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인문 지리학의 시선
인문 지리학의 시선
저자 : 전종한외
출판사 : 논형
출판년 : 2008
ISBN : 9788990618948

책소개


인문학적 전통과 사화과학적 전통의 측면에서 장소와 경관, 촌락 지역의 해석 등을 다루었다. 즉, 다양한 장소와 경관을 지리학은 어떻게 ‘이해(verstehen)’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주제를 통해 다루었고, 또한 자본주의가 운행하는 근대적 공간에 대한 지리학적 ‘설명’을 정리하고 있다. 풍부한 담론의 세계에서 지리적으로 세상을 해석하는 것은 ‘다른 장소’의 사람들과 ‘이 장소’의 우리를 만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세계의 다양한 지역과 장소들, 사람들의 다양한 생활양식을 하나의 모자이크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목차


『인문지리학의 시선』The Renewed를 펴내며
초판 서문 『인문지리학의 시선』을 펴내며
그림차례
읽기차례

1부 지리적 상상력의 확장

1장 개념에 담겨있는 지리학의 사고방식 (박승규)

1. 지리학에 대한 선입견과 정설
선입견의 배후
지리학은 인간의 삶과 밀접한 학문이다!
2. 경계가 흐려지는 지리학의 영토
3. 희미해진 영토에서 지리학의 모습 찾기: 지리학의 개념들
위치와 장소
장소와 공간
장소, 공간, 그리고 지역
지역과 경관
시간과 스케일

2장 쟁점을 통해 읽어보는 지리학사 (장의선)

1. 고대와 중세의 지리학 전통
지방지 전통 vs. 수리천문학 전통
고대 지리학의 집대성에 공헌한 스트라보와 톨레미
중세시대, 두 개의 지리학: T-O 지도 vs. 이븐 바투타
2. 지리상 발견 이후 지리 지식의 체계화와 근대 지리학의 전개
지리상 발견 시대의 바레니우스의 고민
과학으로서의 지리학: 훔볼트 vs. 리터
종의 기원의 출간과 지리학 논쟁 : 환경결정론 vs. 가능론
헤트너의 지역론과 슐뤼터의 경관론: ‘장소적 종합’ vs. ‘가시적 경관’
3. 현대 지리학의 쟁점과 경향
하트숀의 지역지리학에 대한 쉐퍼의 도전: 전통지리학 vs. 신지리학
계량적 인문지리학의 등장 배경
신지리학의 한계와 보완의 노력
새로운 도전: 인간주의 지리학과 구조주의 지리학
지식 생산의 본질은 무엇이고 지리사상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3장 지리적 사상(事象)의 재현: 지도 (장의선)

1. ‘지도’는 재현의 한 방식(a way of representation)!
‘지도란 무엇인가’를 달리보기
거짓말은 지도의 태생적 운명
지도와 권력
2. 고지도를 읽어보자
어떤 종류의 고지도가 현재 전해오는가
고지도를 읽기 위한 코드
조선시대의 세계지도에서 읽을 수 있는 조선 사람들의 세계관
3. 근대지도의 등장에서 지리 정보 시스템(GIS)까지
어떤 지도를 근대지도로 볼 것인가
근대 지도로서의 대동여지도
현대의 지도 언어들
종이지도를 넘어 디지털 지도까지: 수치지도와 지리 정보 시스템(GIS)

영화가 말하는 지리이야기
모노노케히메에 담긴 일본의 종교와 신화

2부 장소와 경관의 이해

4장 자연 환경과 인문성: 이원론을 넘어서 (전종한)

1. 인간 삶터로서의 자연 환경
인문성의 모태(母胎) ‘자연환경’
생태론의 허점
2. 생태론을 넘어 풍토론으로
풍토론에서 보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
세 가지 풍토형: 몬순, 사막, 목장
3. 자연환경을 보는 상반된 시선
어머니로서의 자연관 vs. 상품 가치로서의 자연관
본질주의 관점 vs. 구성주의 관점.
다양한 환경론이 난무하는 가운데 지리학자들의 입장은

5장 풍수 사상의 두 전통 (박승규)

1. 터 잡기 예술인가, 지식 체계인가
풍수 사상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터 잡기 예술로서의 풍수’, ‘지식 체계로서의 풍수’
2. 누가 풍수를 들여왔고, 어떻게 사용했는가
풍수의 기원과 전파
‘어떤 사람들이’ 풍수를 알고 있었는가
풍수를 누가 ‘어떻게’ 사용했는가
3. 잃어버린 전통을 찾아서

6장 촌락 지역의 해석 (전종한)

1. 촌락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
촌락이 갖는 의미
사라져가는 한국의 촌락
촌락의 정의는 동·서양이 서로 다르다
2. 촌락의 입지와 형태
촌락은 어떤 장소에서 발생하는가
조선 시대 사대부들의 삶터 선정 기준: 지리, 생리, 인심, 산수
촌락의 가옥들은 왜 모여 있을까 흩어져 있는 경우는
이국적 풍경의 촌락 형태: 태안반도의 산촌(散村)
3. 촌락의 공간 구성과 경관
촌락의 공간 구성을 어떻게 들여다 볼 것인가
공간 구성이 독특한 세계의 주요 촌락
4. 한국 촌락의 근간(根幹): 종족촌락
촌락 형성의 주인공 ‘종족집단’
종족 촌락은 언제, 어떤 배경에서 등장했는가
촌락의 공간 구성
경관이 내포한 의미와 전략

7장 한국 도시의 원형‘읍성’(전종한)

1. 성곽의 나라 ‘조선’
한반도에 얼마나 많은 읍성들이 있었는가
조선 초기 읍성은 인근의 산성으로부터 이사 온 것
읍성의 입지에 관여한 조건들
2. 읍성 안의 경관과 장소
‘중앙 권력을 상징하는 읍성’ vs. ‘멸시의 공간 읍성’
읍성 안에는 자리했던 경관과 장소들
경관 배치의 기본 원리
경관의 상징성과 경관 배치의 지역적 차이
3. 읍성은 언제, 어떻게 사라져갔는가
일제 강점기 새로운 ‘사물의 질서’의 침입
전통 경관의 소멸과 기능 변화
일본인의 읍성 유입에 따른 공간 구조의 변형
읍성 취락의 사회 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8장 장소와 경관을 새롭게 읽기 (전종한)

1. ‘다름’을 찬미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우리 주변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이 주목하는 ‘지역적 차이’
‘후기 근대(postModernism)’인가, ‘탈근대(Postmodernism)’인가
2. 경관/장소의 해체적 읽기를 위하여
해체하여 읽는다는 것
사회·공간적 실천의 포착에 의한 권력 읽어내기
텍스트로서의 경관과 장소
경관과 장소를 해체적으로 읽기
3. 경관과 장소의 마케팅: 그 재현의 의미와 한계
웰빙, 지방화, 자본주의의 합작품 ‘경관/장소 마케팅’
경관 장소 마케팅의 유형

영화가 말하는 지리이야기
Far and Away에서 읽는 유럽인과 북미인디언의 자연관

3부 근대적 공간의 설명

9장 도시의 탄생과 진화 (전종한)

1. 도시란 무엇인가
어원적 음미: ‘都市’와 ‘City’와 ‘the Urban’
삶의 방식(a way of life)으로서의 도시
도시화와 도시-촌락 연속체
2. 도시의 기원에서 세계도시까지
도시의 기원과 확산
고대와 중세를 거쳐 ‘왕의 귀환’까지의 도시
산업혁명과 도시화: 상인도, 절대 군주도 아닌 제조업인의 도시로!
현대 도시: 내부는 다핵 도시로, 외부로는 세계 도시로!
3. 한국의 도시 발달: 왕의 도읍지에서 자본주의 도시까지
조선 전기 이전에 도시가 있었을까
조선 후기부터 해방 직후까지
급격한 산업화, 급속한 도시 발달

10장 도시의 안과 밖 (서민철)

1. 도시의 다양한 얼굴
도시의 다양성을 세 차원에서 볼까
도시는 움직인다!
2. 도시 내부의 구조와 동학
모자이크로서의 도시
공간-경제적 힘과 도시 구조
공간-사회적 힘과 도시 구조
공간-정치적 힘과 도시 구조
3. 도시의 외부, 도시들 간의 ‘관계’
점으로서의 도시
1위 도시 인구와 2위 도시의 관계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세계 도시 체계

11장 산업 활동과 지역의 형성 (서민철)

1. 산업의 입지와 지역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시장 분포의 국지성
문제는 지리!
2. 공업의 입지와 지역 변화
여러 가지 산업
베버의 공업 입지 이론
현대의 공업 입지 이론
3. 서비스업의 입지: 상업의 경우
서비스업 입지의 특징
문턱값과 도달거리: 철가방의 배달 거리는
너도나도 자장면집: 상권 경쟁과 상업의 계층적 입지
메밀꽃 필 무렵의 지리학: 정기시장의 해석

12장 지역 불균등과 공간적 정의 (서민철)

1. 공간적 정의(Spatial Justice)의 문제
공간에도 정의가 있는가
지역 격차 비판은 정당한가
2. 지역 불균등 발전에 관한 이론
지역 불균등 발전론의 이론적 배경
수렴론: 신고전 지역 성장론과 불균형 성장론
비수렴론: 뮈르달, 프리드만, 내생적 지역 성장론
비주류 이론들
3. 한국에서의 지역 불균등 논의
추세 분석과 기제 추적
압축적 산업화와 지역 격차
1980년대 이후 수도권 집중도 변화의 메커니즘

찾아보기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