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4차 산업혁명시대 당신은 Simple한 인재입니까? (핵심인재가 갖추어야 할 6가지 역량!)
4차 산업혁명시대 당신은 Simple한 인재입니까? (핵심인재가 갖추어야 할 6가지 역량!)
저자 : 김정래
출판사 : 북메이드
출판년 : 20181015
ISBN : 9788997364206

책소개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7%였던 국내 잠재성장률이 계속 하락해 현재 2~3% 대로 내려가면서 기업들의 성장과 신규채용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국내를 대표하는 경제석학 30명은 거시적·미시적 분석을 통해 이러한 국내 잠재성장률은 10년 후 1%대로 내려갈 수 있다고 경고하였습니다. 경기 불황은 계속되고 있고, 청년 일자리는 갈수록 줄어들고 실업자가 증가하면서 ‘인력은 남아도는데 왜 우리 회사에는 핵심인재가 없는 것일까?’라며 한탄하는 기업 및 최고경영자가 많습니다. 사실, 10년 전이든 20년 전이든 핵심인재는 기업이 생존을 넘어 계속해서 성장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그렇게 중요하다고 말하는 핵심인재란 도대체 어떤 사람을 말하는 것일까요? 또 이러한 핵심인재는 어떻게 찾아내어야 할까요?

SIMPLE한 핵심인재란 어떤 사람인가?

핵심인재에 대한 업무 연관성을 토대로 회사에 축적된 다양한 산업분야 기업들의 인재 추천 의뢰서 3,300여 장을 분석한 후, 가장 많이 언급된 역량을 15개로 추리고 이를 토대로 핵심인재를 채용?관리 하는데 직접 관여하고 있는 최고경영자와 임원 50명을 대상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이후 타 산업의 기업으로 이직한 경력이 있는 과ㆍ부장급 핵심인재 300명을 직접 관찰하고 동시에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후 최종적으로 6가지 역량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특정 산업과 기업에 상관없이 계속해서 높은 성과를 달성하고, 차세대 리더로 성장하고 있는 핵심인재들은 공통으로 높은 수준의 SIMPLE 역량들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1. Strategy - 전략 역량
2. Integration - 통합 역량
3. Mobility - 글로벌 역량
4. Presentation - 프레젠테이션 역량
5. Leadership - 리더십 역량
6. Ethics - 윤리 역량

이렇게 정리된 6개의 역량을 토대로 한 번 이상 타 산업의 기업으로 이직한 경력이 있는 과·부장급 핵심인재 300명을 관찰하면서 직접 그들과 1:1 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하면서 행동 관점에서 각각의 역량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현직 헤드헌터이면서 인재에 대한 높은 인사이트를 보유한 저자가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밝혀낸 핵심인재가 갖추어야 할 6가지 역량(SIMPLE)은 이 시대의 기업이 요구하는 핵심인재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우리나라 최초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핵심인재가 어떤 사람인지 한마디로 설명하기가 쉽지 않은데, 이 책은 어떤 인재가 미래 기업이 요구하는 핵심인재인지 명확한 답을 주는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4차 산업혁명시대, 왜 핵심인재가 필요한가?

우리나라에서도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2017년 기준 자료에 의하면 전체 직업종사자의 업무 수행 능력 중 12.5%가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대체가 가능한 것으로 집계되었고, 이 비율은 2020년에는 41.3%, 2025년에는 70.6%까지 상승하여 1,600만 개의 일자리를 인공지능과 로봇에게 내줄 수도 있다고 예측하였습니다.

무섭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 및 로봇과 협업하고 공생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핵심인재가 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SIMPLE 역량을 갖춰야 합니다. 즉, 경영전략과 관련된 이론적인 지식을 깊고 다양하게 습득하고 자신이 속한 조직의 미션을 깊게 이해하고 이에 맞는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는 능력인 전략역량(S), 다양한 유관부서들과 부딪치며 발생하는 갈등 상황을 지혜롭게 조율하고 동시에 적극적인 협조를 이끌어내 혁신적인 아이디어 및 제품을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인 통합역량(I), 글로벌 어학 능력을 기본으로 각 국가의 고유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인 글로벌 역량(M), 논리적으로 명확하고 정확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인 프레젠테이션 역량(P), 무력이나 힘으로 조직 구성원들을 무조건 따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따라오게 만드는 능력인 리더십 역량(L), 도덕적으로 올바르게 행동할 수 있는 윤리역량(E)을 갖춰야 합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0

CHAPTER 01 Strategy 전략 역량
기업 전략의 이해 ................................................ 17
경영전략 이론 ..................................................... 30
경영혁신의 중요성과 실천의지 ........................... 32

CHAPTER 02 Integration 통합 역량
유관부서 통합 ..................................................... 44
비즈니스전략 통합 ............................................... 53

CHAPTER 03 Mobility 글로벌 역량
글로벌 역량의 중요성 ......................................... 62
글로벌 역량이란? ................................................ 63
글로벌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영어 ................... 64
글로벌 문화 ........................................................ 68
글로벌 비즈니스 ................................................. 72

CHAPTER 04 Presentation 프레젠테이션 역량
프레젠테이션의 중요성 ..................................... 80
프레젠테이션 역량 수준 평가 ........................... 82
핵심인재의 프레젠테이션 스타일-3C ............... 84
프레젠테이션을 잘하기 위한 3C 법칙 .............. 86
Clear 하게, Concise 하게, Correct 하게
프레젠테이션을 잘하는 방법 ............................. 89

CHAPTER 05 Leadership 리더십 역량
리더십이란?........................................................ 96
나는 좋은 리더인가? 나쁜 리더인가? ................ 97
리더십 역량의 중요성 ....................................... 10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혁적 리더.................... 103
변혁적 리더십 ................................................. 104

CHAPTER 06 Ethics 윤리 역량
윤리 역량의 중요성 #1 ...................................... 108
윤리 역량의 중요성 #2 ...................................... 110
윤리 역량의 중요성 #3 ...................................... 112
윤리 역량의 중요성 #4 ...................................... 113
윤리 역량의 중요성 #5 ...................................... 115
높은 수준의 윤리 역량을 갖춘 핵심인재 ........... 118

맺음말 / 저자 프로필 121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