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의 기업가 정신
한국의 기업가 정신
저자 : (사)글로벌전략연구원
출판사 : 화산문화
출판년 : 2013
ISBN : 9788993910261

책소개

한국의 기업은 일제 강점기, 행방 및 전쟁의 혼란기, 개발독재 시대로 불리던 고도 성장기, 외환위기, 세계금융위기 등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하며 끈질기게 버티고 성장해 왔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한국 기업가의, 한국 국민성을 바탕으로 한 기업가 정신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기업가 정신이란 자원 또는 인력, 사회적 제약 속에서도 위험을 감수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해 사업화하는 기업가의 마음가짐을 의미한다. 피터 드러커는 한국의 기업가 정신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바로 그 한국의 기업가 정신의 실체를 정확히 알아보는 것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경제 민주화’ 바람이 불고 있다. 굵직한 대기업들이 여러 이유로 잇따라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 경제 민주화 바람의 역풍이 최근 몇 년 사이 기세등등했던 한국 기업의 세계적 기업화 전력에 찬물을 끼얹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기업 활동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국의 기업사는 한국 역사만큼이나 파란만장하다. 일제강점기, 해방, 전쟁, 개발 독재, 외환위기, 세계 금융 위기 등 한국 기업은 그런 환경 속에서도 잘도 버티며 성장했다. 그리고 지금은 세계적 기업으로까지 성공해서 많은 곳에서 한국 기업의 강점을 연구하고 있다. 한국 기업이 그런 어려움을 잘 겪어낼 수 있었던 것은 한국 기업가의ㅡ 한국 국민성을 바탕으로 한 기업가정신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업가정신이란 자원, 인력, 사회적 제약 속에서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해 사업화하는 기업가의 마음가짐이다. 이 기업가정신은 한국 기업가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다는 것이 피터 드러커의 지적이다. 그는 50년 전만 해도 한국은 폐허나 다름없었는데, 지금은 조선, 반도체 , 가전, 자동차 등 많은 분야에서 세계적 리더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의 목적은 바로 그 한국 기업가정신의 실체를 알아보자는 것이다.
1부에서는 기업가정신의 이론과 역사를 살펴본다.
2부에서는 한국 기업가정신의 요체를 ① 사업보국, ② Can-Do, ③ 빨리빨리, ④ 기업인재 육성, ⑤ 황제 경영 등 다섯 가지로 간추려서 사례 중심으로 접근해서 살펴본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펴내며



제1부



Ⅰ. 기업과 기업가

1. 기업의 발전과정

2. 기업가 개념의 확립

3. 기업가 활동의 국가별 차이

4. 기업가의 조건



Ⅱ. 기업가 정신

1. 자본주의 정신

2. 혁신이론

3. 기업가 정신으로 승화



Ⅲ. 유교의 부활과 중·일 문화권의 기업가 정신

1. 중국의 기업가 정신

2. 일본의 기업가 정신



Ⅳ. 한국 기업가 정신의 뿌리

1. 유상(儒商)의 흔적

2. 개성(開城) 상인

3. 보부상의 상관습

4. 유교자본주의 완성



제2부



Ⅴ. 한국 기업가 정신의 전형(典型)

1. 사업보국

2. 캔두이즘(can-doism)

3. 빨리빨리

4. 기업인재 육성

5. 황제경영



참고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