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현장에서 건져 올린 전문대학 자기 혁신
현장에서 건져 올린 전문대학 자기 혁신
저자 : 함봉수
출판사 : 삼성경제연구소
출판년 : 2008
ISBN : 9788976333681

책소개

한국의 전문대학이 글로벌 시대에 걸맞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

이 책은 전문대학이 앞으로도 그 기능을 다하여 시대의 흐름에 걸맞은 교육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한 경쟁력 강화 방안 및 실천 전략을 담고 있다. 전문대학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을 저자의 실제 경험과 사례를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저자는 전문대학 경쟁력 향상의 해법을 끊임없는 자기 혁신에서 찾는다.

'입학생 부족에 따른 학생 확보 문제', '규모에 맞는 재정 확보 문제', '교육 개방의 압력이 거세짐으로 인한 국제경쟁력 확보 문제' 등을 안고 있는 전문대학이 자기 혁신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본문은 먼저 전문대학이 처한 당면 과제와 기능, 현장 중심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경쟁력 강화 실천 전략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대학 내부의 혁신 과제와 정부의 노력, 산·학·연 연계 협력 방안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또한 마지막 부분에는 전문대학이 생존하기 위한 자기 혁신 과제를 제시한다. 이 모든 것을 통해 전문대학생들의 사람경쟁력을 높여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이 전문대학의 혁신 지름길임을 역설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의 전문대학 무엇이 문제인가?
문제점을 먼저 파악해야 해결책도 보이는 법, 그렇다면 한국의 전문대학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학생 확보 문제’,‘재정 확보 문제’,‘국제경쟁력 확보 문제’ 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표면적으로 드러난 이 같은 문제점 외에 더 큰 문제점은 바로 이를 해결하고 개혁해나가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원들, 즉 전문대학인(교직원, 교수, 학생 등 전문대)들의 ‘의욕’과 ‘열정’의 결여라고 말한다.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보호받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전문대학인들은 자신의 업무와 자리 지키기에만 급급해 지금까지 방만한 경영과 교육을 해왔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더 이상은 곤란하다. 치열한 글로벌 경쟁 시대에서 교육은 국가경쟁력의 결정 요인으로 그 어느 부문보다 강력한 경쟁에 노출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변화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는 원칙이 이제 대학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항상 경쟁에 노출되어 있는 기업 경영자의 눈으로 대학을 바라볼 것을 제안하고 혁신을 주도할 CEO형 학장을 영입해야 한다고 말한다. 다양화된 산업사회가 필요로 하는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 기관으로서 전문대학은 사회적 수요가 있는 분야의 인력을 적기에 양성하는 실무 중심의 직업 교육과, 졸업 즉시 현업에 투입 가능한 실천적 인력의 양성을 담당해왔다. 이 모두가 국가경쟁력의 밑거름인 것이다. 이 같은 본분을 다하기 위해서는 외형만 키우는 시설 투자 이전에 산업체가 요구하는 인성 교육에 좀더 치중하고 기업이 고객을 바라보는 관점으로 내/외부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육 혁신의 주체는 전문대학인 모두라는 생각으로 교육, 실습 및 현장 교육을 더욱 다양하게 실시하여 우수 산업인력 양성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전문대학의 자기 혁신,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한국의 전문대학들은 이처럼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저자는 오랜 기간 삼성 그룹에 종사하면서 기업이 이룩한 수많은 혁신에 직접 참여하고 이를 주도한 경험을 수원과학대학 항공관광과에 접목한 사례를 중심으로 풀어쓰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전문대학의 자기 혁신을 위한 제안을 내놓았다.
저자가 초지일관 강조하고 있는 것은 바로 ‘사람경쟁력’을 키워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기업인의 눈으로 대학을 바라볼 수 있는 CEO형 학장을 영입하여 지금까지의 관리 시스템을 점검하고, 조직 구성원 개개인이 자신의 직책에 맞는 경영 및 관리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보직교수(처장)와 행정 실무를 맡는 과(차)장 이하의 행정직원이 서로의 업무를 존중하고 좀더 전문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팀제 도입을 제안하고 있다. 그밖에 각 행정부처별 고객 지향적인 신역할 정립, ‘학과 경영’에 고객만족경영 방법 도입, 혁신 업무, 재정 기여, 우수한 취업률, 새로운 제도의 개발 등 대학 발전에 기여도가 큰 학과에는 그에 상응한 평가나 포상제도의 마련 등을 제안하고 있다.

이처럼 대학 자체적인 노력과 동시에 저자는 정부 지원 시스템의 구축이나 산업체와의 협력 방안 모색의 필요성도 역설하고 있다. 평생교육의 시대, 정부는 전문대학을 인력 양성의 산실로 재정비하고,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을 포함한 지식정보화사회형 산업이나 기존 산업의 요구에 맞추어 대학이 교육 전환과 혁신을 꾀할 것과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체제 및 인프라 구축에도 소홀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지원 방안은 대학 교육의 품질보증, 대학 교육의 산업계 및 노동시장 대응성 향상, 대학 재정 투자 효과의 제고, 대학 경영의 개선, 대학 시장 및 정부 실패에 대한 보완 등의 관점에서 모색할 수 있다. 또한 대학이 국가균형발전 사업이나 지자체 기업 유치 신도시 클러스터 등에 적극 참여하고, 혁신 클러스터에 맞게 우수 인적자원 양성 및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학과를 개설하여 학습자의 능력과 산업체의 요구가 반영된 실제적인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일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전문대학이 미래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고객만족경영을 도입해 각 조직의 고객이 누구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들을 만족시켜 대학경쟁력을 키우고 당면 과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지금까지 한국의 전문대학들은 특별한 노력 없이도 높은 취업률을 자랑해왔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항상 전문대학 졸업생들의 현장 적응 능력 부족에 대한 문제점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그만큼 고객만족 경영 이념에 기반을 둔 기능, 현장 중심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한국의 전문대학들에게 ‘지금부터라도 달라지지 않으면 사라지고 말 것’이라고 경고한다. 산업체의 요구 수준이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어 실현이 쉽지 않을지라도 고객만족경영 이념에 따라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이를 수 있도록 산업체의 요구 수준을 정확히 파악해 그 수준과 현재 학생들의 수준 간에 발생하는 갭을 극복할 교육 방법을 개발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전문대학인이 혁신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각자의 위치에서 더 나은 길을 모색하고 스스로를 경쟁에 노출시켜야 하는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

1 전문대학, 혁신의 이유
01 한국의 전문대학, 이것이 문제다
02 기능, 현장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2 전문대학의 생존 전략, 경쟁력 향상을 중심으로
01 내부 혁신 -무엇을 혁신의 과제로 삼을 것인가
02 외부 혁신 -정부 지원 및 산·학·연 연계의 문제

3 현장에서 건져 올린 혁신 과제
01 ‘고객만족’을 혁신의 최우선 과제로 두라
02 전문대학인의 교육 혁신 역량을 확충하라
03 4년제 대학 이기는 취업경쟁력을 길러라
04 혁신의 리더를 발굴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하라

에필로그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