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종족 형성의 공간과 문화 (15 16세기의 복건 신현을 중심으로)
종족 형성의 공간과 문화 (15 16세기의 복건 신현을 중심으로)
저자 : 원정식
출판사 : 위더스북(종이비행기)
출판년 : 2012
ISBN : 9788996235026

책소개

15.16세기의 복건 신현을 중심으로 한 종족 형성의 공간과 문화 연구. 이 연구는 현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종족 형성을 관련지어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제1장 '신현 운동과 종족', 제2장 '지역 중심지와 국가 질서', 제3장 '종족 문화와 종족 형성', '결론'으로 구성되었다.

종족 형성과 관련하여 저자는 15ㆍ16세기 복건에서 나타난 다음과 같은 현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민간 사회에서 기존의 소종(小宗)을 돌파하고 대종(大宗) 형성이 일반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종족 형성 운동이 본격화된 중심지는 주로 일찍이 현(縣)이 설치된 행정ㆍ문화 중심지였다는 것, 현 신설 운동이 활발하여 명대에 신설된 10개의 현이 모두 이때 설치되었으며 현의 신설과 더불어 종족 형성 사례가 나타났다는 것, 그리고 종족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신사층이 형성되고 상품경제가 발달하였다는 것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종족 형성과 관련하여 필자는 15ㆍ16세기 복건에서 나타난 다음과 같은 현상에 주목하고자 한다. 즉 민간 사회에서 기존의 소종(小宗)을 돌파하고 대종(大宗) 형성이 일반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종족 형성 운동이 본격화된 중심지는 주로 일찍이 현(縣)이 설치된 행정ㆍ문화 중심지였다는 것, 현 신설 운동이 활발하여 명대에 신설된 10개의 현이 모두 이때 설치되었으며, 현의 신설과 더불어 종족 형성 사례가 나타났다는 것, 그리고 종족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신사층이 형성되고 상품경제가 발달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종족 형성, 신현 설치, 신사층 형성, 상품경제의 발달이란 일련의 현상이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중국의 종족은 종법을 기초로 한 문화이고, 그 문화는 습득과 모방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에서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현이 종족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점에서 15ㆍ16세기 복건에서 나타난 이 현상들은 종족 형성을 현이란 공간 및 문화와 관련지어 분석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연구는 기왕의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현의 사회ㆍ문화적 기능과 종족 형성을 관련지어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 범례

- 감사의 말



서론



제1장 신현 운동과 종족

제1절 은 경제의 확산과 반란

제2절 15·16세기 복건의 신현 설치

제3절 평화현과 영양현의 신설 과정과 종족

1) 평화현

2) 영양현



제2장 지역 중심지와 국가 질서

제1절 지역 중심지의 등장

제2절 현청과 지역 지배

제3절 학교와 신사 배출

제4절 국가 의례와 종족

1) 전례와 사묘

2) 향음주례



제3장 종족 문화와 종족 형성

제1절 종족 문화의 확산

제2절 신사의 종족 결집

-평화현 서산 이씨 이세호를 중심으로-

제3절 평화현의 종족 형성

-구봉진 증씨를 중심으로-

제4절 영양현의 종족 형성

1) 향산 조씨

2) 영양 료씨

3) 송양 뢰씨

제5절 장평현 상호진(象湖鎭)의 종족 형성

1) 상호진 첨씨

2) 상호진 양미 소씨



결론



주석

중문 차례 및 초록

영문 차례 및 초록

문헌 목록

찾아 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