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
저자 : 하요뒤히팅
출판사 : 미술문화
출판년 : 2007
ISBN : 9788991847309

책소개

바우하우스, 어떻게 이해할까?

미술 양식사를 분야별로 다룬『inter/ART』시리즈. 독일 벨저 출판사에서 간행하고 있는 미술책들을 번역하여 발행한 것으로, 회화, 조각, 건축, 공예라는 미술의 전 분야를 양식별 및 사조별로 다루고 있다. 특히 "어떻게 이해할까?"라는 창을 통해 대표적인 작품을 면밀하게 분석하였으며, 대표적인 양식과 대표작가에 대한 연표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뒤꼭지에는 양식별 대표작품과 소장처를 각 나라마다 소개하여 여행자에게도 좋은 안내자 역할을 한다.

네 번째 〈바우하우스〉에서는 건축가, 예술가, 디자이너를 위한 학교로서 1919년에 바이마르에 세워진 바우하우스에 대해 살펴본다. 20세기 예술교육의 메카인 바우하우스에서는 여러 저명한 예술가들이 교육을 담당하고 활동하였으며, 새로운 아방가르드의 양상을 특징지었다. 바우하우스의 교수법과 교육이념은 세계 곳곳에 보급되어 오늘날에도 대부분의 예술 교육과정에 포함될 만큼 현대 조형예술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예술과 디자인을 위한 하나의 개념으로 자리잡은 바우하우스를 소개한다. 바우하우스가 펼친 양식 운동의 중요한 특징과 형태들을 인상 깊게 설명하였다. 1919년의 설립부터 1933년 나치에 의해 폐교될 때까지의 바우하우스의 역사와 바우하우스를 거쳐 간 수많은 예술가들이 추구했던 예술경향을 회화, 조각과 응용미술, 건축분야로 나누어 다루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1919년의 설립부터 1933년 나치에 의해 폐교될 때까지의 바우하우스의 역사와 바우하우스를 거쳐 간 수많은 예술가들이 추구했던 예술경향을 회화, 조각과 응용미술, 건축분야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20세기 예술교육의 메카로 여겨지는 바우하우스에서는 두 분야의 마이스터들이 교육을 담당했다. 수공예를 지도하는 공예 마이스터와 예술가적인 것을 지도하는 형태 마이스터였는데, 이는 예술과 기능을 동시에 학생들에게 가르침으로써 이 두 가지의 분리를 막으려고 시도한 교육이념의 표출이다. 마이스터 중에는 추상 미술의 선구자인 클레와 칸딘스키 외에도 오늘날까지도 색채법칙을 다루는 색채수업의 기초토대로 쓰이는 색채이론으로 유명한 요하네스 이텐, 그리고 리오넬 파이닝어, 라슬로 모호이-너지, 오스카 슐레머 등 익히 들어온 예술가들이 있다. 바우하우스는 무엇보다 건축을 우선시했기 때문에 조각이나 공예는 상대적으로 침체될 수밖에 없었는데, 그런 와중에서도 나름대로의 실험과 자기 개성을 발현한 공예가들, 이를테면 마리안네 브란트, 게르하르트 마르크스, 테오도르 보글러의 작품도 볼 수 있어 이채롭다.

바우하우스는 “완벽한 건축물이 모든 시각예술의 궁극적 목표다.”하고 선언하였으며 교사와 학생이 함께하는 공동사회적 책임을 지향하였고 1923년 이후 기계의 사용으로 예술과 공업기술의 통합을 목표로 합리주의적인 모던 디자인을 향한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점은 디자인 역사에 영원히 남을 일이다. 존속기간은 14년에 불과했지만, 근대 디자인의 역사에 키친 영향은 적지 않다. 1933년에 완전히 폐쇄되기는 했어도, 이곳에서 제작한 제품들은 많은 곳에서 모방되었고,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물건들을 단순하고 편리하게 설계하는 방법 또한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러나 바우하우스의 이념은 독일보다는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한 교수들에 의해 그곳에서 꽃을 피우게 된다. 설립자 그로피우스는 하버드 대학교 건축부장으로, 마지막 교장이었던 미스 반 데어 로에는 일리노이 공과대학 건축학부장으로 각각 부임하고, 모호이-너지는 시카고에 뉴바우하우스를 개설하였다. 그리하여 바우하우스의 교수법과 교육이념은 세계곳곳에 보급되어 오늘날에도 대부분의 예술 교육과정에 포함될 만큼 현대 조형예술 분야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는 말
바우하우스의 역사|데사우의 바우하우스|베를린 바우하우스와 그 이후

회화
색채와 형태-회화의 기초|요하네스 이텐과 기초과정|기본형태: 파울 클레와 바실리 칸딘스키|
소리나는 세계|바우하우스의 구성적 경향: 모호이-너지와 알베르스|색채의 상호작용|
대상으로의 지향: 리오넬 파이닝어와 게오르크 무헤|예술과 기술-같지 않다!|
공간 속의 인간: 오스카 슐레머|바우하우스의 젊은 화가들: 바우하우스 학생과 그들의 회화

조각과 응용미술
바우하우스의 조각|이텐의 "불의 탑"|유스트 슈미트의 "입체 작업장"|
모호이-너지의 "빛-공간 변조기"|바우하우스의 금속 작업장|마르셀 브로이어와 가구 작업장|
도자 작품|섬유 작업장과 벽걸이|바우하우스의 사진

건축
"위대한 건축"|바이마르의 바우하우스 건축|1923년 바우하우스 전시: 호른의 주택과 빨간 주사위|
데사우의 바우하우스 건축|입체적인 구성물: 데사우의 교수 주택|
바우하우스의 주택단지 계획: 데사우 퇴르텐 주택단지, 1926-28 115|
한네스 마이어와 베르나우 ADGB 연방학교, 1928-30 117|루드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예술

바우하우스 여행안내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