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본문
Powered by NAVER OpenAPI
-
예교주의 (17-18세기 중국 지식인의 윤리, 학문, 종족의 담론)
저자 : 카이윙 초우
출판사 : 모노그래프
출판년 : 2013
ISBN : 9788998309015
책소개
유가 예교주의와 언어적 순수주의 해석학
이 책의 지은이 카이윙 초우 교수는 청대의 지식인들이 예교의 문제에 집중하게 된 원인과 과정 및 그 결과를 다루고 있다. 그는 청대의 지식인층 상당수가 예교의 문제에 몰두했다고 진단했고, 이러한 사조를 ‘유가 예교주의’(Confucian Ritualism)라고 명명했다. 그는 유가 예교주의가 청대, 특히 17~18세기에 중국 지식인의 관념을 지배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한학’이나 ‘고증학’으로 이 시기의 학술사조를 표현하는 것은 적합하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17~18세기의 학자들이 단순히 한대의 주석만을 부활시키려고 노력한 것은 아니므로 ‘한학’이라고 부를 수 없고, 고증운동을 일으킨 방법론적 전제인 도덕적 기반과 순수주의적 경향을 무색하게 하는 ‘고증학’이라는 용어도 더 이상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대신 그는 이 시기의 학술사조를 ‘예학’(禮學)으로, 그 방법론을 ‘언어적 순수주의 해석학’(hermeneutics of linguistic purism)이라고 명명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말
명·청대 황제의 연호와 묘호
머리말
01 연구의 목적과 범위
02 신사층 문화의 개혁
03 사회적 보수주의와 경학
04 예교주의, 순수주의, 신사
05 유교, 예, 신분
06 예의 상징적, 실천적 영역
07 가치의 소통: 예교주의와 교훈주의
1. 유가 질서의 위기와 교훈주의적 반응
01 경제적 팽창과 식자층의 변모
- 상업화와 신사계층의 특권남용
- 유가적 사회윤리의 붕괴
02 교훈주의, 혼합주의, 대중영합주의
- 지식계층의 팽창과 혼합주의 운동
- 대중영합주의와 혼합주의: 왕양명의 유산
03 명말 혼합주의의 다양성
- 거사불교와 ‘공과격’
- 대중적 유교와 임조은의 혼합주의 종교
- 태주학파: 대중영합주의, 영웅주의, 혼합주의
- 이지와 혼합주의의 우상파괴적 변환
04 예교주의와 명말 신유학 윤리의 부활
- 혼합주의와 불교에 대한 동림당파의 비판
- 혼합주의에서 순수주의로
- 본체론적 논의에서 도덕적 실천으로
- ‘기’ 본체론과 장재의 재발견
- 예의 실천과 도덕적 수양
- 경전 속의 예에 대한 탐구와 경학
2. 강희연간의 예교주의 윤리와 문헌 순수주의
01 예교주의, 문화주의, 만주족의 정복
02 예교주의와 도덕적 수양
03 장재와 예교주의 윤리학
04 정주학의 정통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예교주의
05 경전과 예
06 문헌 순수주의, 신유학적 의고주의에 대한 비판
- 진확과 반평격
- 문헌상의 불순함에 대한 숙청
- 문헌 순수주의의 모순
07 신유학의 예와 윤리에 대한 순수주의자의 비판: 안원과 이공
- 안원: 순수주의와 예의 실천
- 이공: 예의 실천에서 경학으로
3. 종족의 담론: 신사, 지역사회, 국가
01 지역의 질서: ‘라이투르기’에 의존한 통치와 신사층의 지배
02 명말 신사층의 활동과 지역 질서
03 종족과 신사
04 명말의 혈연조직 활동
05 청초의 담론에 나타난 종족과 국가
06 사회질서에 대한 고염무의 지역주의적 접근
07 종법, 조상 숭배, 종족
08 종족: 유가적 가치를 증진하는 제도
09 육세의와 종족의 예식
10 청초의 종족 형성
4. 청초의 학술에 나타난 제사와 종족
01 정이와 종족 조직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
- 사대봉사
- 시조 숭배: 근대 종족의 의례적 기초
02 허형과 ‘시천조’
03 공식적 유형과 사적 관행
04 시조제사에 대한 공식적 승인
05 조묘의 두 가지 형태
06 청초의 제사 논쟁
07 『가례』에 대한 도전
08 『가례』의 유형에 대한 만사대의 옹호
09 ‘사대봉사’의 체제
10 모기령의 비판
11 종법제도에 대한 다른 비판자들
12 신사의 지위와 종법
13 예교논쟁과 경전의 연구
5. 청초의 의례와 경전
01 18세기 중반 이전의 예학
- 예학에 대한 시사적 접근
- 송·원대의 학술과 절충주의
- 주희와 예학
02 ‘체’와 ‘협’에 관한 논쟁
- 신유학의 유산과 청대의 논쟁
- 종법제도와 ‘체’의 의미
03 역사적 경험론의 성장
04 경학에서 나타난 절충주의
05 의례에 관한 공식적인 편찬사업
06 예학의 새로운 경향
6. 언어적 순수주의와 한학운동의 해석학
01 송·명대 의례의 문화적 상징성 쇠퇴
02 문헌 회의론의 쇠락
03 한학운동의 해석학적 원칙
- 경전: 도덕적 진리의 기초
- 도덕성: 제도화된 행동
- 제도사와 도덕적 지식의 탐구
- 상고 중국어의 음운학과 한대 주석
04 예학과 경학
05 『춘추』와 주대의 제도사
06 정현과 예학
07 이단반대와 소학
7. 예교주의 윤리와 한학운동
01 대진: 맹자와 ‘지례’(知禮)
02 능정감: 순자와 예교주의 윤리
03 완원: 증자와 소학
8. 예교주의와 신사층의 문화: 여성과 종족
01 왕중: 소학의 사회비판정신
02 여성의 순결 숭배
03 여성의 순결 숭배와 학자
04 종족과 과부의 정절
05 신사층과 종족의 확립
06 고증학자의 종족 확립 참여
07 신사층과 종족의 지도력
08 종족과 사회질서
09 종족: 경세와 ‘라이투르기’에 의존한 통치
결론
01 재정립된 유교
02 유가 지식인과 제국
03 신사층과 일반 백성
04 신사층 문화의 개혁과 유가 예교주의
05 비교적 관점에서 본 청대의 의고주의
주석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