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증보사례편람 역주본
증보사례편람 역주본
저자 : 문옥표|이충구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출판년 : 2014
ISBN : 9788971059814

책소개

『증보사례편람 역주본』은 『증보사례편람』을 대상으로 원문을 번역하고 주석을 덧붙임과 동시에 원본을 함께 소개함으로써 조선시대의 관혼상제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전의 번역들에서는 다뤄지지 않은 본주(本註)와 세주(細註)까지도 빠짐없이 번역하여 이해를 돕고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관혼상제(冠婚喪祭)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행사로, 특히 성리학을 나라의 근본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는 관혼상제가 단순한 의례 이상이었다. 이러한 관혼상제는 과거 선인들로부터 현대인에 이르기까지 삶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임에도 구시대의 낡은 유물로 여겨져 사라져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증보사례편람』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인 이재(李縡)가 편술한 『사례편람』을 후대에 황필수·지송욱이 보충하여 펴낸 책이다. 『사례편람』은 관혼상제의 사례(四禮)에 대한 종합적인 예서로, 주자의 『가례』나 『상례비요』 등을 바탕으로 하였다. 특히 조선시대 일반 가정에서 의례를 행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된 책이었으며, 17~18세기에 행해진 의례와 중간(重刊) 때 추가된 내용들이 포함되어 조선 후기의 의례 변화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책 『증보사례편람 역주본』은 『증보사례편람』을 대상으로 원문을 번역하고 주석을 덧붙임과 동시에 원본을 함께 소개함으로써 조선시대의 관혼상제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특히 이전의 번역들에서는 다뤄지지 않은 본주(本註)와 세주(細註)까지도 빠짐없이 번역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일러두기
증보사례편람 해제

증보사례편람
제1권 관례冠禮
관冠
부록 계?
제2권 혼례婚禮
의혼議昏
납채納采
납폐納幣
친영親迎
부附 예부터 내려온 습관화된 혼례 및 신식 혼례와 상례
제3권 상례喪禮 1
초종初終
습襲
소렴小斂
대렴大斂
제4권 상례喪禮 2
성복成服
조弔
문상聞喪
제5권 상례喪禮 3
치장治葬
천구遷柩
발인發引
급묘及墓
반곡反哭
제6권 상례喪禮 4
우제虞祭
졸곡卒哭
부제사?祭祀
소상小祥
대상大祥
담?
길제吉祭
제7권 상례喪禮 5
개장改葬
부附 자래관행혼례신식혼상自來慣行婚禮及新式婚喪
제8권 제례祭禮
사당祠堂
사시제四時祭
예제?祭
기일제忌日祭
묘제墓祭
보유補遺 통례通禮
사례편람 발祭
사례(四禮)에 나타난 친속 호칭 비교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