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국가 전쟁 한국
국가 전쟁 한국
저자 : 박상섭
출판사 : 인간사랑
출판년 : 2012
ISBN : 9788974180683

책소개

필자가 대학에 입학했던 1960년대만 해도 모두가 민족주의라는 말 자체에서 어떤 신성함마저 느끼곤 했지만 발전과 성장의 결과 “민족주의는 반역”일 수도 있게끔 역사의 상황이 변했다. 역사의 진행이 어떤 방향성이나 목적을 갖는다고 말하는 역사철학류의 주장에 대해 필자는 전혀 동감하지 않지만, 최소한 근대 이후만을 국한해 볼 때 역사 진행 속에서 일정한 추세를 발견할 수 있는 것 또한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러한 추세가 역사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욕구의 자연스런 표현의 결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욕구는 기본적으로 보다 낳은 삶, 약간 달리 표현하여 안전과 자유/자율을 위한 노력의 당연한 결과로 여겨진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필자가 대학에 입학했던 1960년대만 해도 모두가 민족주의라는 말 자체에서 어떤 신성함마저 느끼곤 했지만 발전과 성장의 결과 “민족주의는 반역”일 수도 있게끔 역사의 상황이 변했다. 역사의 진행이 어떤 방향성이나 목적을 갖는다고 말하는 역사철학류의 주장에 대해 필자는 전혀 동감하지 않지만, 최소한 근대 이후만을 국한해 볼 때 역사 진행 속에서 일정한 추세를 발견할 수 있는 것 또한 부인하기 어려운 사실이다. 필자는 이러한 추세가 역사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현실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욕구의 자연스런 표현의 결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욕구는 기본적으로 보다 낳은 삶, 약간 달리 표현하여 안전과 자유/자율을 위한 노력의 당연한 결과로 여겨진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 4
1장 근대 국제체제의 사회학을 위한 시론 … 15
1. 서론: 국내정치와 국제체제의 구조적 연결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 … 15
2. 근대국가의 역사적 성격과 근대 국제체제에 있어서
지정학적ㆍ전략적 상호작용의 중심성 … 25
3. 근대 국제체제 강화의 국내적 제 요인 … 31
4. 결어 … 46

2장 전쟁, 국가형성 및 정치발전: 영국 입헌주의와 프랑스
절대주의의 역사적 기원 … 49
1. 서론 … 49
2. 국내정치와 국제관계 매개요인으로서의 자원동원 문제 … 54
3. 영국의 경험 … 61
4. 프랑스의 경험 … 81
5. 토의와 결론 … 93

3장 서양 근대국가 형성과 화폐, 800?1800 … 101
1. 서론: 이 글의 목적 … 101
2. 카롤링거 왕조와 근대 서유럽 화폐제도의 기초 확립 … 103
3. 이탈리아 … 105
4. 영국 … 115
5. 프랑스 … 120
6. 독일 … 123
7. 기타 국가 … 126
8. 결어 … 130

4장 정치적 현실주의: 막스 베버에서 신현실주의까지 … 135
1. 유럽 국제정치의 종언과 막스 베버 … 135
2. E. H. 카와 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의 태동 … 141
3. 전후 미국에서 정치현실주의의 발전과 모겐소 … 145
4. 신현실주의 국제정치이론: 왈츠 … 152
5. 결어 … 157

5장 마르크스의 ‘국가이론’ 소고 … 161
1. 서론 … 161
2. 마르크스 국가론 연구의 일반적 문제점 … 167
3. 마르크스에 있어서 국가의 중요성 … 174
4. 마르크스에 있어서 국가의 독립성 … 179
5. 국가의 계급이론적 이해 … 186
6. ‘부르주아’ 국가의 역사적 기원과 기능 … 195
7. 국가의 소멸 … 204
8. 결어 … 211

6장 배링턴 무어와 『독재와 민주주의의 사회적 기원』 … 215
1. 서론 … 215
2. 무어 교수의 약전 … 219
3. 『사회적 기원』의 내용 요약 … 223
4. 『사회적 기원』에 대한 학계의 반응 … 234
5. 평가와 결론 … 246

7장 한국 정치와 자유민주주의: 현대 한국 정치사의
정치사회학적 이해를 위한 시론 … 255
1. 머리말 … 255
2. 한국에 있어서 자유민주주의의 도입과 그 의미 … 259
3. 남한에 있어서 국가형성의 성격: 국제정치적ㆍ사회적 요인 … 264
4. 한국 자본주의 경제발전의 성격 … 269
5. 군사정권의 등장과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공개적 도전 … 273
6. 효과성과 정당성: ‘사회행복론’적 정당화 노력과 그 실패 … 275
7. 자유민주주의의 공개적 부인 … 279
8. 토의와 결론 … 283

8장 일본 군사?무사 전통의 기원 … 291
1. 서론: 문제 제기 … 291
2. 중세 무사의 前史: 고대에서 중세 무사단의 형성까지 … 298
3. 중세 무사와 무사단의 출현 … 312
4. 막부 체제와 전국 시대의 출현 … 330
5. 통일정권의 출현과 군사의 쇠퇴 : 織豊 정권과 德川 막부 … 348
6. 요약과 결론 … 35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