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장애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 (기초과정)
장애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 (기초과정)
저자 : 김두영|김은주|김정선|박미진|백정기
출판사 : 신구문화사
출판년 : 2016
ISBN : 9788976682185

책소개

▶ 이 책은 장애아동 학습지도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가정방문을 바탕으로 한 학습지도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최근 우리나라는 장애인 복지를 포함하여 특수교육 제도와 정책에서 많은 발전을 해 왔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제도적 환경 변화와 더불어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 지원과 여건도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정 훈련과 교육을 통해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학습을 지원하는 자격을 갖춘 준전문가들의 비중과 역할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이에 인천지역자활센터협회에서는 지난 2014년부터 ‘특수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사’ 제도를 시행하여 특수아동의 방과후 학습 활동 지원과 일상생활 훈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을 맞아 특수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특수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사’ 자격증 제도를 만들고, 교육과 복지 현장의 여러 전문가로부터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 취득과, 특수아동 지도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프로그램이 담긴 교재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이 교재가 특수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머리말
최근 우리나라는 장애인 복지를 포함하여 특수교육 제도와 정책에서 많은 발전을 해 왔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제도적 환경 변화와 더불어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 지원과 여건도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일정 훈련과 교육을 통해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학습을 지원하는 자격을 갖춘 준전문가들의 비중과 역할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그중 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활동 도우미 제도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보조원 제도는 장애인 당사자는 물론 복지와 교육 현장에서 좋은 평가를 얻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특수아동 개개인의 학업 성취와 생활지도는 정규 학교 교육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일반 아동이 정규 학교 교육 이외에 수많은 방과후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것에 비해 특수아동의 방과 후 교육활동은 양과 질의 측면에서 부족함이 많습니다.
이에 인천지역자활센터협회에서는 지난 2014년부터 ‘특수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사’ 제도를 시행하여 특수아동의 방과후 학습 활동 지원과 일상생활 훈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을 맞아 특수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 ‘특수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사’ 자격증 제도를 만들고, 교육과 복지 현장의 여러 전문가로부터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 취득과, 특수아동 지도에 필요한 전문적 지식과 프로그램이 담긴 교재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그 동안 교재 개발에 열과 성을 다한 집필진 여러분께 감사드리며, 이 교재가 특수아동 가정방문 학습지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저자 일동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4

1. 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 … 9
Ⅰ. 정신지체인에 대한 바른 이해 10
Ⅱ. 지체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 14
Ⅲ. 시각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 17
Ⅳ. 청각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 21
Ⅴ. 자폐성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 24
Ⅵ. 학습장애인에 대한 바른 이해 27

2. 장애 및 특수아동에 대한 이해 … 31
Ⅰ. 장애에 대한 이해 32
Ⅱ. 특수아동의 정의 및 분류 36
Ⅲ. 특수아동의 발생 원인 42

3.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 63
Ⅰ. 들어가는 말 64
Ⅱ.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형식 65
Ⅲ. 누리·공통·선택 중심 교육과정 71
Ⅳ. 기본 교육과정 85

4. 특수교육 환경과 가정방문지도사의 역할 … 95
Ⅰ. 특수교육 환경 96
Ⅱ. 장애아동 방문지도사의 역할 110

5. 특수아의 문제행동 지도 … 119
Ⅰ.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 120
Ⅱ. 문제행동 중재방법 127
Ⅲ. 문제행동 중재 시 유의사항 134

6. 특수아동의 사회적 기술 지도 … 137
Ⅰ. 사회적 기술에 대한 이해 138
Ⅱ. 특수아동의 사회적 기술 특성 145
Ⅲ. 사회적 기술 촉진을 위한 교수전략 146

7. 국어과 기초 학습 방법 지도 … 155
Ⅰ. 특수교육 대상학생 국어과 교육 156
Ⅱ. 표준발음으로 바르게 읽기 159
Ⅲ. 국어과 지도의 실제 162

8. 수학과 기초 학습 방법 지도 … 195
Ⅰ.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해 196
Ⅱ.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의 이해 200
Ⅲ. 장애학생의 수와 연산 영역 학습지도 205
Ⅳ. 장애학생의 도형 영역 학습지도 220

9. 특수아 스마트 교육 … 233
Ⅰ. 스마트러닝의 개념과 특수교육적 의의 234
Ⅱ. 스마트 기기의 사용과 유의점 239

10. 특수아 부모 상담 … 253
Ⅰ. 상담의 이해 254
Ⅱ. 특수아 가족의 이해 258
Ⅲ. 특수아 부모 상담의 실제 26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