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우리 옷 이천 년
우리 옷 이천 년
저자 : 류희경|김미자|조효순|신혜순|김영재|최은수
출판사 : 미술문화
출판년 : 2008
ISBN : 9788991847569

책소개

한국복식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의류학자, 패션디자이너들이 함께 참여하여 부족한 자료와 유물을 가지고 고증과 연구를 거쳐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전통복식과 개화기 이후 양복 유입으로 변화된 우리 옷의 변천과정을 컬러사진과 함께 자세하게 소개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문화관광부와 SBS가 공동 주최한 "한국복식문화 2000년전" 행사를 개최하면서 우리옷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게 각 장마다 풍부한 사진자료와 함께 재미있고 유익하게 서술한 [우리옷 이천년]을 발간하였습니다. 이는 우리의 문화를 정리하는 국가 규모의 전시를 일회에 그치지 않고 그 내용을 모든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기 위한 자료의 의미를 갖습니다.

___옷을 들춰보면 역사가 보인다.
신낙균 한국복식문화 2000년 조직위원장은 "우리옷은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우리 삶의 전설이고 또 문화"라며 "한국방문의 해를 맞아 열리는 이번 행사가 앞으로 2002년 월드컵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앞드고 우리 복식문화의 우수성을 국내외에 홍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그 의미를 밝혔습니다.

___우리 복식의 나아갈 방향 모색
문화부 장관님의 인사말에서와 같이 [우리 옷 이천 년]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의류학자, 패션디자이너들이 함께 참여하여 부족한 자료와 유물을 가지고 고증과 연구를 거쳐 완성한 자료집으로 우리 옷의 역사와 미를 찾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전통복식과 개화기 이후 양복의 유입과 함께 변화된 우리 옷의 모습을 역사적으로 재조명하면서 한국전통복식의 참된 멋과 빼어남을 널리 알리고, 더불어 미래의 우리 복식이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 소중한 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나아가 우리 복식의 멋을 오늘에 재창조함으로써 현대에 맞는 복식 문화산업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닫힌 공간에서 자족하는 우리 옷이 아닌 세계로 열린 복식문화를 창출해 나가는 토대를 제공함과 동시에 우리 복식문화의 과거와 현재, 미래가 조화롭게 연결되는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우리 옷 이천 년 | 차례




한국 복식의 기본 구조 7

제1장 삼국시대 복식 9

고구려 복식 9
백제 복식 19
신라 복식 23


제2장 가야·통일신라·발해의 복식 29

가야 복식 29
통일신라시대 복식 33
발해 복식 39


제3장 고려시대 복식 45

I 남자 복식 46
II 여자 복식 52


제4장 조선시대 복식 55

I 남자 복식 56
II 여자 복식 86


제5장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 복식 119

I 남자복식 120
II 여자복식 126


제6장 근대, 현대 그리고 미래 133

1940년대 패션 135
1950년대 패션 138
1960년대 패션 150
1970년대 패션 155
1980년대 패션 160
1990년대 패션 167
2000년대 패션 174
미래의 패션 181


참고 문헌 188
영문 초록 190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