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조선시대 지주제 연구
저자 : 이세영
출판사 : 혜안
출판년 : 2018
ISBN : 9788984945951
책소개
조선시대 사회구성의 핵심인 지주제와 지주경영의 실체를 밝힌 역작!
이 책은 1980년대 중반 이래 조선시대 농업사에 대한 사회경제사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저자가 역사적 유물론의 시각에서 생산·소유관계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 내용을 종합·정리한 것이다. 이 책의 핵심 요지는 토지소유권 개념사의 관점에서 볼 때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중반에 걸쳐서 사적 토지소유권이 정립되었다는 것, 그에 따라 사적 토지소유와 지주적 토지소유, 즉 지주제가 발달해 가고 있었고(조선전기의 농장제:‘농장지주-노비·노비적 농민’ 관계→ 조선후기의 지주전호제:‘양반·서민지주-시작·전호농민’ 관계), 19세기 말에는 그러한 지주전호제의 발달과 모순의 심화 속에서 봉건지배층과 양반지주계급은 지주제를 토대로 하는 근대국가를 수립하려는 근대화 개혁을 추진했던 반면, ‘국가-[양반·서민 지주-시작·전호 농민]’의 소유·생산관계 아래서 국가와 지주계급에 의해서 전세와 고율의 지대를 중층적으로 수탈당했던 빈농계급은 농민적 토지소유(토지는 평균분작할 것:토지평균분배론)를 실현하기 위해서 농민전쟁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자 이세영 교수는 그간 인용하지 못했던 『승정원일기』·『일성록』·『비변사등록』 등의 연대기와 조선국가의 기본 법전과 판례(『決訟類聚補』 등),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수장되어 있는 궁방의 장토문적·지방관아문서, 그리고 개인문집과 각종 고문서 등을 인용하여 치밀하게 실증하였다.
목차
책을 내면서
본 책의 기초가 된 이미 발표된 論著
제1부 古代·中世時代의 土地收租權과 土地所有權
제1장 朱子가 말하는 井田制와 三代의 稅法
1. 머리말
2. 夏·殷·周의 分田制
3. 殷·周의 爵祿制
4. 맺음말
제2장 朝鮮時代의 陳荒處 起耕과 土地所有權
1. 머리말
2. 立案과 陳荒處 起耕
3. 陳荒處 起耕과 土地所有權
4. 맺음말
제2부 朝鮮前期의 農莊制
1. 머리말
2. 農莊의 形成
3. 農莊의 經營
4. 맺음말
제3부 朝鮮後期 地主層의 形成
제1장 朝鮮後期 土地構成(元結·時起結·實結)의 變動
1. 조선시대의 量田史
2. 元結·時起結·實結의 變動現況
제2장 兩班地主層의 形成
1. 兩班層의 구성
2. 兩班層의 土地兼竝:民田 侵奪
3. 兩班層의 土地兼竝:‘無主陳荒處’ 開墾
4. 兩班層의 土地兼竝:勒買와 買得
제3장 朝鮮後期 庶民地主의 成長
1. 머리말
2. 饒戶·富民의 勸分·願納
3. 饒戶·富民의 실태-庶民地主의 成長
4. 맺음말
제4부 朝鮮後期 地主層의 地主經營
제1장 宮房地主의 地主經營
1. 宮房과 宮房田
2. 宮房地主의 地主經營
제2장 京華兩班地主의 地主經營
1. ‘京華兩班’의 土地兼竝
2. 京華兩班地主의 地主經營
제3장 宗家地主의 地主經營
1. 朝鮮後期 門閥家門·宗孫家門의 形成
2. 宗孫家門의 院祠 건립 추이
3. 宗家地主의 地主經營-李滉家門의 地主經營 사례
【補說】晦齋 李彦迪家門의 宗家地主의 地主經營 사례
제4장 兩班土豪地主의 地主經營
1. 兩班土豪地主의 農業勞動力:挾戶
2. 兩班土豪地主의 地主經營
3. 맺음말
제5부 朝鮮時代 土地改革論의 推移
1. 머리말
2. 鄭道傳의 私田改革論과 韓明澮의 豪富論
3. 宋時烈과 韓元震의 土地改革論
4. 柳馨遠·李瀷·鄭尙驥의 土地改革論
5. 朴趾源·禹夏永·丁若鏞의 토지개혁론
6. 兪吉濬·李沂의 土地改革論
7.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