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민족. 민족주의
민족. 민족주의
저자 : 박찬승
출판사 : 소화
출판년 : 2016
ISBN : 9788984103832

책소개

『민족 민족주의』는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과 유래를 밝히는 책이다. 근대 이전에 민족과 유사한 개념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러한 개념이 있었다면 그것이 근대에 들어 민족 개념으로 어떻게 이어지게 되었는지를 추적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한국에서‘민족’이라는 단어는 1906년 이후 량치차오의『음빙실문집』의 영향으로 자주 쓰이기 시작하였다. 그는‘민족’을 지리·혈통·형질·언어·문자·종교·풍속·경제생활의 공통성을 지닌

집단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민족 개념은 민족 형성 과정에서의 ‘원초적 기반’과, 집단 내에서 공유되는‘문화적 기반’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후 한국 민족주의는‘문화적 민족주의’의 성격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

‘민족주의’는 내셔널리즘의 번역어이다. 내셔널리즘은 동아시아권에서는 민족주의뿐만 아니라 국가주의, 국민주의로 번역되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민족주의로 번역되었다.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하나의 민족이 하나의 정치적 단위, 즉 하나의 독립된 국가를 영위하고자 하는 이념으로 이해되었다. 따라서 국권 상실과 민족 분단의 처지에 놓인 20세기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현상을 타파하려는 운동의 가장 중요한 이념이 되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한국개념사총서』발간사
저자의 말
서론

part1 민족
1. 서양의 ‘민족’ 개념
2. 동아시아의 ‘민족’ 개념 수용사
3. 한국의 ‘민족’ 개념의 형성과 수용
4. 식민지 시기 ‘민족’ 개념의 정착과 변화
5. 해방 이후 ‘민족’ 개념의 변화

part2 민족주의
1. 서양의 ‘민족주의’ 개념 정의
2. 대한제국기 ‘민족주의’ 개념의 수용
3. 1910년대 민족평등주의론과 문화적 민족주의론
4. 3ㆍ1 운동 전후의 민족주의론
5. 1920∼1930년대의 민족주의론
6. 1930년대 민족주의와 파시즘의 만남
7. 해방 직후의 민족주의론
8. 이승만 정권의 민족주의: 일민주의
9. 한국 전쟁 이후 남북한의 민족주의론

결론
문헌목록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