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한국교육의 사회적 풍경 (교육사회학의 주요 쟁점)
한국교육의 사회적 풍경 (교육사회학의 주요 쟁점)
저자 : 손준종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17
ISBN : 9788999712036

책소개


우리나라는 근대교육을 도입하고 비교적 짧은 기간에 양적·질적으로 급속한 압축 성장을 경험하였다. 근대적 교육제도는 서구의 것을 모방하였으며, 교육적 삶의 풍경이 낯설고 어색한 서구식으로 구성되었다. 한국 근대교육의 성장은 후발 국가로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여 부국강병을 달성하고자 하는 국가의 의도와 학교교육을 통해 출세할 수 있다는 사적 욕망이 결합한 결과였다. 국가발전을 위한 국가의 통제와 성공의 유일한 통로라는 개인들의 믿음이 한국교육을 지배하였다. 지금까지 교육을 둘러싼 국가와 개인의 욕망은 한국의 교육풍경을 좌우하는 두 축이었다.

한국의 교육풍경에는 매우 이질적인 것들이 뒤엉켜 있으며 그것을 잘 그려 내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은 그동안 연구라는 이름으로 행하였던 한국의 교육풍경을 담은 풍경화를 모은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와 내용은 중립적이지 않다. 교육이 사회적 구성물인 것처럼, 이 책의 주제와 관점 또한 저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다양한 주제의 풍경화들이 하나의 화첩으로 묶일 수 있었던 것은, 그것들이 모두 지금의 한국교육을 그리고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그중에는 낡은 풍경화도 있고 비교적 때가 덜 낀 풍경화도 있지만, 예외 없이 당시 사회의 교육풍경을 그린 것들이다. 교육이 사회성과 역사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적어도 당시에는 성찰할 필요가 있는 중요한 주제들이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지금의 눈으로 보면 다소 낯설고 사소하며 어설픈 것도 있지만, 그것 모두는 현재의 교육과 분리될 수 없다. 흑백영화를 보면서 스크린 저 너머의 사회를 읽는 것은 매우 재미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작업은 당시 교육풍경을 살펴보고, 그 시대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의 역사’에 관심이 있었던 푸코(Foucault)의 지적처럼 이 풍경화들이 한국교육의 계보학적 연구를 위한 아카이브(archive)로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프롤로그

제1부 한국교육의 역사적 풍경

제1장 모더니티와 한국교육
1. 불편함과 어색함
2. 불안한 근대성
3. ‘계몽주의 기획’으로서 근대교육
4. 근대교육의 대안을 상상하라

제2장 국가자본으로서 학력의 출현과 분화
1. 근대교육의 학교화와 학력 담론의 출현
2. 학력 담론의 분화와 학력의 신분화
3. 국가자본으로서 상징적 학력의 공고화

제3장 ‘내신제’의 출현: 교육적 일상의 기록과 평가
1. 학생생활기록의 제도화: 근대적 학적부의 등장
2. 학생생활기록의 입시수단화: 내신제 도입의 사회적 배경
3. 내신제 도입과 그 실시를 둘러싼 쟁점과 갈등
4. 오래된 것의 현재화

제4장 학생 몸의 국가 관리와 통제
1. 근대교육과 학생의 몸: 민족국가와 국민 만들기
2. 학생의 몸 관리와 통제 양식의 도입과 변용
3. 학생 몸 통제와 관리 양식의 성격
4. 결론

제2부 교육정책의 사회적 풍경

제5장 고교다양화 정책: 중등학교의 수평적 계층화
1. 고교다양화 정책의 내용
2. 고교다양화 정책의 사회적 배경: 평준화에서 탈평준화로
3. 수평적 계층화 체제로서 고교다양화 정책의 한계
4. 결론

제6장 교육을 위한 공간 전략: 탈농촌-탈지방-탈한국
1. 교육적 공간 전략: 그 의미와 유형
2. 교육적 공간 전략으로서 ‘탈’한국: 특징과 영향
3. 결론

제7장 학습장치와 학습하는 주체의 탄생
1. 통치성과 장치 그리고 교육
2. 생명관리 권력과 학습장치의 등장
3. 학습하는 주체의 등장과 대항 품행의 모색
4. 공부 권하는 사회의 두 모습

제8장 반값 등록금 정책의 정치학
1. 반값 등록금 담론 출현의 사회적 배경
2. 사회적 구성물로서 반값 등록금 담론
3. 반값 등록금 논쟁의 영향
4. 결론

제3부 교육적 심성의 풍경

제9장 교육과 수량화와 수의 교육지배
1. 수의 특징과 교육적 활용의 사회적 배경
2. 신자유주의 통치 양식으로서 수량화
3. 결론

제10장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교사 정체성
1. 연구방법
2. 교사 정체성의 의미
3. 전교조 교사 정체성의 특징
4. 결론

제11장 신자유주의 시대 교사의 감정노동
1. 교육과 감정
2. 교사와 감정노동
3. 교사 감정노동의 양상과 그 특징
4. 결론

제4부 사회변화와 교육풍경

제12장 지구화와 국가교육의 재고
1. 국민국가와 국가교육의 의미
2. 국가교육에 대한 지구화의 도전
3. 지구화 시대 국가교육의 쟁점
4. 지구화 시대 국가교육의 전망
5. 결론

제13장 교육적 삶의 ‘의료화’
1. 의료화의 등장과 전개
2. 의료화의 사회적 동인
3. 교육과 의료화
4. 결론

제14장 신자유주의와 한국의 대학
1. 신자유주의와 교육개혁의 배경
2. 신자유주의는 대학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
3. 한국의 대학과 신자유주의
4. 전망

에필로그: 교육사회학의 과제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