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택견의 이해와 수련 (혼자 익히기 편)
택견의 이해와 수련 (혼자 익히기 편)
저자 : 신종근|양재식
출판사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년 : 2017
ISBN : 9788975996443

책소개

대한민국의 전통무예 택견에 대한 쉽고 정확한 수련 지침서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우리 전통무예 택견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 택견에 대해 알고 싶고 배우고 싶은 모든 이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본 수련 지침서.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저자서문 ]
머리말을 쓰려다 얼핏 생각해보니 필자가 초대 인간문화재 故 신한승 선생께 처음 택견을 배우기 시작한 것이 1985년이다. 따져보니 벌써 30년이 넘었다. 30년이 되도록 택견 관련 책을 한권도 내지 않았으니 부정할 수 없이 내 자신이 게을렀다는 생각은 져버릴 수 없지만 한편으로는 한 분야에 30년은 묵어야 그 분야에 대해 논할 수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스스로 위안을 삼아본다.
필자의 삶이라고 할 수 있는 택견은 한국에서 유일한 무예분야 국가무형문화재이며 전 세계에서 무예분야 최초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된 훌륭한 문화유산으로 문화재보호법에서 정의한 것처럼 택견은 상당한 학술적, 예술적, 역사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전통무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택견 관련된 문헌과 논문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먼저 국가무형문화재 제76호 택견의 지침서는 1991년 초대 인간문화재 故 신한승 선생의 동문이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오장환 교수께서 집필하고, 송암 신한승 선생께서 직접 동작을 시연하여 작업한 「택견전수교본」을 시작으로 2002년에 2대 인간문화재이신 운암 정경화 선생이 집필한 「택견원론」으로 이어진다. 그 후 2007년에 문화재청의 중요무형문화재 기록화 사업의 일환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 택견」이 조성균교수와 이재필연구관에 의해 발간되었으며, 이후 진행이 되지 않았다.
물론, 택견 관련한 논문은 필자를 포함하여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여러 편 나왔지만, 택견 관련 책은 10년이 되도록 발간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책을 쓰게 된 가장 큰 이유는 1999년으로 기억하고 있는데,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택견을 전수하기 위해 방문하여 태권도 여름캠프에서 많은 태권도인들을 가르치게 되었다. 남녀노소 다양하게 참여한 캠프에서 아마도 10세정도 되는 금발의 파란 눈이 예쁘게 빛났던 남자아이였는데 영문으로 된 태권도 교본을 들고 다니면서 그 캠프에 참석한 원로 무술사범님들에게 사인을 받고 있었다.
잠시 후에 나에게 오더니 사인을 부탁하는 것이었다. 아마도 택견이라는 생소한 분야에서 온 사범이니 사인을 받고 싶었던 모양이다. 그런데 사인을 다 받은 후에 영어로 질문을 하는데 영어 실력이 부족하지만 정확히 들은 내용은 택견 교재는 영문으로 발간된 것은 없느냐는 질문이었다. 그 질문 이후 하루 속히 영문교재를 만들자고 마음속으로 수 백 번은 다짐한 것이 이제야 발간되게 되었다.
이제서라도 발간할 수 있었던 것이 사단법인 택견보존회가 설립되고 자체사업으로 영문교재 발간사업을 채택한 것이 우선 크게 작용했지만, 개인적으로 박사논문을 마치고 나니 마음에 여유가 생겨서 교재 작업에 임하기도 부담이 덜했고 시작하고 나니 글도 잘 나가는 것 같아 즐거운 마음으로 교재작업에 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시작은 지금까지 나온 교재들을 바탕으로 간단하게 번역본 출간 정도로만 생각하고 시작하였는데 진행하다보니 생각지 않게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았고 다시금 나에 대한 택견의 지식과 기술체계를 정리하는 계기가 되어 오히려 이 책을 보고 택견을 배울 사람들 보다 필자가 더 많은 것을 배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1983년 문예진흥원에서 제작한 ‘택견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의 기술시연 영상과 1984년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한 ‘택견’ 영상의 기술시연 모습을 참고하였으며, 오장환교수의 「택견전수교본」과 택견인간문화재 정경화 선생의 「택견원론」을 토대로 집필하였다.
이 책은 Ⅰ장과 Ⅱ장으로 구분되는데, Ⅰ장에서는 택견의 이론적 바탕을 다룬 장으로 택견의 가르침, 택견인의 길, 택견의 품계, 택견의 구성요소 및 수련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Ⅱ장에서는 처음 익히기, 서서 익히기, 나아가며 익히기, 맨 나중 익히기를 각 동작 당 6장 안팎의 시연사진을 통해 세심하게 동작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초보자도 책을 보고 동작을 익힐 수 있도록 신경 썼으며, 지도자는 지도교재로 손색없도록 집필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후 마주메기기 편과 본때뵈기, 견주기 편도 이어서 출간할 계획이다.
특히, 택견의 세계화를 위해 한 면은 국문으로 집필하고 다른 한 면은 영문을 함께 수록하여 외국인도 손쉽게 택견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국내인은 택견의 영문표기 및 영문설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아무쪼록 초대 인간문화재 故 신한승선생의 노고에 의해 완전 하리 만큼 전승된 택견이 한국의 국가무형문화재에서 세계의 무형유산으로 발돋움하여 이제는 세계화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 미력이나마 이 책을 통해 많은 외국인들에게 올바르게 택견이 전승 보급되기를 고대하는 마음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끝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도와주신 분들께 이 지면을 통해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올린다. 우선 책의 이론과 실기의 세심한 부분까지 감수해 주신 택견인간문화재 정경화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리며, 책의 집필 과정에 물심양면의 지원을 전해주신 사단법인 택견보존회 김안수 회장님을 비롯한 전국의 모든 택견 전승자 및 회원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또한, 사진 촬영부터 편집까지 어려운 작업을 마다하지 않고 해준 한승길 국가이수자님께 감사드리며, 무엇보다도 영문번역을 해준 무예 저널리스트 가이 라크에게도 이 지면을 통해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7. 10.
저자 신종근 올림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택견입문 : 이론적 바탕 …

1.택견의 가르침 …

2. 택견인의 길 …

3. 택견의 품계 …

4. 택견의 구성요소 및 수련단계 …



Ⅱ. 혼자 익히기의 이해와 수련 …

1. 처음 익히기 …

(1) 절 …

(2) 품(品) …

(3) 저기치기 …

(4) 활갯짓 …

① 한 손 긁기 …

② 한 손 제치기 …

③ 한 손 헤치기 …

(5) 품밟기 …

① 품 내밟기 …

② 품 길게 밟기 …

③ 품 째밟기 …

(6) 손심내기 …

2. 서서 익히기 …

(1) 들어차기 …

① 칼재기(내밀기) …

② 걷어차기 …

③ 째차기 …

④ 후려차기 …

⑤ 곧은 발질 …

⑥ 내차기 …

⑦ 는질러차기 …

⑧ 솟구치기 …

⑨ 뛰어돌기(돌개질) …

(2) 걸어지기 …

① 비비기(딴죽) …

② 깎음다리(깎음걸이) …

③ 낚시걸이 …

④ 안짱걸이 …

⑤ 무릎 올려재기 …

⑥ 책상걸이 …

⑦ 가로밀기 …

⑧ 세워밀기 …

3. 나아가며 익히기 …

(1) 걸음걸이 …

① 걷기 …

② 째걷기 …

(2) 발질(발길질, 발걸이) …

① 걷어차기(엇-크게 제치기) …

② 째차기(맞-긁기) …

③ 후려차기(엇-긁기) …

④ 곧은 발질(맞-작게 제치기) …

⑤ 내차기(엇-헤치기) …

⑥ 는질러차기(맞-잡아대기) …

⑦ 딴죽(맞-가로밀기) …

⑧ 깎음다리(엇-헤치기) …

⑨ 낚시걸이(맞-칼재기) …

⑩ 안짱다리(맞-칼재기) …

⑪ 무릎치기(엇-세워밀기) …

⑫ 덧걸이(엇-세워밀기) …

(3) 손질 …

① 칼잽이 …

② 덜미잽이 …

③ 덜미걸이 …

(4) 활갯짓 …

① 뱃심내고 허리재기 …

② 활갯짓 두 손 크게 긁기 …

③ 활갯짓 두 손 크게 제치기 …

4. 맨나중 익히기(쓰임수 및 활갯짓) …

(1) 잡아대기 …

(2) 밭장다리 …

(3) 옆발질 …

(4) 낭상 …

(5) 활갯짓 맞 쳐들기 …

(6) 활개 두 손 흔들며 품밟기 …

① 두 손 앞뒤로 흔들며 …

② 두 손 옆으로 흔들며 …

(7) 활개 쳐들며 품밟기 …

(8) 활개 긁으며 품밟기 …

(9) 활개 치돌리며 품밟기 …

(10) 활개 멋대로 재게 흔들며 품밟기 …

(11) 늦은배 숨고르기 …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