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바로크 - 어떻게 이해할까 10
바로크 - 어떻게 이해할까 10
저자 : 토마스R.호프만
출판사 : 미술문화
출판년 : 2007
ISBN : 9788991847361

책소개

바로크 미술, 어떻게 이해할까?

미술 양식사를 분야별로 다룬『inter/ART』시리즈. 독일 벨저 출판사에서 간행하고 있는 미술책들을 번역한 것으로, 미술의 전 분야를 양식별 및 사조별로 다루고 있다. 특히 "어떻게 이해할까?"라는 창을 통해 대표적인 작품을 상세하게 분석하였으며, 대표적인 양식과 대표작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연표를 제시하였다. 뒤편에는 양식별 대표작품과 소장처를 각 나라마다 소개하여 여행자들에게도 유용하다.

열 번째 〈바로크〉에서는 건축, 회화, 조각에 나타나는 바로크 양식의 핵심을 살펴본다. 식스투스 5세하에서의 로마 개축과 함께 시작되고, 루이 14세의 서거 및 빈의 카를 성당의 건축과 함께 막을 내린 바로크의 양식적 특징과 의미를 짚어본다. 바로크 미술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바로크 미술 양식의 특성은 무엇인지 다루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바로크 양식은 식스투스 5세하에서의 로마 개축과 더불어 시작되고, 루이 14세의 서거 및 빈의 카를 성당의 건축과 더불어 막을 내렸다. 이 책은 건축, 회화, 조각에 나타나는 바로크 양식을 간결하면서도 정확하게 서술하여 바로크의 양식적 특징을 핵심을 짚어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바로크 회화
‘비뚤어진, 불규칙한, 좋은 취미에 맞지 않는’이라는 이탈리아어 바로코 barocco에서 유래한 양식답게 바로크 회화는 통일적 양식의 특성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다. 바로크 시대만큼 회화가 다양한 예술적 시각을 보인 때는 없었는데, 급부상한 시민들의 가정과 자유로운 미술시장 등 다양한 수요층을 만족시키기 위한 여러 시도를 했기 때문이다.
바로크 회화의 창시자로 불리는 카라바조와 안니발레 카라치를 비롯해 베르메르, 렘브란트, 벨라스케스, 프란스 할스, 그리고 어린이 만화영화 ≪플란다스의 개 ≫의 주인공 네로가 평생동안 무척이나 보고 싶어했지만 죽기 직전에야 성당지기의 도움으로 보게 되는 그림을 그린 루벤스 등 르네상스나 인상파 화가들만큼 바로크 화가들은 우리들에게 친숙하다.
바로크 건축
커다란 둥근 돔이 특징인 바로크 건축물은 크게 로마 교회건축과 프랑스 궁정건축으로 나눌 수 있다. 로마의 성 베드로 성당, 일 제수 성당, 산 카를로 알레 콰트로 폰타네 성당, 베르사이유 궁전, 쇤브룬 궁전에서 볼 수 있는 바로크 건축의 웅장함과 화려함은 절대적인 권력의 힘이 교회와 군주를 두고 경합을 벌이던 당시의 사정을 말해주는 듯하다. 빼어난 조각가이면서 건축가이기도 했던 베르니니와 보로미니의 대결, 오스트리아 빈의 탁월한 건축가 피셔 폰 에를라흐를 소개하고 있다.
바로크 조각
극적인 역동감, 강렬한 정서, 고전적 규범에는 맞지 않는 불균형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보이는 모든 부분은 전체적으로 조금씩 왜곡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극도의 표현성을 얻게 된다. 조각은 대부분 고대의 작품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은 이야기하면서 서로 반응하는 개별 조각들이 모여 이루어진 ‘군상조각’이 바로크 시대에 처음 발견되어 유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바로크 조각의 거장은 누가 뭐라 해도 베르니니일 것이다. 금방이라도 살아 움직일 것 같은 조각작품을 만든 그는 당대에 대리석을 다루는 데 있어서는 아무도 능가할 수 없었던 조각의 대가였다. 베르니니의 역동적인 표현주의와 대비되는 고전주의적 경향을 대표하는 사람은 알레산드로 알가르디이다. 이 밖에 프랑소와 뒤케누아, 프랑소와 지라르동, 피에르 퓌제의 작품들을 볼 수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들어가는 말
시대구분과 전개 | 바로크 양식개념 | 정치적·사회적 전제조건

건축
반종교개혁의 핵심 건축:‘일 제수’예수회교회 | 바로크의 도시계획 : 로마의 예 |
성 베드로 성당 대 건축 | 교황의 총애를 받은 젊은 만능천재 |
베르니니의 맞수: 프란체스코 보로미니 |
바로크식 도시광장의 전형적인 예: 베르니니의 베드로 광장 |
베르사이유 : 바로크식 궁전의 전형 | 빈의 황제 또한 바로크식 궁전을 가지다 |
빈의 새로운 성 베드로 성당과 카를 성당의 제국양식

회화
카라바조와 안니발레 카라치: 로마의 바로크 회화 창시자 | 예술적 방법에 의한 공정한 그림 경쟁 |
로마에서 세상의 주목을 받은 루벤스 | 루벤스의 귀향 | 스페인의 세계패권 |
새로운 세계패권국으로서의 영국 | 통일된 네덜란드 공화국과 그 수도 암스테르담 |
할렘을 향한 시선 | 델프트를 향한 시선 | 네덜란드 풍경화 | 로마의 풍경화 | 정물화

조각
베르니니의 초기 걸작 | 베르니니의 코르나로 성당 : 바로크식 총체예술작품 |
교황의 총애를 받은 베르니니의 경쟁자 | 플랑드르 출신의 세 번째 경쟁자 |
베르사이유의 조각 프로그램 | 크로톤의 밀론: 로코코를 예고하다

용어해설
바로크 미술 여행안내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