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종교개혁과 교육개혁
종교개혁과 교육개혁
저자 : 양금희
출판사 : 예영커뮤니케이션
출판년 : 2017
ISBN : 9788983509697

책소개

『종교개혁과 교육개혁』은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종교개혁의 교육생태계 개혁”에서는 종교개혁가들의 교육개혁을 학문적으로 연구한 내용을 명쾌하게 소개하고 있으며, 2부“종교개혁과 오늘의 교육개혁”에서는 종교개혁을 바탕으로 위기에 처한 오늘날 한국 교회의 교육개혁 방향을 평신도들도 쉽게 읽고 알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현재 한국 교회가 직면한 교회교육의 위기, 어떻게 하면 새로운 장(場)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
종교개혁가들의 교육개혁에서 그 해법을 모색해 본다.

2017년은 종교개혁 5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에 따라 종교개혁과 관련한 다양한 책들이 나왔고, 또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종교개혁을 “교육”과 관련시켜서 집중적으로 생각해 보는 책은 별로 없다고 할 수 있다. 오랫동안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을 연구하고 가르쳐온 이 책의 저자는 이미 『종교개혁과 교육사상』(1999년)에서 종교개혁가들의 교육적 활동들을 살펴본 바 있다. 그러나 그 책에서 비교적 상세히 다루지 못한 종교개혁가들의 교육개념을 이번에 새롭게 출간하는 본 책에서 확대 심화하여 조목조목 알려주고 있다. 특별히 통전적 종교개혁의 통로로서 종교개혁가들의 교육개혁적 측면을 제시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 책은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종교개혁의 교육생태계 개혁”에서는 종교개혁가들의 교육개혁을 학문적으로 연구한 내용을 명쾌하게 소개하고 있으며, 2부“종교개혁과 오늘의 교육개혁”에서는 종교개혁을 바탕으로 위기에 처한 오늘날 한국 교회의 교육개혁 방향을 평신도들도 쉽게 읽고 알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 교회교육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최근 이에 대한 진단과 논의들이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교회가 실제로 이 위기를 깊이 체감하고 가볍게 넘길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일 것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속 시원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은 이 시점에서 이것을 타계해 나갈 출발점을 종교개혁의 전통으로 잡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가 이 주제로 책을 출간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한국 교회교육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 즉 기독교교육을 공부하는 사람뿐 아니라 종교개혁의 기독교교육을 바탕으로 개신교 기독교교육 방향을 새롭게 찾기 원하는 사역자, 교사 그리고 평신도들이 읽어야 할 좋은 길라잡이다.

[책 속으로 추가]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사상은 오늘날의 기독교교육에게 우리가 추구해야 할 ‘앎’이 어떠한 앎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도전을 준다. 코메니우스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앎은 객관적 지식의 조각을 습득함으로써 오는 현상이 아니라, 신앙인을 신앙인으로서 ‘형성시켜주는 앎’이어야 한다는 통찰을 준다. 우리가 추구해야 할 앎은 무엇보다 먼저 우리와 하나님 관계를 바로 세우고, 우리와 인간과의 관계, 우리와 자연(세상)과의 관계를 바르게 형성시켜주는 앎, 즉 ‘관계적’ 앎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도전을 준다. 그래서 그것은 우리의 교육이 하나님을 삼인칭으로 ‘그분’에 관해 가르치는 것(teaching about God)이 아니라, 그를 이인칭으로 마주 대하고 관계 맺는 교육, 즉 여호와 사랑하기를 가르치라는 말씀이(신 6:4-9) 의미하듯, 하나님과 인격적으로 관계 맺으며 알아가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을 도전한다. 그것은 또한 우리의 교육이 다른 사람과 인격적 관계성 안에서 평화롭게 함께 살아가기를 배우는 관계적 앎, 자연을 객관적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사랑하며, 알아가며, 평화롭게 공존하도록 하는 관계적 앎을 추구하도록 도전한다.
_본문 185p

위기의 상황에 처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때 무엇보다 먼저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 본질을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본질을 생각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출발점에 다시 서는 것이다. 그렇다면 개신교회가 출발하게 된 모태는 무엇인가? 종교개혁이다. 우리의 교회가 스스로를 개신교회라고 칭한다는 것은 곧 우리의 교회가 종교개혁 전통에 서 있으며 따라서 그 정신을 언제나 새롭게 기억하고 그것에 우리를 비추어 보겠다는 것을 고백하는 것과 다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날 한국 교회와 기독교교육의 위기도 우리 교회와 기독교교육의 모판이자 본질인 종교개혁적 전통에 비추어 보아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_본문 242p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 머리에

1부 종교개혁의 교육생태계 개혁

1장_ 루터의 교육개혁 사상
1. 들어가는 말
2. 루터의 교육적 저술과 교육개혁적 사고
3. 교육생태계 개혁
4. 나오는 말 - 루터의 교육생태계 개혁

2장_ 칼뱅의 교회론에 나타난 교육목회
1. 들어가는 말
2. 칼뱅의 교회론에 나타난 “하나님 교육(paedagogia Dei)”개념
3. 나오는 말 - 칼뱅의 교육목회의 현대적 함의

3장_ 종교개혁기의 교육생태계 개혁
- 학교와 국가, 그리고 교회의 관계
1. 들어가는 말
2. 중세의 교육제도에 나타난 학교, 교회, 그리고 국가의 관계
3. 루터와 칼뱅의 학교, 교회, 그리고 국가의 관계
4. 종교개혁기의 학교, 교회, 국가의 관계
5. 나오는 말 - 종교개혁의 ‘학교, 교회, 국가’의 관계가 오늘에 주는 시사점

4장_ 후스파 개혁가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과 세계개혁
1. 들어가는 말
2. 평화의 관점에서 보는 코메니우스의 생애와 저술
3. 범지혜와 평화
4. 범교육에 나타난 평화교육 사상
5. 나오는 말 - 코메니우스의 평화교육이 오늘에 주는 도전

2부 종교개혁과 오늘의 교육개혁

1장_ 종교개혁의 교육개혁을 통해서 본 오늘의 교육개혁
1. 들어가는 말
2. 종교개혁은 왜 교육의 개혁인가?
3. 종교개혁을 통해서 본 오늘의 기독교교육 개혁의 과제
4. 나오는 말

2장_ 다시 개혁으로! - 한국 교회 위기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진단
1. 들어가는 말
2. 한국 교회 위기 현상들
3. 한국 교회의 위기와 기독교교육
4. 나오는 말 - 다시 개혁으로! 다시 본질로!

3장_ 오직 말씀으로! 생명력 있는 말씀을 회복하는 교육
1. 들어가는 말
2. 총체적 교육생태계의 위기와 말씀
3. 생명력 있는 말씀을 회복하는 교육 이야기
4. 나오는 말 - 오직 말씀으로!

4장_ 만인을 제사장으로! - 한국 교회 평신도교육 개혁
1. 들어가는 말
2. 루터의 만인제사장설
3. 만인제사장 개념을 통해서 본 평신도와 평신도교육 패러다임
4. 만인제사장을 위한 한국 교회 개혁의 방향
5. 나오는 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