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맞춤법 500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맞춤법 500
저자 : 여문주
출판사 : 인이레
출판년 : 2013
ISBN : 9788996741824

책소개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500』은 일상에서 많이 쓰는 말들 가운데 자주 틀리거나 실수하는 것을 짚어보고 맞춤법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갈 수 있는 책이다. 가나다순으로 엮어 언제든 원하는 내용을 찾아보기 편하게 하였으며 실용적인 예문들, 틀린 말과 맞는 말을 아우르는 세세한 찾아보기로 활용도를 높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개거품, 고난이도, 골아떨어지다, 괴변, 교양곡, 귀향살이, 금새, 까발기다, 깔대기, 끝발, 단발마, 무뇌한, 부과세, 부화내동, 성대묘사, 생떼같은, 순국선혈, 실낫같다, 앞존법, 어의없다, 얼차레, 유도심문, 유관 확인, 인상실험, 인파선, 절대절명, 중구남방, 기부체납, 초죽음, 체신머리, 치고박다, 통산임금, 폐륜아, 품위서, 홀홀단신, 횡경막, 희안하다"

사람들이 일상에서 가장 많이 틀리는 500가지의 크고 작은 맞춤법 실수를 한자리에 모은 책. 인터넷 글과 기사에서 잘못 쓰인 빈도수가 높은 어휘들만을 골라 생생한 말글 속에 담아냈다. 너무 어이없고 황당하게 틀려서 차마 남이 지적해 주기에도 민망한 말들, 본인만 잘못 알고 있던 말들을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어렵지 않게 맞춤법의 기본기를 완성하게 도와준다. 복잡한 문법이나 어원 설명 대신 한눈에 무엇이 틀리고 왜 틀리는지 파악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이제는 맞춤법이 경쟁력인 시대
어이없고 황당한 맞춤법 실수를 잡아라!

맞춤법은 때때로 그 사람의 역량을 평가하는 객관적 잣대가 되기도 한다. 학교에서 치러지는 수많은 서술형 시험과 대학 입시의 논술 시험에서는 맞춤법이 틀릴 때마다 감점 처리되며, 입사 지원서나 자기소개서, 필기시험에서도 엉터리 맞춤법은 당락의 결과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업무용 이메일의 맞춤법이 잘못되어 상사에게 혼나는 새내기 회사원들의 경우도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한편 인터넷과 휴대폰, SNS에 둘러싸인 현대인의 삶은 글쓰기의 지형을 바꾸기 시작했다. 예전엔 학교를 졸업하고 나면 글을 쓸 일이 별로 없었고 그걸 남에게 공개할 일은 더군다나 드물었다면 이제는 누구나 수시로 글을 써서 올리고 공유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렇듯 글이 만천하에 공개되다 보니 그 가운데 맞춤법이 틀린 글들은 마치 옷을 제대로 갖추어 입지 않은 것처럼 보는 사람의 시선을 불편하게 만들기도 한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인터넷에서는 틀린 맞춤법쯤은 아랑곳하지 않는 분위기가 만연했다. 맞춤법에 신경 쓰지 않는 것이 쿨한 것처럼 여겨졌고 심지어 맞춤법 파괴가 놀이처럼 번지기도 했다. 그런데 요즘 이러한 분위기에 반기를 드는 움직임이 뚜렷이 일어나고 있다. 맞춤법에 관한 개인적인 관심과 노력뿐 아니라 젊은 세대가 모이는 게시판 형태의 커뮤니티나 위키 형태의 지식 공유 사이트 등에서도 맞춤법에 관한 자정 노력이 활발하다. 틀리는 것보다 더 큰 문제는 그것이 틀린지도 모르는 것이라는 목소리가 확산되며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책 《어이없이 틀리는 우리말 500》은 맞춤법에 새로이 눈을 뜨기 시작한 이들을 위한 책이다. 사전 속에나 있음 직한 말들, 까다롭고 복잡한 어휘가 아니라 일상에서 많이 쓰는 말들 가운데 자주 틀리는 실수들을 함께 짚어보며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가는 데 도움을 주고자 기획되었다.

기존 책을 훌쩍 뛰어넘는 최다 어휘 수록!
이 책은 500개라는 항목 수가 확인해 주듯이 일상에서 잘못 쓰이는 어휘와 표현들이 거의 망라된 책이다. 너무 사소하여 학교에서도 안 가르쳐주고 너무 황당해서 남들도 잘 지적해 주지 않는, 그런데 나만 모르고 잘못 써 온 말들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책의 어느 페이지든 펼쳐서 죽 넘겨보면 된다. 필수 영단어를 스펠링과 어원까지 달달 외우고 Voca 22000, 33000을 열심히 들여다보던 그 노력의 몇 만분의 일만 기울여도 맞춤법의 기본을 완성할 수 있게 이끌어 준다.

한눈에 보고 단박에 파악하는 실용 맞춤법 책
이 책은 문법과 어원보다는 사람들이 자꾸 틀리는 이유와 맞춤법 실수를 피하는 방법의 전달에 초점을 맞추었다. 골치 아픈 문법이나 길고 긴 설명에 지쳐서 읽고 나면 결국 무엇이 맞고 틀린지 다 까먹게 되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부담 없이 넘겨볼 수 있는 내용과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가나다순으로 엮어 언제든 원하는 내용을 찾아보기 편하게 하였으며 실용적인 예문들, 틀린 말과 맞는 말을 아우르는 세세한 찾아보기로 활용도를 높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머리에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