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동화와 배제 (일제의 동화정책과 내선결혼)
동화와 배제 (일제의 동화정책과 내선결혼)
저자 : 이정선
출판사 : 역사비평사
출판년 : 2017
ISBN : 9788976961372

책소개


포섭하면서 배제하는,
끌어당기며 경계 짓는,
일제의조선인동화정책
법제적·문화적·생물학적 동화의 전략과 현실의 길항을 살펴본다


제국 일본은 천황을 정점으로 하는 가족국가를 표방하면서, 조선인과 일본인의 결혼을 조선인의 사상·정신, 일상 생활양식, 나아가 혈통까지 일본인화할 수 있는 동화의 궁극적인 수단으로 규정했다.

하지만 내선결혼은 다른 한편으로 일본인과 조선인의 법제적·문화적·혈연적 경계를 흔드는 식민통치의 위험 요소이기도 했다. 민족이 다르고 식민자와 식민지민으로서 서로 지위가 다른 일본인과 조선인의 결혼은 양 집단 모두에게 문화적·혈연적 혼효를 야기하고, 그 부부와 자녀를 어느 집단에 포함시킬지 혹은 배제할지를 결정해야 하게 만들었다. 그러므로 내선결혼 정책은 조선인에 대한 동화정책인 동시에 일본인과 조선인의 경계에 관한 정책이었다.

일제시기 가장 사적이면서 정치적인 문제였던 내선결혼을 둘러싸고 민족, 계급, 젠더의 권력관계들이 맞물리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해방으로 법제적 평등을 얻은 국민국가에 여전히 존재하는 실질적 차별을 성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그 가운데 동원된 포섭과 배제의 논리들은 ‘다문화’ 사회에서의 차이와 차별의 관계를 생각할 단서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제1부 1910~30년대 ‘내선결혼’ 법제의 형성 및 운용
제1장 법제상의 민족 구별과 내선결혼 문제
1. ‘병합’ 이후 조선(인)과 일본(인)의 구별
2. 내선결혼 문제의 발생
3. 조선총독부의 내선결혼 문제 해결 시도
제2장 ‘내선결혼’ 법제의 형성 과정
1. 공통법의 제정 및 민족 구별 원칙의 결정
2. ‘내선결혼’ 법제의 정비와 시행
제3장 ‘내선결혼’ 법제에 의한 호적 이동
1. 일본 호적에서 조선 호적으로의 이동
2. 조선 호적에서 일본 호적으로의 이동
3. 호적 이동이 허가되지 않은 관계
소결 동화와 구별의 긴장, ‘내선결혼’ 법제의 보충과 초과
제2부 1910~30년대 내선결혼의 선전 및 실태
제1장 조선총독부의 내선결혼 선전과 조선인의 반응
1. 동화정책 논란과 ‘내선융화’의 제창
2. 조선총독부의 내선결혼 장려론
3. 조선인 식자층의 내선결혼 반대론
제2장 조선에서의 내선결혼 유형과 추이
1. 연도별·유형별 추이
2. 지역별·직업별 추이
제3장 내선결혼 가정의 결혼 동기와 생활양식
1. 관공리와 왕공족·귀족의 정략결혼
2. 경제적 이해관계의 합치
3. 신분 사기, 성범죄, 동지적 결합
제4장 내선연애·내선결혼으로 인한 사회문제
1. 연애와 결혼의 불연속 및 변심
2. 일부일처제 가족제도와의 충돌
3. 민족 차이·민족 감정으로 인한 갈등
소결 ‘융화’와 ‘불화’의 공존, 내선결혼을 통한 동화의 어려움
제3부 전시체제기 내선결혼 정책과 내선혼혈 문제
제1장 ‘내선일체’ 정책에서 내선결혼의 위상
1. ‘내선일체’의 제창과 적극적 내선결혼 장려론
2. 조선총독부의 소극적 내선결혼 장려 정책
3. 일본 정부의 내선일체 옹호와 내선결혼·혼혈 경계
제2장 내선결혼·혼혈 연구와 일본(인)의 순일성 문제
1. 내선혼혈아에 대한 우생학적 연구
2. 내선일체 정책의 역류와 일본(인) 보호
제3장 공통법체제의 재검토와 통혼 장려의 방기
1. 호적상 민족 구별 원칙의 논리적 동요
2. 조선총독부의 전적안과 ‘황민화’의 조건
3. 내무성의 이적안과 ‘일본인화’의 조건
소결 내선결혼·혼혈의 일본(인)에의 역류, 통혼 정책의 동요
결론
1. 동화정책의 작동 방식: 이념, 시책과 선전, 현실의 상호작용
2. 동화정책의 성격: 조선인의 법제적, 문화적, 생물학적 동화
3. 차이와 차별: 민족, 계급, 젠더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