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알기 쉬운 신장이식
알기 쉬운 신장이식
저자 : 조원현
출판사 : 계명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7
ISBN : 9788975857669

책소개

오랜 기간 병든 인간의 장기나 조직을 새로운 것으로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의과학자들에 의해 개발되었고, 이런 노력으로 장기이식은 말기환자의 표준 치료로 자리잡게 되었다. 과거 수술술기나 마취술기, 이식 후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신장이식은 현재 이식할 장기를 어떻게 확보해 이식해 줄 것인가에 더 큰 관심이 집중되어 있다. 또한 이식 후 장기 생존자들이 늘기 때문에 환자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맞춤형 면역억제를 시행하여 부작용을 줄이고, 나아가 면역관용유도로서 거부반응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면역체계를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혈액형 불일치 사이의 이식이나 기증자 특이항원에 감작된 수혜자에 대한 이식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 책에서는 신장이식의 의학적·면역학적·윤리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문제들을 의과대학생들이나 전공의들의 눈높이에서 소개하고자 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신장이식의 역사
1. 개요 18
2. 세계이식의 역사 19
3. 국내이식의 역사 22

제2장. 신장기능 소실과 대체요법
1. 개요 26
2. 말기신장병 27
3. 말기신장병 환자의 치료계획 29
4. 말기신장병 환자의 치료와 경과에 따른 심혈관계 사망률 34

제3장. 혈액투석접근로 관리
1. 혈관접근로란? 38
2. 동정맥루 수술부위 선택 39
3. 동정맥루의 종류 40
4. 동정맥루의 수술시기 44
5. 동정맥루 수술 전 시행해야 할 검사 44
6. 기능저하 또는 소실된 동정맥루의 구조술 45

제4장. 이식 전 면역검사 (박명희, 박금보래 교수)
1. HLA 58
2. HLA 분자구조와 기능 59
3. HLA 명명법 61
4. HLA 다형성과 유전 65
5. HLA 형별 및 HLA 항체검사 66
6 신장 이식과 HLA 76

제5장. 이식 후 면역 반응
1. 개요 82
2. 감작기 84
3. 작동기 87
4. 세포 자멸사 88
5. 자연 살해세포의 역할 89
6. 선천면역의 역할 89
7. 면역관용상태 90
8. 거부반응 발생을 줄이기 위한 조치 91


제6장. 신장기증자 평가 및 선택
1. 개요 94
2. 생체기증자 95
3. 뇌사기증자 99
4. 심장박동 정지 기증자 101

제7장. 뇌사판정과 뇌사자 관리
1. 개요 106
2. 뇌사판정의 기준 107
3. 뇌사조사는 누가 하나? 111
4. 뇌사의 판정 112
5. 뇌사와 감별이 어려운 의학적 상태 112
6. 뇌사가 된 환자의 보호자 관리 114
7. 뇌사환자의 기증 전 관리 114
8. 의학적으로 기증 불가능한 뇌사의 경우 117

제8장. 이식 대기자 관리 및 감작된 대기자의 이식 전 준비
1. 이식 대기자의 수술 전 평가 120
2. 말기신부전 환자의 동반질환에 대한 이해와 평가 124
3. 원인 신질환에 대한 확인 134
4. 원발질환이 있는 신장의 이식 전 적출여부 135
5. 재이식을 계획하는 환자의 경우 136
6. 감작된 수혜자의 신장이식 준비 137

제9장. 신장기증자 수술
1. 신장기증자의 마취 146
2. 기증자로부터 신장 적출수술 147

제10장. 신장이식술
1. 수혜자에 대한 마취 156
2. 수혜자에서 신장이식 술기 158
3. 다낭성 신장 환자에서의 신장이식 172
4, 신장재이식 174
5. 기능 소실 이식신의 신 절제 175
6.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서의 신장이식 175
7. 노인환자에서의 신장이식 176
8. 소아에서의 신장이식 176
9. 타 장기 이식 후 발생하는 만성신장병 179

제11장. 신장이식 후 초기관리
1. 이식 후 초기 관리 184
2. 이식 후 일반적인 관리 186
3. 외래 내원시 검사항목 188
4. 이식 후 재활을 위한 처방 189

제12장. 이식 후 외과적 합병증
1. 개요 192
2. 창상합병증 193
3. 혈관합병증 196
4. 요로합병증 199
5. 이식 신 파열 201

제13장. 이식 신 기능소실
1. 개요 206
2. 이식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이식 신의 기능저하 208
3. 장기 생존자의 증가로 인한 문제들 209
4. 거부반응으로 인한 이식 신 기능저하 209
5. 환자 및 이식 신 생존율 210
6. 이식 후 기능저하 시 처치 215

제14장. 거부반응
1. 거부반응의 임상적 특징 220
2. 초급성 거부반응 221
3. 급성 거부반응 222
4. 만성 거부반응 224
5. 각종 거부반응의 병리조직학적 소견 (slide review) 225
6. 거부반응 치료의 실제 230

제15장. 면역억제제
1. 면역억제제 사용의 원칙 246
2. 면역억제제의 작용부위 247
3. 유도면역억제제 248
4. 면역억제제의 종류(유지 면역억제제) 249
5. 급성 거부반응 발생시 치료 258

제16장. 이식 후 감염증
1. 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의 위험인자 262
2. 이식 후 시기에 따른 감염의 양상 263
3.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 265
4. 예방 접종 265
5. CMV 감염 267
6. BK 바이러스에 의한 신병증 271
7. 신이식 후 C형 간염 바이러스와 관련된 신질환 275
8. 결핵 277

제17장. 이식 후 발생하는 만성 대사성질환
1.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당뇨 280
2. 신장이식 후 심혈관계 합병증 283
3. 간질환 287
4. 위장관 질환 287
5. 근 골격계 질환 288
6,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빈혈 289
7.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적혈구 증가증 290
8. 안과 합병증 291
9. 피부 합병증 291

제18장. 이식과 임신
1. 신장이식 후 임신 294
2. 임신 전후 면역억제제 296
3. 임신 전후 감염 297
4. 분만 298
5, 수유 299
6. 이식 받은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의 경과 299

제19장. 장기이식 및 기증 윤리
1. 뇌사판정과 뇌사검사 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 306
2. 장기 배분과 관련한 윤리적 논쟁 308
3. 심장정지 환자로부터 장기적출 시 윤리적 문제 309
4. 장애인들에 대한 생명유지 장치의 제거결정 313
5. 장기기증 및 배분과 관련된 사고의 예 313

제20장. 윤리적인 장기이식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1. 장기기증 및 이식의 사회적 문제 318
2. 이스탄불 선언 319
3. Declaration of Istanbul Custodian Group(DICG) 320
4. 기증장기의 self sufficiency를 이루기 위한 노력들 321
5. 국내의 장기기증 활성화 운동 323
6. 장기기증 증가를 위한 체계적인 외국의 활동 331

제21장. 이식환자의 재활과 세계이식인 경기대회(WTGF)
1. 이식 환자 재활의 필요성 338
2. 이식 후 발생할 수 있는 증상 340
3. 이식 환자 재활운동의 문제점 341
4. 재활 프로그램의 프로토콜 342
5. 이식 수술 후 사회로의 복귀 345
6. 이식인 재활을 위한 세계적인 노력 346
7. 결론 35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