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황석우 평전
저자 : 김학동
출판사 : 서강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6
ISBN : 9788972733140
책소개
그 동안 우리들이 황석우에 대하여 단편적으로 연구해온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가 우리의 근대문학 초창기에 김안서나 주요한 등과 함께 자유시 운동을 선도했던 사실은 잘 알고 있으면서도 그렇게 연구되지 않았던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그의 첫 시집이 늦게 출간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가 《폐허》나 《장미촌》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초기의 시작 활동이 거의 배제되다시피 하고, 그것도 [벽모碧毛의 묘猫]만을 대상으로 논의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는 많은 시작품들을 발표했음에도 그를 대표할 만한 뚜렷한 작품이 없었던 것이 그에 대한 연구가 부진하게 된 또 하나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가 시적 주제나 내용 및 시어 구사에서 다양한 실험을 했던 것은 사실이다. 시의 음악성이나 회화성 및 비유법의 다양화와 일본을 매개로 한 프랑스 상징주의 시와 시론의 도입은 그 시대 김안서와 함께 선도적 역할을 한 것에 대해서는 결코 과소평가될 수만은 없다고 본다.
목차
제1부 황석우의 생애와 문학 -전기적 접근
1. 황석우, 그는 언제 어디서 태어나서 성장했을까?-유·소년기
1) 황석우는 언제 어디서 태어났을까?- 출생 연도와 출생지의 불확실성
2) 망모亡母에 대한 그리움과 진경 누님에 대한 고마움
2. 보성전문 시절과 일본동경에서의 유학생활-청·소년기
1) 보성전문학교 입학과 법학 전공
2) 모표의장帽標意匠 변경의 문제와 출교黜敎 조치
3) 와세다早稻田 대학 입학과 졸업의 문제
3. 잡지 발간과 습작기의 문필활동-청년기·1
1) 《근대사조》 발간과 문필활동의 시작
2) 기타 잡지의 발간과 시와 산문의 발표
3) ‘ 신아新我신아新我’, 곧 주체성의 자각과 습작기의 한계
4) 정치가의 꿈에서 시인의 길로-그 전환의 의미
4. 폐허동인과 장미촌동인으로서의 시작 활동-청년기·2
1) 극예술협회의 창립과 각종 강연회 활동
2) 폐허동인의 결성과 ‘이탈離脫’의 의미
3) 시 전문지 ‘장미촌’‘장미촌’의 발간과 자유시의 선구
4) 신시新詩와 그 형식의 문제-현철玄哲과의 치열한 논쟁
5) 흑도회黑濤會의 결성과 아나키스트로서의 사회운동
5. 조선시단 조선시단조선시단사의 개설과 첫 시집 『자연송』의 출간-청·장년기
1) 신진시인新進詩人의 발굴과 그 영역의 확대-《조선시단 조선시단조선시단》의 창간
2) 첫 시집 『자연송』의 출간과 그 반향
3) ‘반송伴頌’의 시편들과 동시적 서정성
4) 새 부인 윤덕상과의 만남과 헤어짐의 진위 문제
6. 8·15 해방과 또다시 문단으로의 회귀-장·노년기
1) 대동신문사 주간의 취임과 시작 활동의 재개
2) 국민대학 교수의 취임과 안정된 가정생활
3) 혜화동 수도여의대 병원에서의 외로운 죽음죽음
에필로그
제2부 퇴폐적 경향과 ‘자연시’의 한계-시작 세계의 통시적 고찰
1. ‘ 신아新我신아新我’의 발견과 습작기의 시작 활동
1) ‘신아新我신아新我’, 곧 ‘참나(眞我)’의 발견
2) 회화적 기법회화적 기법과 감각미感覺美의 추구
2. ‘ 저녁’의 심상과 퇴폐적 경향
1) ‘파란 털의 고양이’와 ‘애정’의 모티프
2) ‘태양’과 ‘저녁’의 심상과 모티프
3) 원초적 관능과 원색적 표현
3. 《장미촌》의 발간과 자유시 운동
1) 미소微笑의 꽃가마(花輿)와 영적 방황
2) 이상향인 장미촌과 자유시 선언
3) 자연의 종신적 왕과 어린아이 박사들
4. 천체의 운행질서와 만유萬有의 생성 원리
1) ‘ 우주宇宙’, 곧 천체의 운행과 허무사상
2) ‘봄’의 시편들과 ‘나비’·‘미풍’·‘꽃’의 심상
3) ‘가을’과 대자연의 무도회
5. 정감적 속성과 경향적 사상시의 시도
1) ‘반송伴頌’의 시편들과 서정성의 문제
2) ‘빈곤貧困’의 심상과 경향시의 시도
6. 자연과의 일체화와 죽음의문제
1) 조국 해방의 기쁨과 자유의 종소리
2) ‘우주宇宙’, 곧 자연과의 일체화와 죽음의 징후 ?
제3부 황석우 시의 주요 심상과 모티프
‘태양’의 심상과 모티프
1. ‘태양의 침몰’과 ‘저녁’의 상징성-세기말과 퇴폐적 경향
2. ‘해’, 곧 ‘태양’의 의인화 과정과 그 상징성
1) 만유萬有의 아버지로서의 ‘태양’
2) ‘태양’의 죽음과 환생-황금불과 보석불
3) 혼령魂靈의 덩어리와 두 남매의 아버지
4) ‘내 동무’로서의 의인화 과정과 환호의 대상
5) ‘달’과 ‘별’과 ‘지구’와의 차별화와 그 상징성
3. ‘시뻘건 염통(心腸)’과 ‘생명의 빛’
1) 태양의 의붓딸과 ‘시뻘건 염통덩이’
2) 눈 위를 걷는 발자취와 생명의 빛
‘달’의 심상과 모티프
1. ‘달’의 의인화 과정과 그 상징성
1) ‘태양’과 ‘별’과 ‘지구’와의 차별화와 그 상징성
2) ‘물’속의 달과 ‘물 위의 달빛’ ?
3) 구름 속에 들고 나는 ‘달’의 상징성
4) 많은 사람들을 울린 ‘달’의 아픔
2. ‘달’의 의인화와 ‘병든 허파’
1) ‘태양’과 ‘별’과의 차별화와 그 상징성
2) 달아나고 싶고 붉게 물들이고 싶은 마음
3) 스포츠 걸과 포환처럼 떠오르는 달
‘별’의 심상과 모티프
1. 아기별의 의인화 과정과 그 상징성
1) 아기별의 천진성과 신비성
2) 별의 정령화精靈化와 신비성
3) 쪽배에 실려오는 ‘달’과 가을밤의 서정
4) 이단자로서의 ‘혜성’과 허무의 방랑자
2. 세민향細民鄕과 신비의 빛나는 서문
1) 별들의 세민향世民鄕향과 셈이 빠른 여자의 눈동자
2) ‘우주’, 곧 신비의 서고書庫와 그 서문의 글자
‘꽃’의 심상과 모티프
1. ‘꽃’의 범칭성과 개별성 - 그 상징성
1) 사랑의 불꽃과 마음의 향기
2) ‘바람’과 ‘아침이슬’과 사랑의 꽃들
3) ‘꽃’의 개별성과 그 상징적 의미
4) 꽃 곁에서의 합주악合奏樂과 사랑의 은인恩人
2. 중·말기 ‘꽃’의 시편들과 그 상징성
1) ‘사랑의 응어리’와 꽃 마음의 모든 것
2) 꽃의 사랑을 통한 ‘내 혼’과 ‘우주 혼’
3) ‘꽃’의 개별화 과정과 그 상징성
제4부 ‘영율靈律’의 시학과 실지비평, 그리고 시어의 훈독화訓讀化
1. ‘신인神人’의 접촉과 ‘영율靈律’의 시학
1) 시와 시인의 정의와 ‘영율靈律’ 및 시적 기교의 문제 - 「시화詩話」
2) 일상적 ‘인어人語’와 시적 ‘영어靈語’-공기와 액체
3) 명상과 영감-인간 혼魂의 정淨한 육감
4) 기분과 예지, 그리고 말(語)의 저장
5) 시의 ‘내재율’과 자유시의 관념
2. 일본시단의 경향과 상징주의 시론의 도입
1) 상징시파와 민중시파의 운동
2) 시론으로서의 상징주의-광의의 상징주의와 협의의 상징주의
3. 시의 본질로서의 표현기교와 감상 및 제작의 문제
1) 시의 본질과 표현기교 및 효용의 문제
2) 시의 제작과 감상법의 문제
4. 시단의 월평月評과 실지비평의 문제
1) 시단월평月評과 실지비평의 문제
2) 시단월평과 개별적 논평
3) 문단과 사상계의 회고와 문단적 발심의 검핵檢
5. 시어의 훈독화訓讀化의 문제-그 실지의 용례들
제5부 황석우의 시와 산문-서지적 접근
1. 작품 활동의 단계화-시기별 구분
1) 습작기의 시와 시론
2) 폐허와 장미촌동인으로서의 활동
3) 《조선시단》의 창간-문단에로의 회귀
4) 시집 『자연송自然頌』의 출간
5) 8·15 해방과 그 이후의 작품 활동
2. 산문의 유형별 분류
1) 시 원론의 문제와 시단 개평
2) 문단 개평과 문학 일반론 및 문학논쟁의 문제
3) 일본의 정치현상과 사상, 그리고 기타의 문제
4) 일본 유학시절의 회고와 그 시대의 인물론
5) 잡지 및 시집의 간행사와 편집후기, 그리고 기타 산문과 설문답
부록: 시어의 훈독화訓讀化 용례와 생애 및 작품 연보
부록·1 시어의 훈독화訓讀化 용례
부록·2 황석우의 생애 연보
부록·3 황석우의 작품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