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 고전문학과 불교
한국 고전문학과 불교
저자 : 김기종
출판사 : 동국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9
ISBN : 9788978019453

책소개


이 책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인문한국(HK)연구단에서 어젠다의 학문적 심화와 사회적 확산을 위해 기획한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의 제8권에 해당한다. 한국고전문학과 불교의 관련 양상을 ‘글로컬리티의 한국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3부로 구성된 이 책의 제1부는 불교경전을 노래한 시가작품들의 특징적인 국면을 살펴본 것이고, 제2부는 ‘부처’,‘보살’,‘지옥’ 등의 불교적 관념이 한국 고전문학작품에서 형상화된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제3부에서는 조선시대의 불교어문학과 불교사의 관계를 언해불전,『염불보권문』,[서왕가],진묵 설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목차


머리말/5


제1부 불교경전과 시가문학

제1장 〈도솔가〉, 불국토의 선언―13
1. 연구의 쟁점/13
2. 해독과 한역시의 문제/17
3. 미륵삼부경과의 관계/21
미륵삼부경과 미륵신앙/ ‘꽃’/‘미륵좌주彌勒座主’의 정체/ ‘일괴즉멸日怪卽滅’의 이유
4. 시대적 맥락과 문학적 성격/33

제2장 향가와 한역시의 관계―39
1. 〈도솔가〉/〈보현십원가〉와 한역시/39
2. ‘모셔라[陪立羅良]’와 ‘멀리서 맞이하네(遠邀)’의 거리/43
3. ‘부처의 일[佛體叱事]’과 ‘보현보살의 자비심(普賢慈)’의 차이/51
4. 남은 문제들/61

제3장 함허당의 경기체가―63
1. 〈미타찬〉/〈안양찬〉/〈미타경찬〉/63
2. 정토삼부경의 수용 양상/66
3. 작품의 구조와 주제의식/73
아미타불의 존재 이유/ 극락왕생의 목적과 방법/ 정토법문의 신해信解와 회향
4. 법연法筵의 공간과 성불의 노래/92


제2부 고전문학과 불교적 상상력

제1장 한국의 불교문헌설화―101
1. 불교설화의 개념과 분류/101
2. 신라/고려시대 불교설화의 유형/104
승려의 신이한 행적/ 경전과 불/보살상의 영험/ 불연국토佛緣國土와 불/보살의 상주常住 / 정토왕생과 현신성불現身成佛
3. 조선시대 불교설화의 전개/120
사지寺誌와 사찰연기설화/ 『진묵조사유적고』의 진묵 설화
4. 부처의 나라와 ‘이곳’의 부처/128

제2장 『삼국유사』의 불/보살 현신現身 설화―133
1. ‘불/보살의 현신’ 모티프/133
2. 불교설화와 불/보살 현신 설화/137
3. 불/보살의 현신 양상/141
진신眞身의 현현顯現/ 승려와 속인으로의 화현化現
4. 신라, 부처와 보살이 숨 쉬는 곳/157

제3장 불교가사에 나타난 지옥―159
1. 지옥 관념과 불교가사/159
2. 불전佛典 속의 지옥/162
3. 불교가사의 지옥 화소/167
시어로서의 ‘지옥’/ 징벌의 양상과 이유/ 시왕의 심판과 지옥의 징벌
4. 불교적 윤리 규범과 삼강오륜三綱五倫의 공존/187

제4장 조선 후기 문학작품의 지옥 형상화―191
1. 지옥 관련 문학작품의 성행/191
2. 조선 후기 유가儒家와 불가佛家의 지옥 인식/193
3. 조선 후기 문학작품의 지옥/200
불교가사와 ‘회심곡’/ 야담과 한글소설
4. 조선사회의 위기의식과 윤리의식의 고양/218


제3부 불교어문학과 불교사의 관계

제1장 언해불전의 시대적 성격―225
1. 언해와 언해불전/225
2. 조선 전기의 언해불전/227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간경도감과 불전언해/ 지방 사찰의 언해불전
3. 조선 후기의 언해불전/240
『은중경』의 언해와 유통/ 『권념요록』과 『염불보권문』/ 『지장경언해』와 『월인석보』 권21
4. 승려의 학습서와 대중 교화서/249

제2장 『염불보권문』의 불교사적 의미―253
1. 『염불보권문』이란 책/253
2. 서지와 이본 간의 관계/255
3. 구성과 내용적 경향성/265
경전에서 뽑은 글/ 왕생담/ 염불의식문/ 보유편
4. 18세기 염불운동의 제창/281

제3장 〈서왕가〉와 18세기 불교사―287
1. 가사문학의 발생과 〈서왕가〉/287
2. 〈서왕가〉의 수록문헌/290
『염불보권문』/ 『신편보권문』
3. 수록문헌에서의 위치/298
〈서왕가〉의 이본/ ‘조사祖師’의 노래/ 〈강월존자서왕가〉와의 비교
4. 작가 문제와 불교사의 맥락/310

제4장 19세기 진묵 설화의 기록화―317
1. 진묵 설화와 『진묵조사유적고』/317
2. 『진묵조사유적고』의 진묵 형상화/321
‘유적遺蹟’의 구성과 배열/ 석가불의 화신
3. 구비설화에 나타난 진묵/331
자료의 현황/ 유儒/불佛의 대립의식/ ‘진묵이 죽은 이유’
4. 반反유교적 정서의 교정과 호남의 불교 성지화聖地化/346

참고 문헌/353
찾아보기/365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