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정지용 기행 산문집 (산이 서고 들이 열리고 하늘이 훨쩍 개이고)
정지용 기행 산문집 (산이 서고 들이 열리고 하늘이 훨쩍 개이고)
저자 : 김묘순
출판사 : 깊은샘
출판년 : 2017
ISBN : 9788974162481

책소개

수필가가 가려 뽑은 정지용의 기행 산문집이다. 특유의 독특한 감각이 살아있어, 산문가로도 뛰어난 정지용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실제로 그는 신문지상을 번갈아 가며 고정 연재 칼럼을 맡아 짧게는 일주일로부터 길게는 한 달이 넘는 기간 동안 기행문을 연재했을 정도로 당대 최고의 시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인기 있는 수필가이기도 했다.



생활문학의 단면을 지니는 수필인만큼 저자의 생활 양태를 실감 있게 전해주는 다양한 요소들이 느껴지며, 수록된 산문을 시와 연관 지어 읽으면 그의 정신세계를 더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시인 정지용은 산문가로도 뛰어난 면모를 보여준다. 윤동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 대한 서문에서 정지용의 산문은 빛을 발한다. 기행산문에서도 지용은 독특한 감각으로 묘사하였는데, 이번에 옥천에 거주하는 수필가 김묘순 씨가 가려 뽑은 『정지용 기행 산문집』이 그 사실을 입증해준다.



정지용은 당대 최고의 시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인기 있는 수필가이기도 했다. 신문에 지면을 얻기 어려웠던 그 시절에, 신문 지상을 번갈아 가며 고정 연재 칼럼을 맡아, 짧게는 일주일로부터 길게는 한 달이 넘는 기간 동안 기행문을 연재했다. 정지용의 기행 산문은 인기가 많아서 독자들이 신문을 기다리며 다음을 궁금해 했다. 특히 길진섭 등과 함께 하는 기행문에는 삽화와 함께 실려 있는데 이것 또한 인기를 더해주는 사례이기도 했다.



『정지용 기행 산문집』에 수록된 산문을 시와 연관 지어 읽으면 정지용의 정신세계를 더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수필은 생활문학의 단면을 지니기 때문에 그의 수필에는 정지용의 생활 양태를 실감 있게 전해주는 다양한 요소들이 담겨 있다. 정지용은 김영랑, 박용철, 김현구, 길진섭, 박팔양, 이병기, 이승만, 조택원, 김소운, 조풍연, 김상용, 방용구, 설정식 등 일제강점기로부터 해방기에 이르는 많은 문학 예술인들과 다양하게 교류했는데, 그 자취가 이 책에 그대로 실려 있다. 특히 길진섭, 김영랑, 박용철 등과의 여행담에는 즐겁고 따뜻한 유머와 시에 대한 애정이 잘 드러나 있다.



편저자 김묘순은 다음과 같은 말로 『정지용 기행 산문집』을 내는 소회를 풀어냈다.

“빼곡히 들어찬 글씨가 간조론히 앉아있는 원고지가 좋다. 꽉 채워진 원고지가 좋고 비로소 나는 이때 온전한 자유를 느낀다. 정지용을 안 이후로 그를 사랑하는 마음이 고질병이 되어버린 지 수십 년이 되었다. 병을 앓으며 나는 책상에 온통 ‘사랑’이라 가득 써놓고 ‘사랑’을 읽지 못하는 바보가 되었다. 정지용, 그를 사랑한 죄로 문학을 공부하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일본 교토

압천鴨川 상류 상? 11

압천鴨川 상류 하? 16



Ⅱ. 금강산기金剛山記

내금강內金剛 소묘素描 1? 25

내금강內金剛 소묘素描 2? 29

수수어愁誰語 3-2 / 비로봉毗盧峯 ? 구성동九城洞 ? 33



Ⅲ. 남유南游, 다도해기多島海記

꾀꼬리 / -남유南游 제일신第一信- ? 41

동백나무 / -남유南游 제이신第二信- ? 43

때까치 / -남유南游 제삼신第三信- ? 45

체화?華 / -남유南游 제사신第四信- ? 48

오죽烏竹·맹종죽孟宗竹 / -남유南游 제오신第五信- ? 50

석류石榴·감시甘?·유자柚子 / -남유南游 제육신第六信- ? 52

다도해기多島海記 1 / 이가락離歌樂 ? 54

다도해기多島海記 2 / 해협병海峽病 1 ? 60

다도해기多島海記 3 / 해협병海峽病 2 ? 63

다도해기多島海記 4 / 실적도失籍島 ? 67

다도해기多島海記 5 / 일편낙토一片樂土 ? 73

다도해기多島海記 6 / 귀거래歸去來 ? 78



Ⅳ. 화문행각畵文行脚

화문행각畵文行脚 1 / 선천宣川 1 ? 87

화문행각畵文行脚 2 / 선천宣川 2 ? 90

화문행각畵文行脚 3 / 선천宣川 3 ? 93

화문행각畵文行脚 4 / 의주義州 1 ? 96

화문행각畵文行脚 5 / 의주義州 2 ? 100

화문행각畵文行脚 6 / 의주義州 3 ? 105

화문행각畵文行脚 7 / 평양平壤 1 ? 110

화문행각畵文行脚 8 / 평양平壤 2 ? 115

화문행각畵文行脚 9 / 평양平壤 3 ? 120

화문행각畵文行脚 10 / 평양平壤 4 ? 127

화문행각畵文行脚 11 / 오룡배五龍背 1 ? 140

화문행각畵文行脚 12 / 오룡배五龍背 2 ? 145

화문행각畵文行脚 13 / 오룡배五龍背 3 ? 150



Ⅴ. 남해 오월 점철點綴

1. 기차 ? 159

2. 보리 ? 162

부산 1? 165

부산 2? 168

부산 3? 171

부산 4? 174

부산 5? 177

통영 1? 180

통영 2? 183

통영 3? 186

통영 4? 189

통영 5? 192

통영 6? 195

진주 1? 198

진주 2? 201

진주 3? 204

진주 4? 207

진주 5? 210



정지용 연보 ? 213

정지용의 기행 산문에 대하여 ? 219

발문 ? 225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