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21세기 한국사학의 진로
저자 : 박찬승
출판사 : 한양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9
ISBN : 9788972186113
책소개
탈중심?다원화의 시대, 21세기…
한국사학의 진로를 모색한다
국가와 민족, 신분과 계급, 정체와 발전, 자율(주체)과 타율, 근대와 전근대 등은 20세기 한국사학에서 중심이 되는 개념들이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와 젠더, 환경, 지역, 문화, 인권, 탈근대와 같은 새로운 개념들이 들어와 한국사학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국가, 민족, 계급 등의 개념은 이제 중심의 자리에서 밀려나 젠더, 환경, 지역, 인권과 비슷한 자리에 서게 되었다. 중심이 사라진 ‘탈중심 사학’의 시대가 된 것이다. 이는 사회 자체가 다변화되면서 탈중심의 사회가 되고 있는 것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라고 보인다.
또 21세기 들어 자본과 노동의 대이동이 진행되면서 이제는 모든 나라들이 다민족 국가로 변해가고 있다. 따라서 문화다원주의, 다문화주의가 자연스러운 세상이 되었고, 그런 세상에서 역사학 또한 ‘다원주의 역사학’으로 변신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미 학계에서 나오고 있는 연구 논저들을 보면, 그 소재나 관점이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어느 주제가 더 중요하다고도 말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탈중심적·다원주의적인 역사학으로의 이행은 기존 학계에 오래 몸담아 온 이들로서는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필자 또한 이미 30년간 학계에 몸담아 온 역사 연구자로서 이러한 상황에 처하여, 당혹감을 느끼면서 많은 고민과 나름의 모색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은 지난 십여 년간 발표한 글들 가운데, 이 문제에 대한 필자 나름의 고민이 남긴 글들을 모아 고치고 또 덧보태어 정리해본 것이다.
목차
서문
제1부 21세기 한국사학의 쟁점과 진로 모색
1 한국사학계의 쟁점과 진로 모색
1. 문제의 제기
2. 20세기 한국사학의 성과
3. 21세기 한국사학의 진로를 둘러싼 논쟁
4. 소결: 다원화된 역사학으로
2 ‘내재적 발전론’의 재검토와 ‘복수의 근대’ 모색
1. ‘내재적 발전론’과 ‘주체적 발전론’
2. 1960년대 이후 한국학계의 ‘내재적 발전론’
3. 근대화론자의 ‘내재적 발전론 비판’
4. 탈근대론자들의 ‘내재적 발전론’ 비판
5. ‘내재적 발전론’의 진로
제2부 식민지시대에 대한 새로운 인식
1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 연구사
1. 연구의 목적
2. 시기별 연구 현황
3. 동화주의 · 동화정책에 관한 연구동향
2 식민지 조선의 사회와 경제에 대한 인식
─ 식민지수탈론, 식민지근대화론, 식민지근대성론을 중심으로
1. 식민지수탈론
2. 식민지근대화론
3. 비판적 식민지근대성론
4. 탈근대주의적 식민지근대성론
3 식민지 조선의 일상생활과 식민지 이중사회
1. 머리말
2. 인구 구성의 변화
3. 도시생활
4. 농촌생활
5. 교육과 의료의 기회
6. 맺음말 ― 식민지이중사회론
제3부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1 고려 · 조선시대의 역사의식과 문화정체성론
1. 문제제기
2. 고려시대 동국역사체계의 마련과 고유문화의 강조
3. 조선 전기 명분론 · 단군론의 공존과 보편 · 특수문화론의 공존
4. 조선 후기 유교 중심의 정통론과 보편적 문화정체성론
5. 맺음말
2 일제하 한국민족주의사학과 특수-보편론
1. 머리말
2. 동포(同胞) · 족류(族類)에서 민족(民族)으로
3. 민족주의사학의 출발과 문화적 특수성의 강조
4. 민족주의사학에 대한 보편주의자들의 비판
5. 맺음말
제4부 동아시아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
1 동북아 3국의 역사인식 공유를 향하여
1.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의 역사
2. ‘새로운 역사교과서’ 채택과 각국 정부의 대응
3. 일본과 아시아 각국의 민간 측의 대응
4. 역사교과서와 역사인식의 공유
2 한 · 중 · 일의 ‘동아시아사’ 함께 쓰기
1. 한·중·일 학자들의 역사책 함께 쓰기
2. 『미래를 여는 역사』의 검토
3.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의 검토
4.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로서의 동아시아사
3 동북아 3국의 역사교육의 목표를 다시 생각한다
1. 동북아 역사 갈등의 경과
2. 한 · 중 · 일 3국의 역사교육의 목표
3. 유엔 보고서가 말하는 역사교육의 방향
찾아보기(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