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
저자 : 한정훈
출판사 : 혜안
출판년 : 2013
ISBN : 9788984944725

책소개


옛길은 역사 속의 국토 대동맥이었다

고려시대 국토의 대동맥인 육상교통과 수상교통들이 어떻게 형성되고 운영되었는지를 체계적으로 살핀다. 오늘날 각종 여행매체들에 소개되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길 중에 소백산 자락의 죽령 옛길과 월악산 자락의 하늘재길이 있다. 죽령 옛길은 경북 영주와 충북 단양을, 하늘재길은 경북 문경과 충북 충주를 잇는데 이 길을 걸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옛 사람들이 짐을 이고지고 하면서 걷고 또 걸어 넘었던 고갯길의 정취가 그대로 살아있는 곳들이다.

옛날 고려시대에도 이 길들이 영남과 충청을 잇고 개경으로 향하는 주요한 교통로였다. 하늘재 아래에 있는 넓은 미륵대원 유적지에서 보듯, 그곳에는 고갯길을 넘는 사람과 조세운송 물품들이 활발하게 오고가는 거점인 역참이 있었다. 교통과 통신이 오늘날 세계를 잇는 최첨단 산업이자 전국 모든 곳을 잇는 대동맥의 정점인 데 반해, 한국사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관심 밖의 주제이다. 이를 위해 교통사의 관점에서 한국사를 재조명하고자 노력 했고 ‘교통운수사’라는 타이틀을 단 연구서는 국내에서 처음 발간하였다.

목차


머리글

Ⅰ. 서론
1. 연구성과
1) 육상교통
2) 수상교통
2. 연구방향
Ⅱ. 고려초기 교통과 조운시스템의 형성
1. 통일신라시기 조세운송활동
2. 驛路網의 편성과 驛制의 운영
1) 開京 중심의 교통망 편성
2) 大·中·小路 관리방식과 6科體制
3. 초기 漕運制의 전개 양상
1) 교통운송기구의 설치와 변화
2) 60浦制의 실시
Ⅲ. 고려전기 22驛道와 漕倉制의 운영
1. 전국적 水陸交通網의 구축
1) 22역도의 구성과 驛 분포
2) 역도와 수운시설의 결합
2. 漕倉制의 성립과 정비
1) 조창제의 성립
2) 조운규정의 보완
Ⅳ. 漕倉制 운영시기 권역별 교통 네트워크
1. 京倉直納地域의 교통 네트워크
1) 경창직납지역의 범위 설정
2) 영역별 조세운송 네트워크
2. 漕倉經由地域의 교통 네트워크
1) 13漕倉의 조세운송 네트워크
2) 漕倉의 교통운수사적 특징
3. 現地輸納地域의 교통 네트워크
1) 兩界의 역도망과 嶺路
2) 장거리 해운 네트워크
Ⅴ. 고려후기 교통과 조운시스템의 변동
1. 교통운송체제의 동요와 위기
1) 교통운송기관의 파행적 운영
2) 교통운송 기반의 손실
2. 漕運시스템의 재편과 복구
1) 군현별 조운활동과 私船의 활용
2) 왜구의 약탈과 漕轉城의 수축
Ⅵ. 결론

부표·군현별 驛과 주요 포구 일람
참고문헌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