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3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3
저자 : 김윤식
출판사 : 그린비
출판년 : 2017
ISBN : 9788976822772

책소개


국문학계의 원로이자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문학비평가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김윤식 교수의 ‘문학사의 라이벌 의식’ 시리즈 세 번째 책이 출간되었다. 2013년 1권, 2016년 2권에 이어 출간된 이번 책에서 저자는 여전히 한국 문학사를 관통하는 ‘라이벌 의식’에 주목하여 기라성 같은 문인들의 삶과 사상의 내면을 파헤치고 있다. 특히 이번 책에서는 잡지 간의 대결, 문학 단체 사이의 대결을 다룬 글들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1940년을 전후한 시기 우리 문학의 두 중심이었던 『문장』과 『인문평론』, 1960년대 한국 정신사를 주도한 『세대』와 『사상계』, 현재까지 꾸준히 발간되면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한 종합 문예월간지 『현대문학』와 『문학사상』, 그리고 해방공간에서 활동했던 문학 단체인 ‘문학가동맹’과 ‘청년문학가협회’의 라이벌 관계에 이르기까지, 이념과 사상의 대결장이었던 한국 문학사를 저자의 오랜 연구를 기반으로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렇듯 문단사의 맥락에서 잡지와 문학 단체 간의 대결을 다루는 차원은 “우리 현대문학에 대한 연구와 비평의 전에 없던 새로운 지평”(정호웅, ?발문 _ 새로운 글쓰기, 새 지평의 열림?)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임화와 신남철, 백철과 황순원, 김종삼과 김춘수, 조지훈과 이원조, 이호철과 최인훈의 ‘라이벌 의식’을 통해 한국 현대 문학사를 입체적이고 다채롭게 재구성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1장 _ 『문장』과 『인문평론』의 세계관
난과 예도-가람의 경우
고전과 작위성-상허의 경우
역사?철학?시로서의 산하-낭만적 이로니로서의 문제점

2장 _ 철학과 문학의 충돌-얻은 것과 잃은 것 : 임화와 신남철의 경우
카프 전주 사건과 임화의 윤리 감각
경성제대의 신문학사론 개입에 대한 임화의 방어기제
경성제대 예과의 두 기관지-『청량』과 『문우』
이중어 글쓰기의 훈련 과정
이중어 글쓰기의 전개-철학과 문학의 횡단
‘잠언을 저작하는 인간’에 이른 길
아마카스의 ‘예술론’과 방법론의 완성
임화, 신남철에 길을 묻다
반백의 중년신사의 노래-‘너 어느 곳에 있느냐’

3장 _ 해방공간의 두 단체 : 문학가동맹과 청년문학가협회
해방의 감격과 두 좌담회
전국문학자대회와 문학가동맹
북조선예술총동맹의 성립
전조선문필가협회의 성립
범보 김정설, 맨 앞에 서다
민족주의 진영 문필가의 세력 범위
청년문학가협회와 임정 노선
『민주일보』와 청년문학가협회
청년문학가협회의 창립
청록파 3인과 시 낭독-「어서 너는 오너라」
김동리의 ‘민족혼’설
어째서 제3의 길은 없는가
‘작품’설의 조연현
청년문학가협회의 활동 양상

4장 _ 『나무들 비탈에 서다』 논쟁 : 백철과 황순원
고전적 창작 방법 대 실험적 창작 방법
황순원의 강박관념과 백철의 글쓰기 전략
백철 뉴크리티시즘의 의의와 한계
얕게나마 도랑 파서 물꼬 트기

5장 _ 『세대』와 『사상계』 : 1960년대 지식인의 현실과 이상 인식
『세대』의 등장
『세대』 창간호 분석
『사상계』의 위상
두 잡지의 통일론 비교
황용주=이병주

6장 _ 『현대문학』과 『문학사상』
『현대문학』을 통해 본 한국문학사
새로운 언어와 문법으로서의 『문학사상』

7장 _ 김종삼과 김춘수 : 김현과 세사르 프랑크 마주하기
4·19와 유아론의 폭파 장면
김춘수가 김수영에게서 압박을 느낀 곡절
‘무의미의 시’에 이른 과정
4·19와 김현의 개입
교주 말라르메와 전도사 김현
김종삼의 「앵포르멜」
김춘수의 「꽃」이 여여(如如)하지 않은 이유
거제도산(産) 넙치의 눈치 보기
세사르 프랑크의 별과 사르트르의 별

8장 _ 계급이냐 민족이냐 : 이원조의 「민족문학론」과 그에 대한 논쟁
출발점으로서의 제3자적 시각
구체성으로서의 창작평
제3의 논리로서의 문예비평
‘민족문학’과 ‘신민주주의론’
모택동의 「신민주주의론」을 에워싸고
인민민주주의론과 진보적 민주주의론의 싸움 장면
이원조와 윤세평의 사석(私席) 토론

9장 _ 조지훈과 이원조 : 「봉황수」를 에워싸고
무명화의 의미
심정의 좁힘과 넓힘의 정신사적 의미
조숙성과 조급성의 사회적 대응
사명감의 선취와 그 파탄
조지훈과 이원조의 대립

10장 _ 토착화의 문학과 망명화의 문학 : 이호철과 최인훈
1949년 원산고급중학 교실에서의 「낙동강」
깃발과 ‘너 문학하니?’ 사이에서
LST
성지 의식(城地 意識)과 균형 감각
원심력과 구심력의 동시적 작동
LST의 엑소더스 체험과 자기 추상화
소설이란 무엇인가
아이오와 강가에서
양간도 4년에서 깨친 희곡 장르
현실만 보는 사람, 환각만 보는 사람

발문 _ 새로운 글쓰기, 새 지평의 열림(정호웅)

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