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본문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 운영 내실화 방안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 운영 내실화 방안
저자 : 김기홍|홍선이|주홍석
출판사 : 진한엠앤비
출판년 : 20190822
ISBN : 9791129011817

책소개

향후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을 통해 IT 기술의 고도화되는 지능 정보사회로 전활 될 것이다. 즉, 4 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IoT), 로봇,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 인지과학(CS)의 융합기술로 발전하고, 특히 지능형 사이버 물리 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이 모든 기업의 생산을 주도하는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문대학의 교육체제도 기존의 단절된 학년이나 학과 운영 체제, 즉 교육 공급자 위주의 교육과정 운영 체제를 넘어서야 하며,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역량기반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전문대학은 ‘특성화전문대학육성사업’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라 역량기반교육과정 운영을 확대 하고 있다. 2015년 현재 79개 전문대학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2016년 90개교, 그리고 2017년 100개교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문대학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고, 역량기반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환경이나 여건들(강좌당 학생 수, 전임교원 확보, 현장실습교육과 관련된 교육훈련시설 및 기자재 확보, 학습모듈이 미개발된 학과에도 도입,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운영 및 평가 시스템의 문제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역량 기반교육 운영이 특성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양적인 확대에 만 치중하여 교육의 질에 대한 담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전문대학에서 필요한 현장 직무능력중심의 교육훈련을 강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역량기반교육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운영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개선 및 강화 등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전문대학 특성화 교육정책에 반영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향후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을 통해 IT 기술의 고도화되는 지능 정보사회로 전활 될 것이다. 즉, 4 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IoT), 로봇,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 인지과학(CS)의 융합기술로 발전하고, 특히 지능형 사이버 물리 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이 모든 기업의 생산을 주도하는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문대학의 교육체제도 기존의 단절된 학년이나 학과 운영 체제, 즉 교육 공급자 위주의 교육과정 운영 체제를 넘어서야 하며,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역량기반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전문대학은 ‘특성화전문대학육성사업’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라 역량기반교육과정 운영을 확대 하고 있다. 2015년 현재 79개 전문대학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2016년 90개교, 그리고 2017년 100개교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문대학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고, 역량기반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 환경이나 여건들(강좌당 학생 수, 전임교원 확보, 현장실습교육과 관련된 교육훈련시설 및 기자재 확보, 학습모듈이 미개발된 학과에도 도입,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운영 및 평가 시스템의 문제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역량 기반교육 운영이 특성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양적인 확대에 만 치중하여 교육의 질에 대한 담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전문대학에서 필요한 현장 직무능력중심의 교육훈련을 강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역량기반교육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운영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개선 및 강화 등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전문대학 특성화 교육정책에 반영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4차 산업혁명과 고등직업교육 연계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제1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양성의 중요성과 한계성

제2절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의미 특성과 통합적 미래역량 정립

제3절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 관련 정책 분석

제4절 종합 시사점



제3장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운영 현황과 사례 분석

제1절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 운영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제2절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 운영 사례 분석

제3절 종합 시사점



제4장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운영 실태 조사 분석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 운영 실태 대학기관 조사 분석

제3절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조사 분석

제4절 논의와 시사점



제5장 전문대학 역량기반교육 운영 내실화 및 발전 방안

제1절 기본방향과 전제

제2절 역량기반교육 운영 내실화 및 강화 방안

제3절 정책 방안의 추진 주체

제4절 결론 및 제언



SUMMARY



참고문헌



부록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QuickMenu