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조선과 중화 (조선이 꿈꾸고 상상한 세계와 문명)
조선과 중화 (조선이 꿈꾸고 상상한 세계와 문명)
저자 : 배우성
출판사 : 돌베개
출판년 : 2014
ISBN : 9788971995976

책소개


『조선과 중화―조선이 꿈꾸고 상상한 세계와 문명』은 여말선초부터 한말에 이르는 긴 시간대 위에서 조선 지식인들이 추구한 세계관을 당대의 다양한 역사적 변수와 맥락 속에서 탐색한다. 지리와 문명에 대한 당대인들의 상상력을 매개로 그 세계관이 지닌 지성사적 의미를 궁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세계관은 다름 아닌 ‘중화’中華이다. 조선왕조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흔히들 ‘성리학의 나라’라는 답을 떠올리게 마련이다. 이보다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저자는 ‘중화의 나라’라는 답변을 내놓는다.


목차


책을 펴내며 중화세계관이 그린 조선 지성사의 궤적을 좇아서
프롤로그 중화를 바라보는 시선


1부 ‘위대한 청나라’와 ‘문명의 계승자’ 사이에서

1장. 삼전도비는 조선 지식인에게 무엇이었나
마푸타와 범문정, 조선을 압박하다
비석의 건립과 그 영향

2장. 김수홍의 지도, 중화세계를 꿈꾸다
두 장의 지도, 세계관의 표현과 역사의 기억
중화세계와 그 주변, 그리고 미지의 땅


2부 지리와 풍토론은 어떻게 중화관을 형성했는가

1장. 풍토와 소중화의 맹아
화華와 이夷 혹은 단군과 기자
제후국 조선은 제천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

2장. 풍토와 언어
훈민정음ㆍ중국어의 위상과 중화관
중화의 정음과 중국어 그리고 만주어

3장. 풍토론의 전개와 중화관의 내면화
지리적 중화관과 풍토부동론
새로운 풍토론의 등장과 중원대륙의 위상
전횡도에 담긴 시선과 논리


3부 조선은 왜 만주 지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을까

1장. 국제질서와 만주 지리의 중요성
영고탑 회귀설과 정치적 위기감
만주 지리 지식의 확장
변경의 치안과 지리적 관심의 이동

2장. 청나라 지리지에 나타난 백두산과 주변 하천
성경지 계열의 백두산과 주변 하천
〈황여전람도〉 계열의 백두산과 주변 하천
지리 정보의 불일치와 혼선


4부 변경과 역사적 고토는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1장. 변경과 국경
만주어 변경 지명의 번역
청나라 지리 정보의 영향과 전통 지리 지식의 변용
역사적 지명과 국경

2장. 누가, 왜 고토를 회복해야 하는가
고토의 지리를 고증한 이유
고토 회복론이 제기된 배경과 맥락
고토 회복론의 그림자


5부 중국 밖의 세계와 지리적 시야의 확대

1장. 중화문화의 경계로서의 유구
중국이 기억하는 유구
조선이 기억하는 유구
잊혀간 중화문화 국가, 유구

2장. 하이, 또 다른 위기 가능성
일본 지도와 하이에 관한 지리 정보
서구식 세계지도와 하이

3장. 중화 밖 세계로 지리적 시야를 확대하다
〈강리도〉와 그 사본들의 제작
서구식 세계지도가 전래될 수 있었던 맥락


6부 세계의 인식과 지리적 중화

1장. 명청대 중국의 세계 인식
세계지도에 대한 생각
전통적 이역으로서의 서양, 새로운 이역으로서의 서양
『고금도서집성』의 세계 인식

2장. 『지봉유설』이 구성한 외국 세계 또는 ‘서역’
중국사에서 확인되는 나라들
미지의 나라들
새로운 이역, 유럽으로서의 서양에 대한 인식

3장. 세계에 관한 동양적 모델과 천하도
동양 고전은 어떻게 세계를 구성했을까
‘바다 밖의 땅’ 혹은 ‘바다로 둘러싸인 땅’
천하도의 탄생

4장. 『환영지』가 구성한 세계
마테오 리치의 지도에 대한 오해
세계지도의 변용과 새로운 세계상
위백규가 『지봉유설』을 끌어들인 이유


7부 중화세계관이 그린 마지막 궤적

1장. 김정규, 공자를 들어 조국을 가리키다
변경의 유학 지식인, 고유문화와 ‘한국 사상’을 자각하다
공자의 가르침이냐, 조국의 독립이냐

2장. 유인석, 유교적 동양론을 제기하다
조선은 황제국이 될 수 있는가: 중화세계와 화동華東
중화문명의 수호와 전략적 제휴 대상으로서의 청나라
중화론의 마지막 궤적, 유교적 동양론의 탄생


에필로그 중화세계관이 그린 궤적을 맥락적으로 독해하기
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