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한국 민주주의의 역설 (제도 신뢰 결손)
저자 : 강우진
출판사 : 경북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21
ISBN : 9788971805534
책소개
한국은 2017년을 기준으로, 1987년 유월항쟁을 통해서 민주주의로 이행한 지 30년을 맞았다. 민주주의가 한 세대를 거치는 동안 한국은 일곱 번의 대통령 선거(제13대~제19대)와 아홉 번의 국회의원 선거(제13대~제21대)를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세 번의 정권 교체를 평화적으로 이루어 냈다. 또한 전례 없는 1997년 IMF 외환 위기와 현직 대통령 탄핵과 구속이라는 대내외적 위기를 헌정 중단 없이 극복했다. 현대 대의 민주주의의 핵심적인 요소가 공정하고 경쟁적인 선거라고 할 때 한국은 지난 한 세대 동안 민주주의를 성공적으로 제도화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시각에서 보면, 한국 민주주의의 성취 이면의 또 다른 속살을 만나게 된다. 세 번의 정권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민주주의가 공고화되는 동안에도 민주주의 체제를 선호하는 시민들의 비율은 낮을 때는 절반 이하를 기록하기도 했고, 가장 높을 때도 70%를 넘지 못했다. 더구나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제도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는 더 취약하다. 대표적으로 2000년대 이후 정부 신뢰 수준은 15.14%~29.58%에 그쳤다. 또한 정치를 운영하는 정치인에 대한 불신도 다르지 않다. 한 조사에 따르면 100점 만점으로 측정된 부문별 신뢰 점수 조사에서 정치권은 28점을 얻어, 처음 만난 사람에 대한 신뢰 점수(40점)보다 낮았다.
이처럼 민주화 이후 30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국 민주주의는 권력의 교체 방식을 중심으로 한 민주주의 체제의 안정적 제도화와 민주주의 제도에 대한 시민적 지지 결손(deficit)의 지속이라는 양면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대조적인 결과를 ‘한국 민주주의의 역설’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역설인 제도 신뢰 결손에 대해서 다각도로 분석하고 있다. 제1장~제5장은 민주주의 체제 수준의 지지를, 제6장과 제7장은 정부 신뢰와 의회 신뢰로 대표되는 제도 신뢰를 분석했다. 이 책의 결론에 해당하는 제8장과 제9장에서는 제도 신뢰 결손의 결과를 규명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민주주의 체제 수준의 지지
이념으로서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지지
민주주의 적합성
민주주의는 다른 체제보다 더 나은 체제인가?
민주주의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능한 체제인가?
민주주의는 다른 가치보다 더 우선하는가?
민주주의 실제에 대한 지지: 현재 민주주의 작동 방식에 대한 만족
제2장 체제 수준의 민주적 지지 결정 요인_경제적 불평등 인식
민주적 지지에 관한 이론적 분석틀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인식
제3장 체제 수준의 민주적 지지 결정 요인_공정성에 대한 인식
공정성에 대한 이론적 분석틀
연구 설계
분석 결과
제4장 한국 민주주의와 부분 체제_이명박 정부하의 한국 민주주의 질
이명박 정부하의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앞선 연구
이론적인 분석틀: 공고화, 민주주의의 질, 부분 체제
이명박 정부하의 한국 민주주의의 부분 체제
제5장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인식과 민주적 지지_이명박 정부의 사례
이명박 정부하에서 민주주의 질의 후퇴
연구 설계
제6장 무엇이 정부에 대한 신뢰를 결정하는가?
한국의 제도 신뢰 수준의 변화
정부 신뢰의 비교적 수준
누가 정부를 신뢰하고 누가 불신하는가?
시민들이 왜 정부를 불신하는가에 대한 다섯 가지 가설
제7장 무엇이 의회에 대한 신뢰를 결정하는가?
분석 모델
변수의 측정
경험 분석-로짓 모형
의회 불신의 정치적 영향
제8장 제도 신뢰의 결과_기회 균등 인식
이론적 분석틀
연구 설계
분석 결과
제9장 제도 신뢰의 결과_삶의 만족도
이론적 분석틀
연구 설계
분석 결과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