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역사문화연구총서5)
다산 정약용의 의례이론(역사문화연구총서5)
저자 : 박종천
출판사 : 신구문화사
출판년 : 2008
ISBN : 9788976681539

책소개


유교적 전통사회에서 '예(禮)'는 예의범절이나 제사에 국한되지 않고, 심신의 수양, 사회윤리적 실천, 문화적 풍습, 규범적 제도 등을 포괄한다. 예는 천인(天人)관계라는 초월적 축과 인륜(人倫)이라는 일상적 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마음과 몸, 개인과 사회까지도 총체적으로 매개하며, 종교, 수양, 윤리, 정치 등을 체계적으로 아우르는 양상을 보여준다. 그러나 기존에는 예를 주로 사회윤리나 정치제도로 환원하여 이해함으로써, 예의 포괄성과 복합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했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서에서는 예를 유교적 전통사회를 구성하는 역동적 ‘종교문화체계’로 정의하고, 이에 따라 정약용의 예학을 상제/천론, 천인관계론, 인간론, 심신수양론, 윤리실천론, 경세론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의례이론으로 재구성하여 설명했다. 이를 통해 예학을 중심으로 다산사상의 총체적 모습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의례이론의 측면에서 동아시아 유교의례의 구조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예(禮), 유교적 전통사회를 이해하는 관건
2. 선행 연구의 검토
3. 연구의 관점과 본문의 구성

제2장 종교문화체계로서의 예(禮)와 유교 의례
1. 예(禮)의 복합성
2. '종교문화체계'로서의 예(禮)
3. 유교 의례의 구조와 특성

제3장 사천(事天)의 제사론과 초월적 인격신관
1. 제사, 종교문화체계의 기초
2. 상제(上帝)를 중심으로 한 초월적 인격신관
3. 제사의 구조와 의례이론의 특징

제4장 종교적 의식의 체화와 심신의 수양
1. 종교적 의식의 체화와 배천(配天)에 이르는 덕행
2. 심신의 수양과 완성의 경지

제5장 제도로서의 예제(禮制)와 왕도정치의 실현
1. 의례의 경세론적 기능
2. 예치(禮治)와 왕도정치의 실현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