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과학 패권과 과학민주주의
과학 패권과 과학민주주의
저자 : 김웅진
출판사 : 서강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09
ISBN : 9788972731566

책소개

「서강학술총서」 제13권 『과학 패권과 과학민주주의』. 그동안 과학정치의 역동과 그것에 따른 방법론적 인식의 정치사회적 종속성에 대해 연구해온 저자가, 이번에는 '열린 사회과학'을 모색하고 있다. 사회과학 연구의 답습적 정체성과 정치적 예속성을 불러일으키는 과학정치의 역동으로부터 탈출하는 방안을 고찰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글



서론 지식 생산의 과학성과 탈과학성



제1장 과학적 신조, 인지습성과 연구 전통

1. 연구 전통의 과학적 정당성

2. 연구 전통의 구축 과정 : 과학 패권의 형성과 전개

3. 인지습성과 과학정치의 역동

1) 인지습성 : 유리스틱의 성화

2)전환의 추동력 : 인지습성의 붕괴

4. 과학적 도전의 요건

1) 도전 세력의 조직화

2) 정치경제적 후원의 획득

5. 실익 연합과 과학적 전환의 탈과학성



제2장 과학 패권과 저버넌스 네트워크

1. 지식 생산의 패권적 제어

2. 과학 패권의 행사 경로

1) 제도적 제어

2) 선별적 충원

3. 거버넌스 네트워크의 재생산

1) 지식 생산의 사회적 한계와 과학자 연합

2) 교조적 훈육

4. 과학정치의 해체와 과학의 진보



제3장 이념적 동원과 실익 교환

1. 유리스틱과 과학적 · 정치사회적 패권

2. 후원-수혜 연합의 과학적 거버넌스

3. 실의 교환 네트워크의 이념적 동원

4. 연대의 귀속성과 과학적 충성심

5. 유리스틱의 인증과 전환



제4장 분석모형, 방법론적 실존과 과학전체주의

1. 실존, 해석과 모형

2. 모형 : 가공된 실존의 선험적 기대

3. 은폐와 기피의 과학정치

4. 해체와 재구성의 정치적 역동

5. '유연한 모형'의 모색



제5장 발견과 연구 전통의 전환

1. 발견의 유리스틱 종속성

2. '우연'의 사회공학

3. 심리적 강박과 강요

4. 방법론적 순응과 합리적 선택

5. 긴장과 우상의 파괴



결론 과학적 자유와 과학민주주의: '열린 사회과학'의 모색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