 애플리케이션에 CSS 프레임워크 추가하기
4.5 views 폴더 리팩터링
4.6 env.js 파일 만들기
4.7 클라우디너리 작동 방식
4.8 애플리케이션 실행
4.9 클라우디너리 대시보드에서 폴더 만들기
4.10 URL 변환 렌더링
4.11 요약

CHAPTER 5 몽고DB 지형 공간 쿼리를 사용한 매장 검색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5.1 무엇을 만들게 될까?
5.2 기초 애플리케이션 생성하기
5.3 기본 구조 리팩터링
5.4 지오로케이션 HTML5 API 사용하기
5.5 애플리케이션 컨트롤러 만들기
5.6 모델 생성
5.7 뷰 템플릿 만들기
5.8 몽고DB에 위치 추가하기
5.9 몽고DB의 지형 공간 인덱스 이해하기
5.10 지오로케이션 애플리케이션 확인하기
5.11 거리별로 지점 나열하기
5.12 마치며

CHAPTER 6 RESTful API 및 LoopBack.io로 고객 피드백 앱 구축하기
6.1 무엇을 만들게 될까?
6.2 명령 줄로 모델 만들기
6.3 명령 줄로 작성한 모델 편집하기
6.4 명령 줄로 데이터소스 만들기
6.5 데이터소스에 모델 연결하기
6.6 API 탐색기 사용하기
6.7 데이터베이스 관계 추가하기
6.8 루프백 부트 파일 다루기
6.9 API 사용하기
6.10 리액트 컴포넌트 만들기
6.11 새로운 피드백 쓰기
6.12 마치며

CHAPTER 7 Socket.IO를 사용하여 실시간 채팅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7.1 무엇을 만들게 될까?
7.2 package.json 파일로 시작하기
7.3 설정 파일 추가하기
7.4 태스크 매니저 파일 추가하기
7.5 app.js 파일 만들기
7.6 라우트 파일 만들기
7.7 애플리케이션 뷰 만들기
7.8 바우어로 프런트엔드 컴포넌트 설치하기
7.9 Socket.io 이벤트 만들기
7.10 채팅 애플리케이션 시작하기
7.11 마치며

CHAPTER 8 키스톤 CMS로 블로그 만들기
8.1 무엇을 만들게 될까?
8.2 키스톤 프레임워크 설치
8.3 기초 애플리케이션 생성하기
8.4 키스톤 블로그 실행하기
8.5 키스톤 엔진 해부
8.6 기본 부트스트랩 테마 변경하기
8.7 KeystoneJS 코어 템플릿 경로 수정
8.8 갤러리 스크립트 추가하기
8.9 keystone.js 코어 확장
8.10 제어판을 사용하여 콘텐츠 삽입하기
8.11 마치며

CHAPTER 9 Node.js 및 NPM을 사용하여 프런트엔드 프로세스 구축하기
9.1 무엇을 만들게 될까?
9.2 기초 애플리케이션 생성하기
9.3 애플리케이션 폴더 리팩터링
9.4 애플리케이션 뷰 추가하기
9.5 앵귤러JS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9.6 애플리케이션에 콘텐츠 추가
9.7 빌드용 태스크 생성하기
9.8 개별 명령으로 태스크 사용하기
9.9 헤로쿠 클라우드에 배포하기
9.10 마치며

CHAPTER 10 지속적 통합 및 도커를 이용한 생성과 배포
10.1 무엇을 만들게 될까?
10.2 지속적 통합이란 무엇일까?
10.3 기초 애플리케이션 생성하기
10.4 애플리케이션 실행
10.5 깃허브 또는 비트버킷 무료 계정 만들기
10.6 헤로쿠 무료 계정 만들기
10.7 MongoLab에서 무료 샌드박스 계정 만들기
10.8 깃 저장소 초기화 및 깃허브로 푸시하기
10.9 헤로쿠 대시보드를 사용하여 헤로쿠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10.10 코드십 무료 계정 만들기
10.11 도커 설치 및 애플리케이션 설정
10.12 마치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