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글 디자인 교과서(AG 교과서 시리즈6)
한글 디자인 교과서(AG 교과서 시리즈6)
저자 : 안상수
출판사 : 안그라픽스
출판년 : 2009
ISBN : 9788970594156

책소개

1997년 출판된 <한글디자인>을 토대로 시대에 맞게 고치고 변화된 환경을 더하면서 시대가 한글꼴에 요구하는 정신을 덧붙였다. 그래서 저자들은 이 책을 <한글디자인 교과서>라고 새로 이름 지었다. 이 책은 한글을 바르게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자세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룬 것으로, 한글디자인의 바른 방향 제시는 물론 시각디자이너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작업 과정의 태도와 고도의 훈련 과정을 스스로 깨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시대정신을 반영한 한글을 디자인하다
한글은 시대정신의 산물입니다
한글꼴의 발달 역시 시대정신이 이끌었습니다


참다운 디자인을 하기 위해 알아야 할 우리의 정신. 그 정신의 뿌리가 되는 우리의 말, 우리의 글자. 그 글자 한글과, 한글디자인의 정신이 담긴 이 책은 빛나는 디자이너가 되기 위한 정직한 바탕이 되리라 믿습니다.
- 박우혁 타이포그래퍼, 타입페이지 대표

그래픽디자인의 역사는 타이포그래피의 역사와 함께 한다고 합니다. 한국 그래픽디자인의 근본은 한글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동안 서양문자에 관한 많은 번역서와 단편적 이론서들이 많았지만 한글과 한국적 디자인에 대해서 참고할 만한 책은 없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이책 '한글디자인'에 의해 문자의 조형 원리뿐만 아니라 철학적 근거를 통해서 한글디자인과 한국디자인의 관계성, 그리고 그 가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실무를 하고 있는 출판디자이너, 글꼴디자이너들까지도 참고할 만한 의미 있는 책을 만날 수 있게 해 준 세 분의 노고와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 임진욱 한글디자이너, (주)디자인에쿼티 대표이사

기획 의도 및 의의

이 책은 1997년 출판된『 한글디자인』을 토대로 시대에 맞게 고치고 변화된 환경을 더하면서 시대가 한글꼴에 요구하는 정신을 덧붙였다. 그래서 우리는 이 책을『 한글디자인 교과서』라고 새로 이름 지었다. 『 한글디자인』에서는 ‘한글디자인’을 ‘한글 활자디자인’의 줄임말로 정의하고 사용했다. 그때는 ‘한글디자인’이라는 말을 잘 쓰지 않았고 그저 글자디자인 또는 문자디자인이라고 하여 ‘레터링’행위 정도로 이해하면서 한글을 예쁘게 그리거나 개성이 잘 드러나게 그리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책 이름을 『한글디자인』이라 지었었고, ‘한글디자인’의 의미와 정신을 살리고 문자로서 한글의 기능이 중요하다는 것을 부각시키기 위해서였다.
다행히 사람들은 활자디자인으로서 한글디자인의 의미를 알게 된 듯하다. 그동안 우리는 한글의 정신과 원리가 한국 디자인 정신으로서의 가치를 더욱 확실히 알게 되어 ‘한글디자인’을 ‘활자디자인’으로 좁게 보기보다 한글의 정신과 원리를 반영한 디자인이라고 범위를 새롭게 설정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한글은 다른 나라 글자들과 달리 뚜렷한 의도로 처음부터 치밀하게 디자인된 시대정신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글꼴의 발달을 이끌었던 것 역시 시대정신이었다. 한글의 기계화와 효율성에 대한 고민은 세벌식 활자를 낳게 했고, 잘 읽히는 것에 대한 고민이 세벌식 활자와 만나면서 탈네모꼴 활자의 팽창을 이루었다. 한글 활자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는 기술의 힘을 빌어서 해결했고, 이제 개인과 기업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편으로도 활용하게 되었다.
또한 온라인 미디어의 발생은 한글꼴을 새로운 매체에 적응시켜야 했기에 본문용 글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왔다. 나아가서 온라인 미디어의 부흥은 감성적이고 발랄하고 재미있는 한글꼴을 요구하게 되었고 한글꼴은 그에 부응했다. 이 과정에서 ‘한글을 돈 주고 산다’는 생각도 널리 퍼졌다. 마치 이제 모든 것이 해결된 듯 더 이상 새로운 한글꼴이 필요 없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는 다시 이 시대에 필요한 한글꼴은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한글이 우리문화의 기초이고 한글꼴이 우리 시각문화의 주춧돌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하게만 퍼져 있는 한글꼴의 조형적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인간을 포함한 수많은 생명이 함께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한글꼴을 생각해야 한다. 이것이 이 시대에 필요한 한글꼴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이 책은 한글을 바르게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자세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다룬 것으로, 한글디자인의 바른 방향 제시는 물론 시각디자이너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작업 과정의 태도와 고도의 훈련 과정을 스스로 깨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아울러 이 책이 한글을 이용하여 디자인하는 사람들에게 한글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이정표가 되고, 한글을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이 한글문화의 올바른 이해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 세계의 글자와 한글
1-1 글자의 기능
1-2 글자의 기원
1-3 글자의 발전 단계
1-4 필기도구와 글자꼴

2 한글 창제와 한글꼴의 발달
2-1 한글 창제 배경
2-2 한글의 글자 특성
2-3 한글의 조형적 특징
2-4 한글꼴의 발달

3 한글디자인의 기본
3-1 한글디자인의 개념과 범위
3-2 재료, 도구, 장비
3-3 글자디자인의 기본
3-4 착시와 시각 보정
3-5 활자의 공간

4 한글 글자디자인의 과정
4-1 발상의 샘
4-2 표현의 기술
4-3 세벌식 탈네모틀 한글꼴
4-4 네모틀 한글꼴

5 한자와 로마자의 이해
5-1 한자의 이해
5-2 로마자의 이해
5-3 한글과 한자, 로마자의 조화

6 한글꼴의 미래
6-1 한글꼴의 미래

부록
공모전 참고 작품
용어 해설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