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제도적 문화기술지 이론적 토대와 실행
제도적 문화기술지 이론적 토대와 실행
저자 : 김인숙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20
ISBN : 9788999722585

책소개


제도적 문화기술지 방법으로 연구를 실행해 보려는 초심 연구자들을 염두에 두고 쓴 책이다. 연구를 실행해 보려는 사람들이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이론적 토대를 좀 더 쉽게 이해하고, 이에 근거해 연구 실행의 각 절차에서 무엇을 어떻게 사고하고 유념해야 하는지에 관한 일종의 개략적 안내서이다.

목차


1부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이론적 토대

1장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출발과 설계
1.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출발과 발전
1) ‘양분된 의식’의 경험을 자각하다
2) ‘양분된 의식’을 사회학적으로 문제 삼다
3) 페미니즘의 ‘입장’ 개념으로부터 ‘위치’의 문제를 구성할 영감을 얻다
4) ‘여성’을 위한 입장을 ‘사람들’을 위한 입장으로 확장하다
2. 제도적 문화기술지 설계의 기본 구조
1) 일상에서 사람들의 경험은 ‘지배 관계’에 의해 조정되고 조직화된다
2) 연구자가 누군가의 ‘입장’에 선다
3) ‘탐색’과 ‘발견’을 위해 추상화의 과학을 거부한다

2장 제도적 문화기술지 설계의 토대
1. 사회는 ‘실제’를 토대로 존재한다
1) 사회는 개념들이 아닌 ‘실제들’로 연결되어 있다
2) 어떻게 하면 ‘실제’에 접근할 수 있는가
3) 개념이 아닌 ‘실제’로 일상을 보면 무엇이 새롭게 보이는가
2. 사회는 사람들의 실제적 활동들이 ‘조정’되는 곳에 있다
1) 제도적 문화기술지는 ‘사회’가 아닌 ‘사회적인 것’을 탐구한다
2) ‘사회’는 사람들의 활동이 다른 사람들의 활동과 ‘조정’되면서 구체화된다
3) ‘조정’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넘어 조직화되며 지배 관계를 형성한다
3. 사람들의 실제 활동을 조직화하는 것은 ‘언어’이다
1) 언어는 사회적인 것이다
2) 경험 기반 언어와 텍스트 기반 언어의 조직화

3장 일 지식: 조직화 탐구의 영역
1. ‘일 지식’이란 무엇인가
1) 사람들의 ‘경험’을 ‘실제’의 관점에서 검토하기 위한 비유
2) 넓은 의미의 ‘일’
3) 일 지식
2. 왜 ‘일 지식’인가
1) 개념에 갇히지 않고 ‘실제’에 다가가게 한다
2) 경험 영역에서의 ‘조직화’를 세밀하게 파고들어 가게 한다
3) 사람들이 일에 대해 느끼는 주관성을 알게 해 준다
3. 예시: 일상세계를 ‘일 지식’으로 보면 어떠한가
4. 어떻게 하면 ‘일 지식’으로 조직화를 그릴 수 있는가
1) 사람들의 ‘일 지식’을 실체가 아닌 조직화의 한 조각으로 본다
2) 다른 사람들의 ‘일 지식’의 차이를 모아 이어 맞춘다

4장 텍스트: 조직화 탐구의 영역
1. 제도적 문화기술지에서 텍스트란 무엇인가
1) 복제 가능한 형태의 물질
2) 활동하는 것
2. 텍스트는 어떻게 활동하는가
1) 텍스트는 사람들의 ‘일’을 조정한다
2) 텍스트는 일상과 지배 관계 사이를 매개한다
3) 텍스트는 파워를 만들어 내고 조직화한다

5장 입장과 문제틀: 조직화 탐구의 방법론적 장치
1. 입장
1) 왜 ‘입장’이 필요한가
2) ‘입장’이란 무엇인가
3) 누군가의 ‘입장’에 서서 연구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2. 문제틀
1) ‘문제틀’이란 무엇인가
2) ‘문제틀’은 어떻게 발견되는가

6장 기존 질적 연구와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차이
1. 일반 질적 연구와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차이
1) 연구자가 누군가의 입장에 서서 연구한다
2) 연구의 초점이 경험을 넘어 제도적인 것을 향한다
3) 경험을 개념이나 이론으로 해석하지 않는다
4) 경험의 의미가 아니라 경험의 사회적 조직화를 발견한다
5) 경험의 공통성이 아니라 경험의 차이로부터 조직화를 발견한다
6) 맥락을 바라보고 다루는 방식이 다르다
7) 이론의 개입을 거부하고, 그 자리에 문화기술지가 들어선다
8) 담론을 사람들의 경험을 조직화하는 조직가로 본다
9) 연구자와 연구참여자의 권력이 평등하다
2. 휴먼 서비스 분야와 제도적 문화기술지
1) 제도 내 지배받는 위치에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제도적 현장을 형성하는 힘의 실제와 그 작동을 보여 준다
3) 휴먼 서비스 분야의 제도적 맥락과 행위자들 사이의 조직화를 보여 준다


2부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실행

7장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의 시작
1. 누군가의 실제 경험에서 시작한다
1) 이론이나 개념에서 시작하지 않고 실제 경험에서 시작한다
2. 누군가의 경험이 ‘단절’의 경험임을 발견한다
1) 단절의 경험
2) 사례: 단절의 경험을 발견하기
3) 단절을 발견하려면 문제틀이 필요하다
4) 단절의 경험 기저에 흐르는 스토리를 찾아본다
3. 누구의 ‘입장’에서 연구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1) ‘입장’을 선택하기
2) ‘입장’ 선택의 시점: 다양성
3) 입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4. 문헌 검토
1) 문헌 검토와 입장
2) 문헌 검토와 문제틀
5. 연구문제 구성하기
1) 연구 목적에서의 차이를 이해하기
2) 연구문제 구성 방식 이해하기

8장 자료 수집과 표집
1. 제도적 문화기술지 자료수집의 특징
1) 자료수집은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존재론과 주요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2) 모호하고 추상적인 자료 대신 ‘실제’를 보여 주는 자료를 수집한다
3) 텍스트 자료에 대한 수집과 검토가 필수적이다
4) 자료수집은 연구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다
5) 자료수집은 분석 과정의 한 단계이다
2.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에서 표집
1) 자료는 두 수준에서 표집된다
2) 표집의 기준과 방법
3) 일반성의 확보

9장 자료수집과 인터뷰
1. 제도적 문화기술지에서 인터뷰의 특징
1) 인터뷰의 목적이 사람들의 경험을 일반화하는 데 있지 않다
2) 인터뷰는 정보제공자를 지명하는 수단이다
3)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서로 다른 경험들을 인터뷰한다
4) 인터뷰는 ‘일’과 ‘텍스트’ 개념으로 안내된다
5) 입장 정보제공자를 먼저 하고 이어 이차 정보제공자로 넘어간다
2. ‘일’에 대한 인터뷰
1) ‘일’ 개념을 중심으로 한 인터뷰의 효과
2) ‘일’ 개념을 중심으로 인터뷰 질문하기
3) 다양한 제도적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일’에 대한 인터뷰
3. ‘텍스트’에 대한 인터뷰
1) 연구와 관련된 텍스트들을 사전에 검토한다
2) 정보제공자가 말한 텍스트에 대해 듣고 묻는다
3) 정보제공자와 함께 텍스트를 보면서 인터뷰한다
4) 텍스트가 활성화하는 궤적이나 흐름을 쫓아간다
5) 제도적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텍스트의 작동을 찾는다
6) 텍스트에 들어 있는 담론의 실제를 찾는다
4. 인터뷰 과정에서 ‘입장의 정치성’

10장 자료수집과 관찰
1. 제도적 문화기술지에서 참여관찰의 방법
1) 참여관찰의 육체성으로부터 사회관계, 문제틀을 발견한다
2) ‘일’ 개념을 적용해 일의 디테일을 관찰한다
3) 텍스트의 흐름과 활성화를 관찰한다
4) 관찰은 공개 혹은 비공개로 이루어진다
2. 관찰한 것을 기록하기

11장 자료분석의 전략과 방법
1.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자료분석: 시퀀스 분석
1) 시퀀스 분석: 범주 분석과의 차이
2) 시퀀스 분석의 관심: 시퀀스의 조직화
2. 제도적 문화기술지 자료분석의 특징
1) 자료분석은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개념들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한다
2) 자료분석을 위한 단 하나의 길은 없다
3) 자료분석의 과정은 반복적이고 귀납적인 과정이다
4) 자료분석은 체계적이고 분석적으로 이루어진다
3. 제도적 문화기술지 분석의 전략과 방법
1) 범주화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지 않는다
2) 정보제공자 개인에서 일반적인 것에 대한 분석으로 이동한다
3) ‘사회관계’ 개념을 사용한다
4) ‘텍스트로 매개되는 사회적 조직화’ 개념을 사용한다
5) ‘분석적 매핑’을 사용한다
6) ‘분석적 글쓰기’를 사용한다
7) 자료에 대하여 계속해서 질문을 던지고 사고한다

12장 자료분석의 과정
1. 자료를 읽고 숙고하면서 제도적 관계를 스케치하기
1) 제도적 문화기술지에서 자료를 숙고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2) 제도적 관계를 스케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2. 자료를 분류하고 코딩하면서 문제틀을 발전시켜 나가기
1) 분류와 코딩
2) 일 과정을 추적하기
3) 텍스트의 조정과 위계 추적하기
4) 텍스트로 매개되는 담론 추적하기
5) 분석된 자료 세트들을 이어 맞추기


3부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사례

13장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사례
1. 텍스트의 작동
1) 텍스트-일-텍스트
2) 텍스트로 매개되는 제도적 과정
3) 텍스트 장치로서의 양식의 파워
2. 일의 시퀀스
3. 담론의 조직화
4. ‘입장’에서 바라본 제도적 관계

14장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확장
1. 고전적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변용
1) 일반적 제도적 문화기술지
2)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일부 개념만 사용하기
2. 다른 연구방법론과의 혼합
1) 제도적 문화기술지와 다른 문화기술지와의 혼합
2) 제도적 문화기술지와 해석적 질적 연구와의 혼합
3. 2차 자료를 사용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4. 행동주의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도구
5.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의 전망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제도적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